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8-15 14:16
[사진] 음향 흡수 타일이 적용된 도산 안창호함
 글쓴이 : 블루로드
조회 : 3,363  

가생이 회원 한분이 3000톤급 잠수함인 도산 안창호함에 음향 흡수 타일이 적용되었다는 걸 가르쳐 주셔서, 여러분들과 공유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수면 위로 드러나는 함의 윗부분은 여러가지 장치가 설치 되어 있는 비압력구획으로 이들 장치들이 외부에 들어나지 않도록 철판으로 가려져 있고, 그 아래 물에 잠긴 부분이 압력선체로 여기에 음향 흠수 타일이 붙어 있음. 

도산 안창호함은 음향 흡수 타일이 적용된 스텔스 잠수함.

https://i.imgur.com/ZTBVWrt.jpg


https://i.imgur.com/5rqZSGY.jpg



세일(잠수함 위에 튀어나온 부분)을 따로 떼어서 올립니다. 여기 좌우측 벽면에 타일 같이 보이는게 음향 흡수 타일인지는 모르겠습니다 <= 전문가님들 출동해 주세요 ~
  
https://i.imgur.com/Ppj1K26.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나무와바람 21-08-15 14:22
   
여기에 장착된 음향흡수타일에 관한 간단한 설명이 있는 블로그 글이 있네요...

https://m.blog.naver.com/kevin1406/222268557920
대팔이 21-08-15 14:39
   
근데 선체 상부는 왜 음향타일이 안붙었지?
소류급보면 상부도 다 붙어있던데...
https://www.thecommoditie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489
Augustine 21-08-15 15:43
   
음향무반향타일 설치시에 스텔스라고 까지 말하기엔 좀 그렇지만 음향표적강도가 상당수 줄어들어 생존성이 높아집니다.

음향무반향타일은 아무데나 막 설치 하지 않습니다. 선형 개발 시에 선형에 따른 피탐계수 들을 추정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음향표적강도가 높은 구획들을 최대한 특정하고 난 뒤 음향무반향타일, 특수 도료 및 스텔스 재질의 부착물을 설치 합니다.
     
머리에꽃 21-08-16 00:48
   
소류급처럼 도배 하듯이 다 붙여 버리면 저피탐 기대치는 당연히 상승합니다.

그렇게 못 하고 시뮬 돌려가며 최대한 선택과 집중을 하는 이유는 하중 증가를 받아낼만큼
여유 배수량이 넉넉하지 않다는 거 말곤 생각 할 수 있는 게 없습니다.
한마디로, 도배를 안 하는 게 아니라 못 하는 겁니다.

국과연이 예전에 시제로 내놓은 두께 79T짜리 무반향타일을 209급에 장착시 무려 100톤의
하중이 증가 한다는 결과가 도출 되었습니다.
림팩에서 미 해군의 능동소나부이에 개털리면서도 무반향타일 장착은 엄두도 못 내는 건
밸런스는 둘째 치고 애초에 209급,214급은 그런 하중 증가를 감당 못 하기 때문이죠.

소류급은 무반향타일로 아주 도배를 해놨는데..그렇다면 안창호급은 소류급 보다 기술적으로
떨어진다는 얘기냐..라고 할 사람이 있을 것 같아 미리 적자면.

소류급과 안창호급은 대충 같은 싸이즈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의 비슷한 체급이죠.
그런 싸이즈에 무려 VLS가 들어 갔습니다.
소류급을 기준으로 본다면 안창호급은 그냥 대놓고 과무장이죠.
배수량도 당연히 소류급이 여유가 있을 거라 보는 게 합리적입니다.
          
vexer 21-08-16 07:10
   
설명 감사합니다.
          
밀덕달봉 21-08-16 07:20
   
음향을 타일을 전체 안바른건 어차피 시뮬레이션으로 필요한 만큼 바른겁니다.
어느 수준까지만 줄여주면 상대방 입장에서 수괴인지 잠수함인지 구별하기 힘들죠.
실제로 돌려보고 필요한 곳 필요한만큼 붙입니다.
이건 f-22같은 스텔스기도 마찬가집니다.
타일을 전체로 붙이면 좋을수도 있겠지만 여러각도에서 여러 심도에서 시뮬레이션 해보고 계산해서 붙인겁니다.
209에 붙이는 것도 무게문제도 있지만 3000톤급 잠수함을 만들어 근해 이외 지역에서도 작전할 경우수를 두고 음향타일을 붙인 반면 209급이나 214급은 크기도 크기지만 작전구역이 아마도 서해나 동해 근해일 가능성이 커서 비용대비 효과가 적다고 판단할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마치 고속정에 이지스 레이더와 방공미슬 달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보면 될 겁니다.
          
바람노래방 21-08-16 22:24
   
소류급은 깊은 잠수를 위해 공간의 상당 부분은 고강도 구조로 채워넣었습니다.
그래서 조루가 된 잠수함이죠.
게다가 자동화등이 거의 2차대전급에서 약간 발전했다 할 정도로 미비한 수준이라 필수 승무원 숫자도 많죠.
소류급은 잠항 매복을 위한 구조강도와 음탐회피를 위해 잠수함의 다른 기능들을 상당히 희생한 함형이라
소류급은 기준이 못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