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8-23 22:18
[해군] 경항모 운용비에 대한 추측
 글쓴이 : 아이쿠
조회 : 1,249  


이전 글에 댓글로 쓴것을 끌어올려봄

함정의 운용 유지비를 정확하게 얼마인지는 직접 운용해 봐야 알겠죠
유지비에는 기름값 각종 정비비 부품값 인건비가 들어가지만
그 중에서 기름값만 대충 한번 계산해 보겠습니다.

세종급 이지스함에 사용하는 가스터빈 엔진이 GE LM2500 4기 입니다
총 33,600 x 4 = 134,400  shp가 나옵니다
제가 이지스함이 전속력 항진시 기름을 얼나마 쳐묵쳐묵 하는지 모릅니다
그러니 다른 선박의 소모 기름 양으로 추정해보겠습니다

일반 상선은 열효율 46%정도 되는 디젤 엔진에 10,000 kcal / liter 연료를 사용합니다
8,000 shp를 발휘하는 엔진은 하루에 평균 24,000 liter의 연료를 쳐묵쳐묵합니다
참고로 shp란 샤프트홀스파워로 엔진에서 만들어진 동력이 프로펠러 축까지 도달하는걸 의미합니다

GE LM2500 엔진은 열효율 36%에 8,700 kcal / liter 연료를 사용합니다
그럼 GE LM2500엔진은 얼마나 기름을 쳐묵쳐묵하는가?
한개 기준 출력이 4배가 넘으니 x 4
가스터빈이 4개쓰니 x 4
열효율이 떨어지니 x 1.28
연료의 리터당 칼로리가 떨어지니 x 1.15 

24,000 x 4 x 4 x 1.28 x 1.15 = 565,248 L / day = 23,552 L / hour

가스터빈에 사용하는 항공유가 리터당 800원으로 치면
18,841,600원 / hour = 452,198,400원 / day

즉 이지스함이 30노트로 1시간 가면 기름값만 1천9백 만원을 쓰고
하루동안 4억 5천만원 정도 쓴다는 소리죠

이지스함은 1만톤급이고
경항모는 4만톤급입니다

경항모는 최소 25노트로 운항해야하고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선박의 속도와 추력의 관계는 속도가 2배 빨라지려면 추력은 8배가 더 강력해야합니다 
이지스함은 30노트로 계산했으니
25노트로 보면 58%정도의 추력이면 됩니다
하지만 배가 4배 크니 0.58  x 4 = 2.32 입니다

4억 5천 x 2.32 = 약 10억

항모를 하루 굴리는데 기름값만 10억씩 들어갈겁니다.
이건 경항모 발전기 돌리는 비용은 빠진 순수 선박 추진에 소요되는 기름값이죠

해군의 경항모 유지비 500억 주장은
경항모 만들어서 항구에 정박시켜 놓고
가끔 행사용으로 동내 한바퀴 마실 다녀오는 용도로 쓰겠다는 개소리입니다


그리고 눈치가 빠른 사람은 경항모의 취약점을 여기서 또하나 볼 수 있는데
하루에 소모하는 선박 추진용 기름만 1000톤이 넘는다는 겁니다

4만톤 선박에 10일치 기름을 적재하면 1만톤...
적재 중량이 1만톤이 안되는 경항모에
항공기, 항공유, 각종무장, 각종 보급품, 인력등의 무게를 제외하면
실제로 선박 추진용 연료를 많이 싣기 힘들고
소양급 군수지원함이 옆에서 계속 보급을 해줘야 한다는 소리인데
소양급이 1만톤급 유류지원하니
항공기들이 기름을 하나도 안쓴다고 해도 10일치 뿐인데
원양으로 나가면
소양급 한척으로는 도저히 유지가 안되고
2척은 더 만들어서 3척이 보급항을 왕복하며 보급을 붙박이로 해줘야 한다는 소리인데
항모 호위함들 생각하면 3척도 힘들듯


