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1-26 12:37
[공군] KFX 전자전기도 나올까요?
 글쓴이 : 인스피어
조회 : 3,662  

중국 J-16D도 전자전기라고 해서 봤드니.. 일반 전투기 모양이던데..
그럼 KFX도 가능하지 않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좋은여행 22-01-26 12:44
   
당연히 개발하겠죠. 과거에 토네이도 전투기도 독일에서 전자전/정찰 버전도 만들었는데, 지금 관련 소자나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의 발전이 있으니까요. 다만 그 성능이 어느 정도인지는 가늠을 못하겠습니다. 무인기로 개발될 수도 있겠네요.
야구아제 22-01-26 12:44
   
F-18G 글라울러(으르렁거림)를 보건데 KF-21도 충분히 전자전기로 개량이 가능하죠.

문제는 우리에게는 기술도 부족하고 경험도 부족하기 때문에 당장 제대로 성능이 나오게 하려면 미국의 기술지원이 필요하죠.

우리가 개발을 독자 개발을 하려고 해도 그라울러를 도입해 운영은 해 봐야 개발을 위한 데이터나 경험이 쌓여서 개발을 현실화 할 수 있을 겁니다.
땡말벌11 22-01-26 12:46
   
멋지네요. 생각만으로도
도나201 22-01-26 12:47
   
아뇨.

우선은 형상관련 개념 연구에서.  KF21의 전자전기 개발은 포기한 상황입니다.
전자전기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중형수송기에 탑재되어서 개발되는 상황입니다.

이미 상당수준의 개발이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서클포스 22-01-26 12:52
   
일단 포기한 거 어디서 자료를 찾을수 있나여?

일단 KAI 로드맵 은 전자전기 도 나와 있긴 하져

지금 각종 연구 개발 상황으로 봐서는 불가능하지는 않음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6893
     
돌개바람 22-01-26 13:00
   
중형수송기 기반 전자전기는 애시당초 KF-21기반의 전자전기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KF-21기반의 전자전기를 포기한 적도 없구요 정확히 말하면 아직 실전배치도 안된
기체이기 때문에 그걸 기반으로 하는 전자전기 개발계획이 안잡힌 겁니다
우선 목표로 하는 전술기로서의 성공을  위해 그방향으로만 매진하는 겁니다
형상개념연구단계에서 포기한게 아니라요 ADD에서도 차후 KF-21이 성공적으로 양산돼
안정화를 이룩한 후에는 KF-21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전기 개발도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좋은여행 22-01-26 13:30
   
뭔 소리인지 모르겠네요. 아직 대략적인 것이외에 확정된 것이 없는 중형수송기 건인데 '중형수송기에 탑재되어서 개발되는 상황이라'이라니요 개발의 말이 나오면서 조기 공중경보 통제기라든지, 무인기 운영 등 다양한 용도가 제시된 거는 알고 있고 전자전의 중요한 일부이겠지만, k-21은 보통 그라울러의 개념으로 생각하지 않을까요.
          
도나201 22-01-26 16:22
   
쉽게 이야기해서..
현재 모든무기체계개발에는  선행연구를 하게 됩니다.
그과정에서 전술운영체계개발도 껴있습니다.

이전술운영체계개발에서 나오는 대부분은  COPY 모델을 보면서 선행개발에 들어가죠.
즉,  항모에서 운영하는 그라울러체게보다는 .

전술 운영적인 면에서 일본의 모델을 선정했다라는 것입니다.

미국처럼 항모기반의 공격기편대를 위시로해서 급습하는 과정이 아닌.
타격받은후의 확실한 종심체계파괴를 목적으로 전술개념을 잡았다라는게  정설입니다.

그와더불어서  정보자산의 독립화과정에서 이에 같이 선행종심타격전술로 간다라는 이야기도 되고  그럴려면.

넓은 반경 과.  편대운영의 규모에 대해서 일정수량의 전술적 목표를 설정해놓은 상황에서
수송기에. 장착하는게  더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얻어냈다라는 이야기입니다.

즉,  독립적인 정보자산으로 인한 선행탐지과정에서
확실한 대규모적인 타격편대를 구성해서 일시에 선행종심타격을 전술로 잡았다라는 이야기도 됩니다.

독자적인  그라울러개념은 미국처럼 철저하게 타격능력을 바탕으로한 전술체계라는 것으로
주변국에게 상당히 불편한 상황이 도래할수 있다라는 것을 염두해놓은듯합니다.

뭐 또 거기에 자체적인 소형화기술 과  전력수급방향등. 생각보다는
그라울러에 대한 독립적인 작전운영을 가질수 잇다라는 것에 대해서
미국에게는 상당히 불쾌감을 줄수 있는 무기이기도 합니다.

