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12-04 16:37
[사진] 방사청장, 한국이 개발중인 레이저 무기의 위력 언급
 글쓴이 : 노닉
조회 : 6,869  


◯방위사업청장 왕정홍 : 지금 드론 떨어뜨린다는게 이미 시제품이 나와 있는데 철판 3㎝를 2㎞에 서 뚫는다는데 그게 팔십몇억 됩니다. 그러니까 이게 4차 산업혁명에 관련되기 때문에 가격은 또 싸지는 않습니다.


2km에서 3cm 철판을 뚫는 80+@억짜리 레이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푹찍 19-12-04 17:04
   
2km 에서 4호전차 전면장갑 관통 ㅋ
그린치킨 19-12-04 17:08
   
발전기가 미군꺼보다 작으니 어쩔수 없는거 아닐까요..
좀더 발전 시켜야 할듯요..
의자늘보 19-12-04 18:24
   
가격은 생산량이 많아지면 떨어지게 되어 있죠....
그나저나 2km에 3cm 철판 관통이라면, 드론 같은 방어력이 거의 전무한 기체는 4-5km 정도에서도 격추가 가능하겠네요....
안개, 우천, 등의 일기상태를 고려한 성능인지 아니면 화창한 날의 성능인지가 궁금하네요.
매직카페트 19-12-04 18:43
   
일단 돈이 들더라도 계속 연구 개발해야 겠죠.
온세가람 19-12-04 19:14
   
문제는 그 3cm를 2km 거리에서 어느정도의 시간에 관통하느냐 아닌가요? 하루종일 비추고 있어야 관통하면
의미가 없으니까요 이런 기사들 보면 늘 이런식 몇초만에 관통한다는말은 없음
     
frogdog 19-12-04 20:02
   
저기 물리시간에 잤습니까?

빛은 초당 지구를 7바뀌반 돈다고 하지 않았나요?

레이져도 빛인데 엄청나게 쎈 에너지로 보낼껀데 미샤일도 아니고 시간을 논할수 있나요?
          
SmartStream 19-12-04 20:53
   
레이저 무기로 철판을 관통해서 고장내는 것 보다는 표면을 가열시켜서 내부 회로를 태우는 방법일 꺼예요. 2-3kw 짜리 레이저로 10 cm 이상 떨어져 있는것 녹이면서 내부 관통 쉽지 않습니다. 철은 녹으면서 다시 용접됩니다. 따라서 님들이 자주 봐 왔던 산업용 레이저는 녹이면서 바람으로 날려 버리기 때문에 몇cm 짜리 철판도 쉽게 뚫는 거지요. 뱅기나 전차에 레이저 사용하긴 쉽진 않습니다. 사용한다 쳐도 외부를 전도도 높음 구리 합금에 내부 탄소 단열재 사용하면 뭐 왠만해서는 떨어지지 않을 거예요.
               
archwave 19-12-04 23:37
   
미사일, 전투기, 드론 등등 날아다니는 물체는 언제나 강력한 바람이 주위에 돌고 있잖아요.

녹은 물질이 즉시 공중으로 흩어져버리기 때문에 관통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집중되는 에너지 양이 얼마일지가 문제.
          
새우당 19-12-05 00:22
   
난독증 입니까?  레이저가 날아간 속도를 물어 본 것이 아니라 .. 목표물을 태우거나 뚫어버리기  위해 얼마나 레이저를 쏘고 있었는지를 물어 본 거잖아요.
          
츄우 19-12-05 10:34
   
ㅋ 물리시간에 잔 사람은 본인일듯.
빛이 누가 초당 지구를 7바퀴반의 속도로 가는 걸 모르나요?
하지만 형광등이나 태양빛이 철판 관통하나요?
레이져 포인터로 칠판 가리키면 칠판 뚫리나요?
레이져 무기가 빛이 통과하지 않는 물체를 관통하기 위해서는 열로 녹여서 뚫는 방법 외엔 없어요.
왜냐하면 빛은 질량(무게)가 없기 때문이죠.
당연히 닿았을 때 충돌 에너지등이 없으므로 고온으로 녹이는 방법 밖에 없어요.
그 열로 녹이는 시간을 단축시키려면 얼마만큼의 에너지가 일점에 집중되느냐가 관건이죠.
어렸을 때 돋보기로 태양열 모아서 종이 불태워 본 실험 해봤다면 알겠죠.
때문에 레이저 자체가 단위면적당 에너지가 일반 빛과 비교불가고 쏘는 순간 거의 표적에 도달하겠지만 관통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당연히 출력이 우수할 수록 빨라지겠죠.
그러니 같은 레이져 무기라도 출력에 따라 관통시간에 차이가 있다 이말입니다.
     
모래니 19-12-04 20:31
   
1~2초 내에 뚫는 두께겠죠.
     
다른생각 19-12-04 21:19
   
그정도 자료는 기밀급이라 공개되지 않을듯..
나중에 양산형 나와서 마케팅용 데이타에 내용 추가할수는 있겠지만..
아직은 썰로 조차도 나오는 내용이없죠..
모래니 19-12-04 20:30
   
레이저와 레일건은 참, 발전이 더뎌요.
영웅문 19-12-04 20:33
   
모회사내에선 사진을 찍으면 안되는데.....
어떻게 찍었는지????
하나둘넷 19-12-05 15:33
   
https://www.google.co.kr/amp/s/m.mk.co.kr/news/politics/view-amp/2019/09/735554/

ADD 주관 한화가 체계개발사고 출력수준 수십KW급으로
2023년 개발완료 예정입니다.
나그네x 19-12-05 22:33
   
일반적으로 it나 네트웍,디지털산업 발전하는 속도에 비해서 소재공학,재료공학,기초공학쪽이 개발속도가 상당히 더디다고 합니다. 이쪽이 기술이 it기술만큼이나 빨리 발전했다면 아마도 자동차는 sf영화처럼 공중에 떠다니고 있을수도.
그만큼 기술발전이 힘든 분야..
솔직히 레이져무기나,레일건은 과거 수십년전부터 실용화 소리만 들엇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