=================================================

이전에 작성한 글인데
여기 몇가지 추가하면 

누군가는 배는 항상 최고속도로 항해하지 않는다 말합니다
예 그래서 세종대왕급이 인건비 빼고 연 200~250억에 유지가 되는겁니다
한 20노트로만 다녀도 하루에 억단위로 기름을 먹습니다
그런데 이런 구축함은 작전시에 20노트로 다녀도 됩니다
긴박한 긴급기동 할 일이나 전투 상황에 들어가면 30노트로 속력을 올리면 되죠


그런데 경항모는 구축함과는 사정이 좀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행사 목적으로 돌아다니는거 아니면
기본 작전 전술 개념만 가지고 돌아다녀도
25노트 속도를 유지해야합니다

그 이유는
첫번째 항공기 이착함을 위해서는 항모는 최대한 빠르게 기동할수로 유리하다
항공기 날개에 양력을 발생시키려면 대기와 항공기간의 상대속도를 크게 해야합니다
항공기가 가속할수 있는 속도에는 한계가 있고
그걸 보충하기 위해 배도 전속으로 항해해서 운동애너지를 보태고
바람을 정면으로 맞바람 맞아야 상대속도가 증가해서 최대 양력 확보가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항재기의 이륙중량을 조금이라도 늘리고 안전한 이륙을 위해선
맞바람 맞으며 전속력으로 항해해야합니다.

두번째 항공모함의 가장 위협적인 무기 체계가 바로 잠수함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변에 호위 구축함도 잠수함 접근을 막기위해 별짓을 다하죠
하지만 잠수함의 접근을 완벽하게 차단하는건 매우 난이도가 높은 일이고 100%막는건 불가능하죠

과거 림팩에서 우리 해군 209가 미 항모를 격침 판정은 우연한 사건이 아닙니다
이런 잠수함의 접근을 막기 위해 미국 항모는 작전시 항시 30노트 속도를 유지합니다
이러면 최고 속도가 20노트인 디젤 잠수함은 사실상 항모를 추적하는게 불가능해지죠
(디젤 잠수함이 최고속도 20노트지만 이건 1시간이면 방전되는 속도죠) 
그러면 원잠은 따라올수 있는거 아니야 말하는 사람이있는데
예 원잠은 30노트로 추적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알아야할것이 잠수함은
크게 3가지 종류의 소음을 발생시킵니다.
1.선체 내부 소음 (추진 기관 소음이나 각종 장비 사람이 내는 소음 )
2.선체 표면 소음 (선체 표면이 바닷물과 마찰을 일으키며 발생하는 소음)
3. 잠수함 스크류 소음 (잠수함 스크류가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

1번 소음은 기술이 발전하고 소음차폐 능력이 발전할수록 줄일수 있죠
그런데 2,3번 소음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영역이 있습니다
특히 3번 스크류 소음인데
스크류가 고속 회전을 하게되면 
스크류 날개 뒷편에 캐비테이션이란 현상이 발생합니다
날개의 회전속도가 높으면 날개 뒷편에 진공이 잡히고
이로인해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각종 선박 뒷편으로 하얀색 물거품 포말이 발생하는것이 이 캐비테이션 현상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기포가 발생했다가 터지면서 심한 소음을 발생시킵니다.
잠수함 스크류는 이러한 캐비테이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크기를 대형화해 추력대비 회전수는 낮추고
각국의 기술력으로 동일 회전수에서 
최대한 적은 기포가 발생하는 형상으로 만드는것이 핵심기술이죠

하지만 아직까지 아무리 외계인을 고문한 미국이나 유럽도
캐비테이션 억제에 한계점이 있습니다
바로 잠수함 속도 20노트죠
미국 영국 프랑스 정도의 최상위 수준의 원잠들도 20노트 부근부터
캐비태이션이 발생하며 극심한 소음이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물론 선체 표면 마찰 소음도 심각한 수준으로 올라가죠
표면에 아무리 흡음 타일 발라도 안되는 상황이죠


즉 원잠은 30노트 이상 속력을 낼수 있어도 그럴경우
적 구축함이나 잠수함 소나에 포착될 확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기에
특별한 사유가 아니면 작전해역에서 20노트 이상 속도를 내지 않습니다.

