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8-29 22:31
[질문] F-35A와 비교해서 F-35B는 몇 대 정도 보유, 운용하는 것이
 글쓴이 : korean1004
조회 : 2,407  

F-35A와 비교해서 F-35B는 몇 대 정도 보유, 운용하는 것이 적정한 수준 이라고 볼 수가 있을까요? F-35A를 60대 운용한다고 보면 CVX 사업으로 건조 되는 경항공모함을 2~3척 정도 운용한다고 가정하면 기체 가격과 운용유지비,만 수리비, 가동률과 예산 문제, 작전과 훈련, 정비의 순환을 고려하면 F-35B는 몇 대 정도 운용하는 것이 전력 증강과 유지 라는 측면에서 보면 합리적 이라고 볼 수가 있을까요?

F-35B를 20대로 끝날지 아니면 추가 도입한다면 40~60대 정도 도입해서 운용할지 어느 쪽이 가능성이 높을까요? F-35A 뿐 아니라 F-35B도 운용하게 되는 공군 입장에서는 20~40대 정도로 만족할지 아니면 60대 정도 운용하고 싶을지 어느 쪽일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푸른능이 21-08-29 22:42
   
원래부터 공군은 F-35b 도입에 부정적이었습니다.
도입해도 결국 20대에서 끝나고 나중에 원래 예측되던데로 F-35a나 20대 더 도입할 겁니다.
야구아제 21-08-29 22:43
   
해군이 주장하는 경항모 기준으로 한 척에 F-35B는 12대 정도가 한계 운영 대수라고 보고 원래 항공대는 순환배치가 기본이므로 이를 운영하기 위해 12 X 2 대는 필요하죠.

세 척 기준으로 보면 24 X 3, 못해도 24 X 2 정도 그러니까 72대, 적어도 48대는 있어야겠네요. 전술적 운영에 대한 산술적 계산으로 말이죠.

하지만 그렇게까지 운영은 불가능하겠죠.
vexer 21-08-29 22:54
   
저는 경항모 3척 은 아닌것 같고요. 경항모 도입 이후에는 정규급항모로 넘어갈거라 봅니다. 물론 정규급에서도 35B를 운용할지 모르겠지만, 일단은 경항모 1대 기준으로 생각하는게 맞다고 보고, 이후 필요에따라 더 도입할 수는 있겠죠.
     
강냉이수염… 21-08-29 23:19
   
일본이 헬기호위함을 경항모로 개조 했듯이 한국도 독도함 마라도함을 경항모로 쓸수 있게 개조할수 있다고 해군이 말했음
          
야구아제 21-08-29 23:22
   
그런데 사실상 불가능하고 솔직히 그래서도 안 되고요.
벌레 21-08-29 23:49
   
경함모 운용 안하고 F-35B도 공군은 계획 철회했습니다.
대형항모로 미국과 합의 되었습니다.
이쪽은 정보통 소식이 늦네요.
서클포스 21-08-30 00:15
   
사실상 F-35B 는  무리라고 봐야져.. 공동 개발국인 미국 영국 조차도 성능에 의구심이 생겨서

다 축소 하는 마당에.. 무슨 우리나라는 이탈리아 일본 처럼 조립생산도 못해.. 정비도 못해..

뭘 믿고.. 저런 생산대수도 얼마 안되는 초 슈퍼 애물단지 스포츠카 같은 F-35B 를 받아서 얼마나 개 고생을 할려는지

분명히 영국 미국 등의 부품 공장에서 부품 수급도 제대로 될려는지 의문이 들고.. 솔직히

이건 성능을 떠나서 보급 정비 분야가 너무 취약함.. 단순히 돈 많이 드는것 보다 더 취약한 운영 하는 것 자체가 우리로써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것이 뻔함..
무에서유로 21-08-30 00:15
   
항모+F=35B 돈으로 잠수함 늘리는게 더 좋을거 같은데요?

제주도 해군기지+ 잠수함증강이 더 좋아보입니다. 그리고 돈남으면 공중급유기 추가도입
에이테킴스 21-08-30 06:02
   
F-35 자체가 돈덩어리 입니다.
우리나라는 60대 보유로 끝내야 합니다.

미국도 F-35 조치 퇴역 운운하는 마당에...
60대면 종심 타격용으로 충분합니다.
이도저도 21-08-30 07:29
   
라뚱이 60대 이상늘리는건 별로입니다. 보라매와 조기경보기, 급유기추가가 더낫습니다.
환3140 21-08-30 07:43
   
제가 보기에는 함재기 댓수가 문제가 아닙니다
소화 할수있는 출격횟수가 문제 입니다
경항모의 소티로는 단독 작전이 안되기 때문에
그 이유는 초계 비행하는데 소티를 다 소진해 버립니다
경항모 두대가 함께 작전해야 그나마 공격기지가 되는거지
한대로는 아무 의미가 없는 무기체계 일뿐입니다
     
축산업종사 21-08-31 06:07
   
경 항모냐 중대형 항모냐는 사실 소티에 큰 의미 없습니다.
그 예로 7만톤급 퀸엘리자베스호와 4만톤급 샤를드골호의 소티를 비교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상식적으로는 퀸엘리자베스가 압도적으로 높아야 하지만 현실은 샤를드골이 2배 이상 높습니다.

이유는 단 하나.
캐터펄트 유무.

즉, 한국이 대형 항모를 건조한다 하더라도 미국으로부터 캐터펄트를 도입하지 않는다면 4만톤 항모보다 소티가 낮다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