오히려 그라울러 판매와 동시에 미국자체관리하에서 운영하는 것을 동맹에게도 권하는 상황이고,   

전자전기의 수송기로 탑재해서 대규모의 일시적인 타격을 전술로서 상정했다고 보여집니다.

전자전기의 핵심은 ... 전력공급인데.. 이에 대해서는 수송기가 또 상당히 유리한 점과 그에 관련한 기술적인 난이도도 낮고,      독자적인 개발능력도 확충할수 잇는 잇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KF21 에 오히려 지상정밀타격능력에 대해서 몰빵하는 분위기 입니다.

위에서 잠시나온.. 전자전기의 로드맵에서... ADD관련해서.  전술적인 목표 100개 동시 타격을 상정해서 전술체계를  잡았다고 하는 로드맵을 공개한적이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정확하지는 않고 그후 어떻게 변형되었는지는 알길이 없죠.
               
밀덕달봉 22-01-27 01:30
   
아직 모릅니다.
대형수송기에 탑제 또한 장담할 수 없어요.
오히려 이건 add 같은 기관의 생각이지 미국이 지들 수송기에 우리 장비넣어서 전자전기로 만드는걸 찬성하고 개조할 수 있게 도와줄지 모르는 일입니다.
차라리 kfx를 전자전기로 고치는게 훨씬 자유롭습니다.
우리 공군 자체가 미공군 교리를 받아 운영하니 대형기체에 전자전 포드 넣어서 원거리서 재밍하는 스탈을 원하는 것 뿐이지 여건은 kf-21이 훨씬 유리합니다.
우리는 산악지형이고 북한이 워낙 산사면끼고 이것저것 지어놓고 숨바꼭질하니 원거리 스탠오프 재밍이 이라크 산악지형처럼 효과가 적습니다.
이점에선 그라울러가 훨씬 유용했고, 미공군도 알고 있으며, 미해군에서 빌려서 에스코트 재밍으로 돌파한 적이 많습니다.
서클포스 22-01-26 12:48
   
전에도 말했듯이.. KF-21 은 단순한 국산 전투기가 아니라

국산 전투기 플랫폼 이라서.. 모든 걸 테스트 가능합니다.. 전자전기는 기본이고.. 다른 다양한 바리에이션도

입맛대로 가공하고 추가하고 다 가능하져.. 미국산 전투기라면 애초에 부품 하나 뜯어볼수도 없는 것이고 ㅎㅎ
면도기 22-01-26 12:54
   
요새 보니까 기체를 따로 개발하는것 보다, 추세가 독립된 통합 전자전 포드인것 같습니다.
전자전 전용 임무+ 약간의 내부 개조+내부장비 + 전자전 포드  이러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야구아제 22-01-26 12:56
   
맞죠, 근데 그 기술이 우리가 없어요. 개발을 하려고 해도 운영 경험도 부족해서 미국의 기술 지원을 받든가 아니면 한 세대 정도는 미국산 기체를 운영해 봐야 개발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사커좀비 22-01-26 16:16
   
미국의 기술지원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
과거에 ALQ-200k의 파키스탄 수출시도나 F-15K의 타이거아이 봉인훼손 혐의나
K-1A1전차의 사격통제시스템, 해군의 통합전투지휘체계 개발 등에 미국의 기술을 도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때문에(물론.. 다 무혐의로 결과가 나오긴 했으나...) 미국은 한국에 민감한 분야
의 기술이전은 꺼리는 상황이라죠...
               
야구아제 22-01-26 18:57
   
미국이 기술 지원 안 해주면 그라울러를 도입해서 운영해 보고 우리가 독자 개발해야겠죠.

솔직히 전자전기도 우리가 필수로 필요한 준 전략 무기니까요.

물론 전자전 포드 등은 있으나 성능이 부족하고 본격적인 전자전 개념도 아니니까요.
성시 22-01-26 13:08
   
개념은 잡혀 있으니 이리저리 모으고 얻고 개발해서
만들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성능이야 모르겠지만.
사커좀비 22-01-26 16:12
   
일단 하드웨어는 ALQ-200k를 자체개발해서 F-15K까지는 통합이 되는 상태라고 알고 있고...
KF-21에 인티하는 것은 내장형으로 EW suit(통합전자전포드)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국산 전자전포드(ALQ-200k)가 어느정도 성능인지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만...
취재한 기자나 LIG넥스원 측의 말을 빌리자면... 상당한 수준이다... 선진국 장비와 비교해도 꿀리지는 않는다 정도?
잘 모르겠어요... 워낙에 기도비닉이 철저한 장비라...