바로 이런 이유가 항모가 항시 고속 기동을 해야하는 이유입니다
원잠이 쫒아 올 수는 있어도 쫒아오면 극심한 소음을 발생시켜 매우 높은 확율로
호위 구축함의 소나에 탐지되는걸 감수히야하는겁니다.

이렇기에 항모는 기본적으로 25~30노트의 속력을 유지해야합니다

우리나라가 경항모를 만들면 남해나 주로 동해에서 움직일터인데
여기는 잘알려져 있듯이 온갖 국가들의 잠수함 소굴입니다
아마 항구를 나서는 순간 부터
중국, 일본, 러시아, 북한놈들 잠수함이 얼쩡거릴 겁니다
공격을 하지 않아도 분명 한두놈은 따라 다닐거에요

그러면 항구를 나서는 순간부터 입항때 까지 25노트 속도 유지는 기본입니다.
경항모 25노트 유지하려면 GE LM2500 가스터빈엔진 10기정도를 풀로 돌려야합니다.
이거 10개 돌리면 하루에 기름값만 10억은 나올거에요


이지스함이 기름값 무서워서 운항을 많이 못하는데 연간 유지비 300~350억 쓴다는데
경항모 유지비 500억? 인간적으로 이건 너무한거 아닙니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그립파 21-08-23 22:24
   
아이쿠 21-08-23 21:18

원래 계획이 부품 호환이였던거고
현실은 시궁창입니다
f-35a만 부품이 30%이상 호환되고
b,c는 호환부품 30%이하에요

그리고 a,c형에 공간이 남아서 기관포를 단것이 아니에요
아무리 미사일 무장해도 과거 f-4의 경험을 통해
스텔스기라도 독파이팅 대비는 해야한다고 판단해서 내장한겁니다
b형은 도저히 공간 확보와 중량 감축을 위해서 뺀거고요

ㅡㅡㅡ
님 이 글에 대한 출처 부탁드립니다.
     
아이쿠 21-08-23 22:43
   
님이 쓴 댓글 다음 발재글 보세요
          
아그립파 21-08-23 23:27
   
그 글도 출처를 알수가 없네요.
미디어상의 출처는 없나요?
               
아이쿠 21-08-24 01:23
   
https://m.blog.daum.net/trent/8211783
이 글을 읽어 보시면
이미 2009년 미 의회조사국의 보고서에
f-35 합동평가팀이 부품 호환성이 25%뿐이라고 하는 부분을 읽어보세요

글 아래 보고서 전문도 있습니다
                    
아그립파 21-08-24 10:23
   
좋은 정보네요.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서클포스 21-08-24 03:39
   
자기가 조사해서 반박할 생각은 안하고 남이 주장을 하면 그기에 대한 조사는 최소한 자신이 하는게 상식인데 날로 먹을려고 하는 사람 심뽀네 에휴..
          
아그립파 21-08-24 10:27
   
동일부품 39.2%
유사부품 41.0%
고유부품 19.8%

동일,유사부품(80.2%) 대비 고유부품(19.8%) 비율로 보느냐,
또는 동일부품(39.2%) 대비 유사, 고유부품(60.8%)의 비율로 보느냐..

사람마다 해석의 차이가 있겠지만
결국 F35 A,B,C 어느 기종이라 한들 전투형식이 바뀌거나
당신 머릿속 상상처럼 세 기종이 아예 다른 기종이라고
여론 호도하는 짓거리는 하면 안되는거임.

F35B가 F35A에 비해 가지는 열위는 폭장량 하나임.

그런데 국방부의 항모 도입 결정 발표당시 명분으로 내세운 것은 '주변국의 항모 도입 움직임에 대한 대응과 원해의 해상교통로 보호'였음.

