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7-25 16:11
[기타] [펌] 디타 2월호의 FFX-BATCH 3가 BMD 능력 가지는 이유
 글쓴이 : 노닉
조회 : 2,541  



북한은 장거리 해상 감시 능력 결여로 북한 해안에서 멀리 이격된 해상 작전 새력을 탐지하여 타격할 능력은 갖추지 못하였다. 문제는 북한 해군 해상 감시 레이더로 표적을 추격할 수 있는 북한 연안 근처에서 작전 하는 아군 해역함대 세력은 북한 지대함 미사일뿐만 아니라 대함탄도미사일 위헙에도 노출되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NLL 근처에서 작전하는 해군 2 함대예하 해상작전 전대는 북한 지대함 유도탄 위헙에 노출된 상태에서도 작전을 해야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해역함대에 배치되고 있는 FFX 계열 호위함에 SLQ-200K 소나타 체계를 통합하여 해당 체계의 광대역 전방위 ESM 안테나와 지향성 ESM 안테나(진폭 대조 방탐과 위상차 방탐 복합 시행)를 사용하여 전리층 반사를 활용할 수 있는 D 밴드 또는 그 이하 대역의 레이더를 대규모 덕트 전파를 활용한 초 수평선 탐지와 경보를 시행하고 신호 도래 방위를 정밀 측정하여 대응하며, 소나타 체계에서 ESM보다 작동 대역은 더욱 좁지만 화력통제레이더 작동 대역에서 집중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 ECM 체계는 H 밴드 이상에서 개구비가 크고 EA 스티어링 각도가 클수록 안테나 이득이 증가하는 안테나에서 다양한 모드(AM noise, swept spot nosie, RGPO, RGPI, VGPO, VGPI등)의 EA가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출력 밀도가 제한된 대함 미사일의 RF 능동 센서와 지대함 유도탄 화력통제레이더에 대해서 장거리에서 NSR(Noise to Signal Ratio)가 크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빔폭이 좁은 EA의 스티어링을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다수의 지대함 미사일에 대응할 수 있다.

대구급 호위함에 스텔스 형상 설계가 도입된 것도 이와 같은 강력한 전자전 체계 통합과 맞물러서 지대함 미사일에 대한 강력한 생존성을 갖추기 위한 것이라고 짐작된다.

무엇보다 인천급에는 기본적인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RIM-116 21발)과 팰렁스가 통합되고 대구급에 통합된 K-VLS에 탑제된 해궁 16기가 탑재되는 등, 새로운 해역 함대 주력은 구세대 해역함대 주력함들과 달리 북한이 보유한 지대함 유도탄에 대한 대응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해역함대 주력함선으로 도입되고 있는 PKMR 고속정(검독수리급)에는 진폭 대조 방탐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레이더 경보 체계(소나타 체계의 ESM보다 수신 대역 범위가 더욱 좁다)인 SLQ-201Q가 통합되고 이를 PKMR에 통합된 MASS 다영역 자체방어체계와 연동한 전자전 체계가 통합되면서 역시 북한 지대함 미사일에 대한 강력한 소프트킬 대응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처럼 한국 해군이 KDX 계열 방공 구축함들을 운용하는 기동전단(장차 기동전단이 추가로 창설하면서 기동함대 체제가 될 것이다)뿐만아니라 해역 함대도 지대함 미사일 대응 능력을 갖추어가고 있다는 것은 북한 당국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스커트 미사일 기반 단거리 대함 탄도 미사일을 개발하여 배치하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인 것으로 짐작된다(상륙 부대를 북한 해안선 근처에서 단거리 대함 탄도미사일로 타격, 저지하는것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장차 해역함대에 배속되어 전대급 기함(함대 기함은 장차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을 대체할 FFX batch-IV)으로 운용될 FFX 3차선(FFX-III)에는 S밴드 고정형 MFR(Multifunctional Radar)를 사용하여 탄도 미사일을 추격하여 함대공 유도탄 사격 제원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도록 설계되며, 자함 방어를 위한 해궁과 함께 탄도미사일 요격을 위한 장거리 함대공 유도탄도 통합될 예정이다.

북한 내륙에서 발사되는 단거리 대함 탄도 미사일은 장차 총 4 세트가 운용될 EL/M-2080 탄도미사일 조기경보 L 밴드 AESA 레이더(이하 그린파인 레이더)가 먼저 탐지하여 추격하게 된다. 한국은 탄도미사일 조기경보체계로 운용하기 위해서 그린파인 Block-B 레이더 2 세트를 배치하여 항공우주작전본부에 연동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2 세트를 추가 도입하여 총 4 세트를 운용하게 된다. 추가 도입한 그린파인 레이더는 Block-B보다 성능이 향상된 Block-C(각개 C/D 밴드 TRM의 소자 이득과 출력 강화로 탐지거리가 증가하고 컴퓨팅 파워가 향상된 것으로 추정)이다. 이들을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기존에 그린파인 레이더 2기를 운용할 때보다 KTMO-cell의 탄도탄 추격 고도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추격하는 탄도탄의 예상 탄탁 좌표를 산출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KTMO-cell에서 탄착점 예상 자료를 기반으로 FFX banch-III가 기함으로 편성되는 전대를 노리는 대함탄도미사일에 대한 경보를 제공하며 해당 탄도탄의 트랙은 KTMO-cell과 연동되어 있는 연동통제소에 통합된 대한민국 국방부 표준 0018호 데이터 통신 체계 터미널에서 해당 프로토콜 전용 탄도탄 트랙으로 구성, 연결 노드(총 4개)를 통해서 FFX banch-IV의 전투정보체계에 통합되는 동일한 표준의 터미널에 연동된다.

FFX banch-IV는 최종적으로 터미널(해상 JTDLS)과 전투정보체계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한민국 국방부 표준0018호 고유 탄도탄 트랙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대함탄도미사일의 예상 접근 공역을 파악하고 해당 공역에 S 밴드 AESA 레이더 최소 1기의 추적을 집중하고(나머지 3기의 S 밴드 AESA 레이더는 탐색모드)자체 추적 가능한 공역으로 ASBM이 진입하면 장거리 함대공 유도탄으로 교전할 있는 태세를 갖추게 된다.

​---

​요약하면 북괴의 대함 탄도탄 대응용으로 BMD를 가진다는 것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나무와바람 21-07-25 21:02
   
잘 봤습니다 ^^
푹찍 21-07-25 23:01
   
북한(이라고 쓰고 중국이라고 읽는) 대함탄도탄 막아야지~
그런데 북한은 뭘 가지고 표적을 찾고 락온하고 그것을 유지 할 수 있을까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