그런데... 어느 정도 수준인지는 모르겠으나 이 장비가 발전되고 업그레이드 된다면...
전자전 전용 포드를 장비한 전자전기가 나오는 것도 시간문제로 보입니다...
도나201 22-01-26 16:43
   
우선적으로 .. 그라울러같이 전자전기의 능력을 보유하는게 이제는 절대적인 상황입니다.

실제로 우리도 ALQ200K 를 독자개발에 성공한 상황이고,

그러나 KF21 에. 전자전기로 가야 하는 경우.. 몇가지.  선행개발되는 과정에 있기도 합니다.

첫째,  엔진 
KF21 를  전자전기로 변형할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 엔진입니다.
추력이 상당히 약하죠.  FA18 과 같은 엔진이라고 하는데... 

둘째, 제네레이터.....
바로 전력발전기 ... 분야입니다.
이분야는 현재 선행연구과제로 들어간 상황이고, 개발이 한창 진행중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도 전자전기의 KF21 로 하기에는 불안정합니다.

셋째 바로 독자적인 정보감시자산의 보유.
그것도 실시간에 가까운 정보감시자산을 보유해야 합니다.
그라울러 의 가장 큰약점은 소규모 정밀폭격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군이 상정한 .... 북한의 탄도체 정밀폭격에 어울리지 않고, 북한의 조밀한 방공망을 일시에 .
타격하려면 대규모의 폭격대가 동시에 운영해야 합니다.


즉, 정보감시자산이 없이... 그라울러만 보유한 것은 그나라를 침공하겟다라는 의지외에는 내비쳐지지 않습니다.
거기에 미국도 동맹국에게 절대로 팔지 않고  얼마전 호주에만 판매한 상황입니다.

그라울러... 앞을 작은 프러펠러가 발전기라는 사실은 잘알려져 있지만,  그발전을 왜 돌리는지는 생각해본적은 없을 겁니다 .

아직까지 제네레이터기술을 미국에 따라기가 어렵고  미국도 아직까지는 그라울러의 판매를 주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무기는  미국의 정보자산까지 지원해야 하는 상황이기때문입니다.

현재... 전자전기의 개발을 지금도 이뤄지고 있고,  그 완성시기는 그냥 로드맵일뿐.
현재로서는 제네레이터의 기술부족이 가장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KF21 의 ALQ200K 관련한 전자전기의 기술은 체계를 겨우 잡은 상황이고,
KF21 내에 내부무장으로  블럭 2에서나... 장착가능할 예정입니다.

블럭1에서도 장착한 것은 성능적으로 .... KF21 공개 CG 에서 보였듯이.
미사일의 추적을 막는 장면이 나오는데.....  바로 이부분입니다.

이걸 AESA 레이더로 . SW 화 하느냐.  아니며 따로 내부장착을 하느냐... 하는 과정도 있었다고 합니다.
실제적으로 이에 관련해서는 아직도 기밀사항이라서  .... 
뭐가 어떻게 결정난지는 대략적인 사항만 카더라로 흘러 나온상황이고,
철저하게 기밀로 묶여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적인 전자전기로 활용될만한 물건은 수송기로 결정이 낫고,
이에대한 수량도 정해진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자전기 능력은 서로간의 핵심 사항은 바로 출력싸움입니다.
이지스함으로 도배하면서..  이러한 출력에 대해서 감쇄능력도 중국이 보유하게 되면서
서로간에 전자전기의 싸움자체도  나고 있고,  심지어는 해킹싸움까지 하는.

이걸 소형전투기가 대항하기는 조금 못미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우선은 중국에 촛점을 맞췄다기 보다는 ... 북한의 전략미사일에 대한 일시적인 타격능력을 위해서
수송기에 장착하는게 적당하다고 보였다라는 게 정설입니다.
실제로 그렇게 전술연구를 마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커좀비 22-01-26 16:50
   
항상 장황하지만... 정성스런 글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대형 수송기베이스의 전자전기는 전선통제개념 아닌가요?
그라울러 같은 전자전지원기는 공격편대 지원용으로 국지전용인 걸로 알고 있는데...
개념이 다른 거 아닙니까?

님글 읽다 보니 점점 더 헷갈려지네요... ㅎㅎㅎ
          
도나201 22-01-27 03:52
   
쉽게 이야기 하죠.

즉 전자전기 전술이.......... 북한에 맞춰 잇다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라울러같은 경우는 항모전단을 이끌고서 지구반대편에서 상대국을 작살내는 상황입니다.
그러니 적 레이더기지를 포함한 확실한 타격을 하면 그만입니다.
반대로 항모전단은 안전하고 말이죠.