다시 말해, F35B의 용도는 한국 항모전단 vs 중국 또는 일본의 항모전단의 교전이 발생했을시 해상 제공권을 장악하기 위한 공중전이 주목적인 기체임.
F35B가 A에 비해 암람, 미티어 무장량이 작나? 아니지.
공대지 폭장량 2000lb만 차이가 있을뿐임.

그리고 기총.
공군기인 F35A에 기총이 무장된 이유는 지상군 공격용임.
F15는커녕 F16보다도 기동성이 떨어지는 F35가 WBR 즉 도그파이팅을 위해 기총을 달았다?

그런 고려도 있었겠지. 다만
주목적은 이미 한번 퇴역했다 복귀했고
다시 언제 퇴역할지 모르는 A10의 역할을
부분적으로나마 보완, 대체하기 위한 목적임.

내가 얘기하기 전까지 JSF개념도 모르고 소설쓰기 바쁜 당신이야말로 최소한의 자료는 찾아보는 성의를 보이기 바람.
               
토미 21-08-24 11:07
   
또 모르고 막 배설하네.ㅋㅋ

A형보다 무장, 작전거리 다 열위다.

그리고 기총이 지상군 공격용이란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건 뭔 개소리도..ㅋㅋ

왜 전투기가 기총을 가지는 목적조차 처 모르네.

어이.. 넌 공군이 전부BVR교전만 한다고 생각하냐?  떄로는 상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교전에 들어가야 하기때문에 기총이 반드시 필요한거고.

하여튼 정말 어거지에 상상에...ㅋㅋ

내 세상에 A형의 기총이 지상공격용이라는 개소리는 첨 듣네.ㅋㅋ
                    
아그립파 21-08-24 11:20
   
하아..참 이건 뭐라고 답을 달아야 할지 답이 안 보인다..
                    
아그립파 21-08-24 11:31
   
기관포는 AV-8B 해리어 II 등에 사용된 25mm 5포신 개틀링 기관포인데
지금까지 미군 전투기들이 일반적으로 탑재해 왔던 M61 발칸 20 mm 6포신 개틀링 기관포에 비해 좀 더 대구경이고 위력이 강화된 기관포를 채용한 것은, F-35에게는 A-10의 후계기로서의 역할도 기대되고 있기에 근접항공지원(CAS)를 위한 기총 소사 능력의 향상이 요구되었기 때문이었다.

 F-35가 미사일을 활용한 BVR을 중시하고 WVR는 그다지 중시하지 않는 기종임에도 오히려 지금까지의 미군 전투기들에 비해서 보다 강력한 기관포를 탑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F-35가 전투기로서의 성능 이외에도 공격기로서의 성능 역시 추구한 다목적 전폭기이기 때문인 것이다.

물론, 이러한 강력한 기관포의 채용은 유사시에는 WVR에 있어서도 보다 효과적인 화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ㅡㅡㅡ

나무위키만 봐도 알수 있는 기본정보도 모르는채 그저 나만 보면 까고 싶어서 발정난 개처럼 발광을 하는구나.

왜?
이어도 과학기지가 무인기지인 것도 몰라서 거기 공격받으면 대마도 점령해서 보복해야 한다는 드립으로 망신당한게 아직도 안잊혀져?

아니면,
격납고 두대넣을 자리도 없는 울릉공항에
F35 20기 놓을 수 있다던 드립으로 망신당한게 아직도 열불나니?

매번 줘털리면서도 덤비는 용기는 가상하다만..
병신새끼는 별수 없는 병신새끼네.. ㅉㅉ

넌 나를 무슨 불구대천의 원수로 여기는듯 한데
잘 생각해봐.
 
네 인생 최대의 난적은
매번 뇌를 거치지 않고 똥을 싸지르는 네 주둥이 아닐까?
                         
토미 21-08-24 17:20
   
이 쩌다 또 말장난하고 자빠졌네.. ㅋㅋ
A형에는 기관포가 있고 b형은 실을 공간자체가 없고 C형은 포드장착한다 이 쩌다쉐끼야.

