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1-18 10:29
[잡담] AW-159의 한계와 그 우려점
 글쓴이 : 현시창
조회 : 3,674  

 
1> 해상작전능력의 근본적 한계
 
한국보다 앞선 덴마크군이 도입수량을 줄이면서까지 AW-159대신 시호크를 선택한 이유는 근본적인 성능이 마땅치 않았기 때문입니다. 본가인 영국의 경우 멀린의 공백을 메꿔주고 보조해주는 역할이기에 이러한 성능부족문제가 크지 않지만, 그걸 주력으로 운용해야하는 군의 경우는 얘기가 달라집니다.
 
특히 악천후상황에서의 작전능력, 그리고 작전지속능력이나 범용성이 씨호크보다 상당히 뒤떨어진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이러한 근본적 문제를 해결할 수단이 현재의 한국해군에게 있는가?라는 물음을 생각해보면 해결 솔루션이 없습니다.
 
애시당초 본 사업의 목적이 대잠작전능력의 근본적 향상에 있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본목적을 망각한 선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디핑소나는 두 기종 다 플레쉬를 사용했지만, 향후의 발전로드맵을 생각하면 이미 저주파디핑소나를 시험중인 씨호크에 비해 미래가 밝지 못하고, 기체의 중량문제로 인해 향후 성능향상 프로그램 도입에 있어서도 문제가 많습니다.
 
결론적으론 기존 링스를 도입하며 드러난 문제를 다시 반복하는 도돌이 사업이라는 한계점. 이건 명확히 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2> 피드백의 부재
 
기존 청해부대의 운용에서 가장 크게 지적받은 문제점이 함재 헬리콥터의 문제였습니다.
말 그대로 헬리콥터가 작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데 반해 성능부족과 한계 때문에 작전진행에 크나큰 차질을 준다는 것은 물론 작전운용범위까지 심각하게 좁혀버리는 문제점이 존재했습니다.
 
아덴만 여명작전에서도 우리 특수부대원들이 훨씬 위험한 보트를 이용한 도선에 임한 이유가 바로 링스에 있습니다. 링스는 해상에서의 패스트로프가 불가능한 기종이기 때문입니다. 보트로 접근을 해서 선박에 올라간다는 건 매우 위헌한 작전입니다. 그리고 그 작전을 결행하게 한 요소가 바로 헬기의 성능부족이었지요.
 
특히 헬리콥터를 이용한 초계에 있어 탑승인원과 장비가 절대적인 요소인데 링스는 이 부분에서 매우 부족했고, 작전범위와 시간도 짧았습니다. 물론 작전중량을 1톤 늘렸다지만, 이건 큰 요소가 되질 못합니다. 어차피 새로운 장비를 탑재함으로서 향상된 작전중량이 상쇄되기 때문에 어차피 탑승가능한 인원은 슈퍼링스와 동일한 1~2인 수준입니다.
 
즉, 앞으로도 해군은 헬리콥터를 이용한 검문 검색, 침투와 투입작전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여러가지 카드를 제한적으로 쓰는 것과 아얘 쓰지 못하는 건 큰 차이가 있지요. 헬기를 이용한 선박침투를 하지 못하는 해군을 상대로 해적이든, 정규군이든 침투루트가 뻔한 우리 군을 상대로 한 전술을 짜는 건 매우 쉬운 일이겠죠. 만일 해외작전에서의 성과를 기반으로 한 피드백이 이뤄지고 점수를 받았다면 예산을 추가 지출하고 수량을 줄여서라도 씨호크를 도입하는 게 타당했다고 봅니다. 실제 덴마크 해군은 그렇게 했습니다.
 
3> 우려점
 
어느 분들은 AW-159도입으로 해상형 수리온 개발기술을 얻는다느니하는 것으로 위안점을 내세우곤 하는데...그건 그때 얘기지요. 어차피 수리온 해상형이 나오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게다가 부품호환성 역시 가장 큰 소모율을 자랑하는 구동계를 공유할 씨호크가 나을 뻔했습니다. 고작 24대가 공통화 분모인 링스시리즈에 비해 씨호크는 백수십대의 수리온과 백수십대의 블랙호크와 공통분모를 가집니다. 더구나 차기 소해헬기의 가장 강력한 후보 역시 MH-60계열입니다-_- 운용공통성을 생각했다면 반대로 행동했어야죠.공통성을 끼어들면 할 말이 없는 건 오히려 AW-159입니다.
 