하지만 우리의 입장에서는  1시간내에 타격목표가 수백개가 됩니다.
이를 일시에..... 타격해야 하는데.

그라울러의 쓰임새도.. 한정적이라는 소리죠.  그렇다고 그라울러의 숫자를 마냥늘일수도 없고 말이죠.

그냥 강력한놈  수송기에 태우고  몇대를  조져버린 다음에..
타격편대를 일시에  가격하겠다라는 전술을 선택한것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현재 중국, 일본 역시..  일시 타격과 항공편대의 대다수 출격을 위해서
두나라 모두 수송기에 전자전기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이러한 전자전기 뜨면  타격기로 24대정도가 일시에... 뜬다고 봐야 하죠.

미국처럼 항모전단으로 몰고 가서 ..... 안전한 상황에서 바늘로 찝듯이 타격하는 경우가 아닌.

상대의 모든 방공망을 일시에.. 먹통으로 만들고,  그지역에  엄청난 규모로 일시에 타격한다라는 전술적 개념이 도입한 것으로 이해하면 될겁니다.


전자전기는 전선통제의 개념이 아닙니다. 
조기경보기와 전자전기는 전혀 다른 물건이고,      전자전기의 활용은 절대적인 공격형무기입니다.    그래서 한때 일본에서 전자전기의 보유를 굉장히 몰아붙이기도 했고,
일본의 전자전기에 관해서 미국에서도 . 엄청난 간섭을 보인 물건입니다.

아마도 이러한 부분은 미국에서도 통제가 가능할정도의 간섭이 있을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그냥....  항모전단에서 운영하는 그라울러... 하고,
북한을 상대로  우리의 입장의  전자전기의 운영  이  상당히 이질적인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zaku 22-01-26 20:45
   
한국군의 전자전기는 컴파스콜을 추종한다는 말이 나왔었는데

도나님 말씀과는 결이 좀 다르게 느껴지네요

ALQ200K 라는게 미국 전자전체계 선정에서

탈락한 쪽의 기술을 들여와 발전한 것이라고 아는데요

그후 전자전관련 기술은 완전히 막혔으니

막차라도 탄건 다행인데 다른걸 떠나

우리가 적신호 데이터를 얼마나 들고 있는지 부터가 의문스럽던데요

잡아낸 전파가 뭔지 알아야 재밍을 할지 말지 알건데...
          
밀덕달봉 22-01-27 01:38
   
전자전기의 핵심은 리시버의 성능입니다.
모두들 알고 있듯이 전시와 평시에 쓰는 전파가 다르고 고주파 중주파 저주파때의 전자신호를 모두 재밍하려면 각자 다른 영역의 방사원을 표출할 수 있는 전자전 포드를 달고 영역대 지정하고 방사해서 교란합니다.
지문따듯이 정확히 하나하나 수집해서 그걸 재밍하는게 아닙니다.
적이 쓰는 전파의 파장 영역대를 무슨 밴드이고 어떤 영역에서 쓰는지 파악하고 적이 쓰는 전파 범위안에 우리가 만든 같은 파장의 전파를 뿌려서 통신과 레이더를 모두 먹통을 만들거나 포착하더라도 바로 허수의 표적을 다수 잡아내서 레이더가 특정표적을 지정 못하도록 교란시키는 겁니다.
요샌 죄다 에이샤에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발단로 재밍하면서 저주파 영역대나 특정 주파수대로 적이 포착못하게 전파를 방출하거나 주고 받아서 적위치도 잡아내고 역으로 잘못된 정보를 주기 때문에 리시버의 역할이 중요해졌습니다.
그러면 약한 전파를 근거리에서 잡아낼 수 있는 그라울러 위치의 전자전기가 중요해지겠죠.
미국이야 왠만한 기체 대부분 전시든 평시든 전쟁터 다니면서 워낙 방대한 정보를 모으니 가능한거고, 우리 입장에선 그런 여건이 안되니 그때그때 반응 가능한 리시버와 이걸 빠르게 처리할 수 잇는 소프트웨어랑 하드웨어가 중요하겠죠.
          
도나201 22-01-27 03:43
   
음.... 이건 마치 잠수함 음문을 따내는 듯한 내용이네요.

전자전기의 내용은 전혀 다른 부분입니다.

레이더의 전파자체를 무력화시키는 것이죠.  전파를 감지 자시고.. 뭐하고 하는것은.
와일드위즐이라는  레이더 전문폭격관련이고,

전자전기는 일정구역의 전파교란책입니다.