이븅쉰은 헤리어하고 a형하고 비교질하고 자빠졋네.ㅋㅋ
공군에서 전투기를 운영하는데 니같은 만화책만 처 읽는 븅쉰들은 그냥 BVR만 하면 다 되는줄 알지? 이 쩌다야. 비행금지구역 넘어오면 무조건 쏴재끼라고 있는게 미사일인줄 아나

그럼 f35a형 조종사들이 근접전투 연습 조빤다고 하나? BVR로 만 하지.
하여튼 쪼다쉐끼들 어디서 주서들은것만 가지고 아가릴 놀리니 이런 개소리나 쳐하지
이 등쉰아 조종사 f35가 직접 한말이다 이븅쉰아. BVR에 특화되어 있는 전투기지만
전투시 가시내전투를 위해서 근접전투연습은 반드시 한다고... 이 븅쉰아.

그리고 이어도 과학기지가 무인기지니 뭐니 이 븅쉰은 또 어떤 다른 쩌다하고
욕처먹고 이제 내하곤 헷갈려 쳐 하고 자빠졌네.ㅋㅋㅋㅋㅋ
야이 븅쉰아 대가리에 기억이 안되면 한번 찾아보고 아가릴 놀리고

그리고 울릉공항에 이 븅쉰은 2대밖에 주기가 안된다고 해서 내가 관련뉴스링크해줫지?
이븅쉰아. 좁디 좁은 항모에 20대 주기하는데 울릉공항에 2대 밖에 못한다고 또
개소리하고 자빠져서 링크까지 걸어줬지 형아가?

줘 털린단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에라이 이 븅쉰.ㅋ
                    
쿠비즈 21-08-24 15:20
   
ㅋㅋㅋㅋ 님이야말로 막 배설하지 마세요. F-35는 도그파이팅따위는 염두해두고 만든 전투기가 아니에요. 도그파이팅 염두해뒀으면 사이드와인더를 그따위로 장착하게 설계(내부무장창 장착불가... 즉, 사이드와인더를 단다는건 스텔스없이 전투한다는것... 스텔스기가 이런짓 왜함?)했겠어요? 뭔 2차세계대전 비행기도 아니고 단거리공대공미사일도 없이 기총으로 공대공 전투한다구요? ㅋㅋㅋㅋㅋ 미친거 아니에요? 그리고 해병대용인 F-35B는 둘째치고, 해군은 왜 기총 안달았데요? 해군은 공중전 안해요?

F-35의 개념자체가 아주 없는 분들은 제발 헛소리 좀 그만합시다. F-35는 근접공중전을 아예 개념자체에 집어넣지 않은 전투기에요. 스텔스라는 장점과 엄청난 항전장비를 통해 훨씬 먼거리에서 적이 미리 알아채기도 전에 공격(중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이용하여...)하고 이탈하는 것이에요. 그러니 공군용, 해병대용, 해군용 모두 기총안달려다고 F-35A의 대체 기종 중 하나인 A-10의 역할인 근접CAS에 기총이 필요하다해서 지상공격에 좋도록 25mm GAU-22(원래 이모델이 어디 쓰이냐면... 해리어와 AC-130의 GAU-12에서 총렬 한개를 뺀거에요. 해리어와 AC-130은 뭐하는 기체일까요? 그리고 이 기체들은 왜 기총을 달고 있을까요? ㅋㅋㅋㅋ)를 단겁니다.

공중전용 기총이었다면 훨씬 연사속도도 빠르고, 탄속도 빠르며, 집탄성능도 좋은 M61 20mm를 달아야 했어요. 탄도 이쪽이 훨씬 더 많이 적재할 수 있거든요. 근데 왜 M61을 버리고 GAU-22를 달았을까요? 지상용이니까요.
                         
토미 21-08-24 17:25
   
어이 초딩아 형아가 위에 댓글 달았다..