그냥 예산에 맞춘 결과물로 생각되고, 이로 인해 파생될 문제점은 여태까지처럼 빤합니다.
우리가 슈퍼링스를 운용하며 토로한 문제점이 고스란히 도돌이 될 겁니다. 즉, 안 사느니만 못한 꼴이 되는 거지요. 이게 제가 우려하는 최악의 문제점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2히힛 13-01-18 11:39
   
흠... 이런문제도 있었군요;;
스마트MS 13-01-18 12:06
   
아아아
언제나 좋은글 보고 갑니다
-------------------------
_________________________
아아..아......아아아...아...
스마트MS 13-01-18 12:28
   
남왜의 씨 홐. 면허생산.  멀린. 소규모 보유. 해상전력의 일부분 항공전력 격차를. 줄여나갈수 잇는 계기. 기회가
되길 그저 바랄뿐
그나저나. 덴마크는. 그럼. 멀린 과. 씨홐을 운용하게 되는것인가요? ㅎ유~
왠지 이상적인 구상도네요 ㅎㅎ 멀린 씨홐 조합. (예산만 많다면야 ㅜ ㅜ)
COOGI 13-01-18 15:20
   
수십대도 아니고 8대로 대잠 핵심기술+ 링스2차분 무료 업글하고 2차에서 때어질 부품은 1차 링스 교체 부품으로 활용 할수 있다 들었고,
앞으로 대잠헬기 수요가 수십대 더 있고 이는 수리온 대잠으로 간다는 설이 있는데 오히려 이득이 더 많은 사업의 기초가 된건 아닐련지요?
남풍 13-01-18 15:47
   
예산이 가장 문제 아니었던가요?  가뜩이나 돈 쓸데는 많구 차기 전투기 떡밥일수도.....
참치 13-01-18 16:53
   
언제나 예산이 문제지요. 이럴 땐 일본이 부러움... 미국수준은 꿈도 안꾸고요.
user386 13-01-18 17:33
   
링스를 운용하며, 그 한계를 피부로 느꼈을 해군의 이번 결정은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군요.

AW-159의 선정을 두고 며칠전 뉴스에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가 나와 천안함 사태를 겪고도
우리 국방부가 아직도 정신을 못차렸다는 말이 생각나게 합니다.
블래기01 13-01-18 18:12
   
뭐 시호크에 비해 여러가지 면에서 부족하다는것은 이미 알고 결정한것 일텐데요.

대량 구입한것도 아니고 무기 수입 다변화와 가격 그리고 차기 국산 헬기 개발을 위한 기술지원등을

더 많이 고려한결정이라면  그 나름대로 의미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둘중에 어떤걸 선택하든  이런식의 뒷말은  나오게 되어있습니다.
소리 13-01-18 18:58
   
잘 보고 갑니다
스마트MS 13-01-18 19:31
   
그렇다면
이제부터
지켜보아야할 사항은
과연
무상(공짜)이란 단어가 붙은 업그레이드의 수준과
소나관련. 핵심기술 전수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여러 주요기술일부분 제한된 전수인지와
원만하고 매끄러운 진행이 이루어질지 잇겟군요
오래전엔. 링스관련 도입시 계약한. 로터 블레이드 관련기술전수가 미적미적 늦장부린 사건도 발생햇어더란
들은기억이 생각나서 말이죠(정말 오래전에 들은 이야기인지라. 카더라~루머 일수도 잇습니다;;ㅎ)
풀 패키지.급 사양으로 성능향상이 될수잇는  대당 많은 비용이 필요한 업그레이드인지
작은규모의 성능업인진
해당 군당국의 체결사항일테지만. 궁금하군요. 분명 무상업글은. 주가 아닌 조의 옵션사항중 일부분일텐데
해군의 만족도 요구도를 충족 가능한 성능업을 말이죠
전럭공백을 최소화 하기위한
대략 차기 국산형 해상형 수리온(가칭)의 등장 실전배치 전까지 수명연장. 내구도의 향상만인지 ..

애초 대잠형이 아닌 링스에 개량의 여지가 남아잇다면
엔진교체. 내부장비 사양. 소프트웨어등 왠지 적지않은 비용이 필요로 하는 부분일텐데 말이죠
무상 업글의 범위가 상당히 관심이 가는군요. 하물며
기술전수도 이왕이면. 멀린!의 디핑소나 완전기술을.....;;;
(퇴역전 씨 킹이라도 공여 받아. 씹고뜯고맛보고 할기회라도 ㅎ)
뭐 하여튼
전략적 협력관계로 나아가며
마켓팅 파트너로서 맺어지면
향후. 쾌청한 하늘아래 밝은 미래를 걸어나가는
.
.
.


섬나라 완 그런건 없고 그냥 서로 좋은 거래가 되길.....
=영국도 경제사정 별반 호조세도 아니고 군비감축 성향으로 진행되며
지연연기 되는 대형사업도 잇고. 1억짜리 자동차 수많이 판매하는것 같은
방산사업 개척. 하물며. 영국 회사와 이탈리아 회사는 각자 살길을 찾아가야 하니
망구스타/판매권리 까지 터키 전달된것 마냥.  ㅎ )
풍류공자 13-01-21 14:48
   
좋은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