현재 레이더도.. 3차원레이더... X밴드다. 뭐다... 알아봐야. 더 헛갈립니다.

전자전의 최고봉은 사실 핵입니다.
다만 이것이 가능한 것은  전자파관련해서 핵분열시 일어나는 모든 파장을 아작을 내버린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쓰나미처럼 모든 파도우선은 집결시켜서... 한번에 쓸어버리는  그런 파장을 순식간에 발생시켜 버리고 ..    그걸  최소 5일정도 유지를 시켜버립니다.

전자전기도 이와 마찬가지로 모든 전파를 흡수하는게 아니라.
그냥 강한 출력의 파장으로 쓸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 주변에 가서... 꺼버리고,  와일드위즐편대가 레이더를 감지해서. 폭격하는 것이죠.

굳이.. 전투에 일정부분 가까이갈 필요도 없고,  철저하 지원기이기에.
전투기를 차용해서 .  할필요가 없다라는 것이죠.

오히려 수송기에 강한출력을 장착해서 거리를 확장시키는게 더 유리하다라는 것입니다.

ALQ200K  는 그러한 기초적인 독자개발에 성공한 사례이고,
이를 강한 출력을 바탕으로 더강력한 물건을 만들어내는게 현재 상황이고요.

얼마나 강한 출력을 낼지는 알수가 없고,  철저한 기밀사항으로 묻혀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현재도,  그라울러의 정확한 성능제원을 아는 이는 별로 없습니다.
그냥 추정치죠...  그근간이.... 바로 출력을 바탕으로 이이상의 한계성을 지닌다.라고 생각할 뿐입니다.  .......    생각보다 적은 위력을 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게 알려진 것은 코소보사태때.... 어느정도 레이더기지의 먹통현상과 와일드위증의 공격을 받은 뒤로.... 대충 이러하겠다라고 추정하고 있을 뿐입니다.

가끔 AESA 레이더로 강한출력을 상대레이더를 태워버리는 F22처럼. ..
레이더만 달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F22가 그게 가능한 이유는 바로 강한출력을 가진 엔진 과 그 제네레이터가 있었기에 강한출력을 낼수가 있습니다.

FA18 그라울러의 경우도 강한 출력을 내기는 하지만,
그 지속시간을 알수가 없습니다.    강한출력을 내는 엔진도 아니고,
심지어  전면부의 풍력발전으로 전력을 항상 충전시키고 있는 포드라서. 말이죠.

일종의 독립적인 포드입니다. ...    이러한 관련부분을 무시하고서,

현재 엔진으로는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최소 F35 장착엔진 2기면 몰라도.

추력비를 . 22,000 lbs  를 가져야.. 가능한 성능입니다. 

그것도  aesa 레이더.. 출력의 360도방향도 아니고, 

현재 우리나라 같은 경우..  장사정포 와 각 북한의 미사일포대를 일시에 제거해야 하기에.
북한의 방공망 역시 무력화시켜야 하는 상황을 대비하자면.

1시간내에 위협적인 표적은 전부 괴멸시켜야 하는 상황입니다.
표적으로 미사일포대가... 수백단위이니..  그와 관련한 접근성을 위해서 .

넓은 지역의 투사할수 있는 물건이 유리하다라는 것이죠.

즉,  항모를 가지고 가서....  공격점만 타격할수 있는 상황하고는 전혀 다르다라는 것입니다.

우린 바로 대치상황에서 저러할 물건이 하나라도 . 견제해서 작동해버리면.
민간피해도 엄청납니다.

즉,  그라울러 좋죠.... 갖고 있다면... 말이죠.
하지만,  굳이 그라울러가 아니더라도... 우리 현실에 맞는 부분을 따진다면,
출력좋은 놈으로 사방팔방을 타격할수 있는 부분이 유리하다라는 것이죠. 
우리입장에서 말이죠.. 
북한을 상대로 전술적인 투사를 한다라는 것입니다.

몇년전에 이미  수송기에 장착하고서 개발된 것을  테스트한다고, 
살짝 공개이후에....  공개가 끊기고,
현재 알려진것은...  add 선행연구관련해서 전자전기의 테스트관련 .. 예산배정만 받아냈을 뿐입니다.    그게 현재 알려진 전부입니다.
수염차 22-01-26 22:59
   
F21이라는 플랫폼이 잇는데
무엇을 안해보겟습니까...
그동안 설움받은거  다 쏫아낼듯.....
Alice 22-01-27 08:44
   
일단 만들기만 하면 등골 빼먹을라고 할 수 잇는건 다 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