해군용은 포드를 단다고 했다 이 초딩아.ㅋㅋ

그리고 미공군 교리에서 도그파이팅 가리키고 있고 이 쩌다야.

우리나라 공군조종사도 도그파이팅을 위한 기동훈련 하고 있고.ㅋㅋㅋㅋㅋㅋ

하..정말 초딩애들한테 설명하기 귀찮다.
단거리 미사일 못달았다고 도그파이팅 안하는 기체로 혼자 처 판단하고 있고.ㅋㅋ
청매 21-08-23 23:08
   
솔직히 항모는 통일 후에야 한두 척 굴릴만한 거라고 생각함
지금 사면 평소에는 안 신고 모셔두는 고급 명품 신발이랄까?
그보다 더 현실적인 원잠, 핵미사일 승인, 개발에 몰두해야 할 거 같은데..
근데 높으신 양반들은 그렇게 생각 안 하는 듯..
     
울티마툴레 21-08-24 15:10
   
저기요. 모르시면 가만계셔요
달빛대디 21-08-23 23:24
   
1. 2013~2017 까지 이지스함은 유지비는 연간 128~200억원. 이것은 인건비를 제외한 유류비와 정비비용등을 포함한다.

2.일반적으로 가스터빈 엔진은 디젤 엔진에 비해 많은 연료소모를 하게 되는데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에 가스터빈 엔진을 적용한 이유는 이지스 시스템이 엄청난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이다.

3.일반적으로 선박의 크기가 증가하면 톤당 유지비는 감소하는것이 상식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들고 온 지식도 틀려,
가정도 틀려,
계산방식도 틀려,
결론도 틀려...

에휴...ㅋㅋㅋ
     
아이쿠 21-08-24 00:27
   
님의 1번 글의 근거가 http://oxyrhincus.egloos.com/v/514870 이 글에서 유래한 글입니다
2017년 기중 인건비 제외 유류비+정비비만 200억씩
보면 알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증가하는것이 보일겁니다
인건비가 대략 100억 들어가 운영유지비가 2017년 300억이고
이걸 다시 2021년으로 바꾸면 연간 350억정도로 봐야함

위에 글에서 3번의 힌트가 있는데
kd-2 대비 kd-3가 딱 2배 운영 유지비를 사용함 배 톤수대비 운영비는 거의 동일함
즉 배톤수가 증가하면 유지비는 그만큼 늘어남

하지만 이 구축함의 함형은 고속을 내기 유리한 형태의 선체 설계가 적용되지만
경항모의 경우 함재기 운용을 위해 선박의 롤링과 피칭을 제어하는데 주안점을 둬야 하기에
함형이 구축함에 비해 고속을 내기 불리한 함영이다.
위에 계산에는 이런것 까지 계산하기 힘들어 제외 되었다

2번의 이야기 경우 kd-3 이지스함에는
선박 추진을 위한 GE LM2500 가스터빈엔진 4개가 장착되어 있고
선박의 발전을 위해서 3개의 발전용 가스터빈엔진이 따로 장착되어있다
총 7대의 가스터빈 엔진이 장착되었단 소리다

위에 설명글에서는 오직 추진에 필요한 기름값만 계산해서
발전 소요 기름은 제외했다고 적시하였다

실제 우리나라 이지스함은 작전일수도 적지만 실제로
이지스레이더를 가동하는 시간도 그리 길지않은것으로 안다
왜냐? 기름값 많이 나가니까...
     
아이쿠 21-08-24 00:59
   
우리나라 이지스함 실제 연료 소모량 자료를 찾아서 본문에 올려놨다 함봐라
그리고 추진 체계와 발전기 그림도 올려놨다

내가 가스터빈의 출력과 열효율만 가지고 추측한것이 23,553 L/day 이고
실제 가스터빈이 최고 출력으로 돌렸을때 실제 사용량 21,939 L/day 이다
7% 오차면 한정되 정보로 계산한것 치고 이정도면 엄청 정확한거 아니냐?

물론 이지스함에 가변피치 프로펠러가 달려서
순항모드시 연료 절감이 많이 되긴한다
그런데 경항모는 작전이란걸 제대로 뛰려면 전속항진해야한다.
밀덕달봉 21-08-24 01:52
   
경항모 실제로 훈련때하고 긴급한 상태 아니면 대부분 항구에 있을 겁니다.
zaku 21-08-24 08:47
   
다른건 다 제쳐두고

해군의 년 500억원유지비 주장은 좋게 봐도

순수 항모[만]의 유지비를 말하는 것이죠

함재기는 어디 갔냐하면

그건 공군이...라는 속셈입니다

F35B 20기 유지비가 과연 얼마나 할까요?

단지 20기라는 숫자, 유지비 귀신인 F35 중에서도 무려 B형이라는거 등등

못해도 조단위 조심스레 추측합니다

공군은 무슨 죄로 해군 숙원사업에 유지비를 조단위로 빨려야 할까요?

같은 F35 공군예산 태울봐엔 A를 가지 B를 가서 골머리 싸맬 이유가 대체?
키륵키륵 21-08-24 09:39
   
추측에 추측을 더한 글로 얘기해봐야 아무 소용 없습니다. 쓸데 없는 얘기는 그만 합시다.
마스터우부 21-08-24 11:23
   
해군이 발표한 유지비 내역을 알고나서 까도 늦지 않습니다
이런 단순 계산으로는 오차도 심하고 의미없어요
쿠비즈 21-08-24 15:10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지스함이 30노트로 하루종일가면 기름값이 문제가 아니라 그전에 가스터빈 박살나겠네~~

그리고 항공모함이 F-35B를 운용하려면 항상 25노트로 달려야 한다구요? 도대체 이딴 헛소리는 왜할까요? ㅋㅋㅋㅋ 그럼 22노트가 최고속도인 아메리카급은 F-35B 운용불가네요? 근데... 잘만 날리는데요? ㅋㅋㅋㅋㅋㅋ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5102101071427109001

이 기사 한번 보세요. 청해부대가 7개월간의 작전을 위해 사용하는 유류비가 30억 정도(국내에서 가득채워갈테니 33억쯤 되겠네요.)랍니다. 7개월간의 연속작전을 위해 사용하는 유류비가 30억이라구요. 님말대로 COGAG인 세종대왕급은 이 두배정도(이미 국회보고에서 이정도 들어간다고 해군에서 밝힌바 있죠.)인 60억 정도 들어요. 님 주장대로면 세종대왕함은 연간 13일만 작전하는겁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좀 할만한 소리로 항모반대주장을 합시다.
     
토미 21-08-24 17:27
   
야이 초딩아....넌 문자를 이해를 못하냐?

잠수함의 공격을 회피할려면 최소 20노트이상 달려야 한다고 한걸 도대체 어떤 머리로
넌 그렇게 이해하냐?ㅋㅋㅋ
     
아이쿠 21-08-24 17:32
   
현대중공업 롤모델 퀸엘리자베스급 28노트
대우조선해양 롤모델 트리에스테 25노트

미 항모는 작전 구역에서 30노트 속도를 유지하고
당연히 그 호위함인 알레이버크급 구축함도 30노트 유지함

kd-2는 추진 방식이 CODOG임 이게 뭔지는 알겠죠?
청해부대는 보트 타고 다니는 해적이나 상대하러 간거지
중국 러시아 일본 해군 강국들의 잠수함 같은거 신경안쓰니
평소 10노트로 설렁설렁 다니거나 배 드리프팅하고 있어도 아무 상관없는 구역임
나그네x 21-08-24 20:46
   
항모자체의 운영유지비용은 그리 큰 문제는 아닐겁니다. 듣기로도 퀸엘급을 보면 그리 염려할 만큼의 운영비용은 아닌것같던데. 문제는 역시 다른 함재기들의 확장성과 b형의 운영문제일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