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6-17 14:58
[사진] 슬랫아머 방호 원리
 글쓴이 : 노닉
조회 : 2,009  


성형작약탄들은 특유의 형상 때문에 압전 퓨즈라고 앞 부분이 충격 받으면 뒷부분으로 전류를 전달해 격발하는 방식의 신관을 씀


전류는 RPG 계열의 경우 내피를 통해 전달되는데 슬랫아머는 이걸 이용한 방식임



위같이 격자로 되어있거나 철망 사이로 RPG 탄두가 들어가려 하면



장애 물들에 걸려 외피와 내피가 뭉개져 서로 붙게되고 그럼 전류가 뒤쪽까지 안통해서 불발 난다고 한다


그 외 잘하면 라이너 쪽이 뭉개져서 격발하더라도 제 위력이 안 나올 수도 있다고 함



그러한 효과를 내기 위해선 위 녹색 부분에 탄두가 들어가야 하고 적색 부분에 들어가면 탄두가 제대로 안 뭉개지거나 신관이 부딪혀 격발할 위험성이 있다고 함


사이 공간을 좁혀서 촘촘히 하면 격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공간을 넓혀서 듬성듬성하게 하면 탄두가 안 뭉개져서 효과가 없어지니 적당한 간격으로 설계해서 제작하는 것이 중요함



불발시킬 확률은 보통 40~60% 정도 되는 경우가 많으니 무조건 성작탄 막는게 아니라 100%로 사망만 아니게 해준다고 생각해야 함





그리고 옛날에 공간장갑 효과로 쓰는 거란 오해가 있었는데 그건 공간장갑 관해서 글 보면 아니란 거 알 수 있음


슬랫아머 위에서 격발되면 경량급 장갑차나 전술차량은 걍 관통이라 보면 됨



다만 탄두가 뭉개지고 전차나 빅사이즈의 장갑차 중에 슬랫과 측면 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큰 경우 구형 RPG 탄두 정도는 공간장갑 효과를 낼 수도 있음



슬랫아머 형태의 경우 국군 자이툰 부대도 그렇고 저렇게 격자 형태로 된 강철이나 알루미늄을 붙여서 사용하는게 보통인데


무게가 무겁고 차량 기동성이나 승무원들 탑승, 하차에 방해가 되서 다른 방식의 것들이 생겨나기 시작함


왼쪽처럼 케블라 망에다 쇠 박는 경우 있고 옆처럼 케블라 섬유나 철사 엮어서 만드는 경우 있음


둘 다 기존 격자 형태보다 가볍고 유연하긴 성능도 나쁘진 않은데 디지게 비싼 경우가 많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1873346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나가자 21-06-17 15:21
   
오늘도 하나 배워가네요...단순히 공간만 별려주는 줄 알았는데...
정보 감사합니다.
하염없어 21-06-17 16:11
   
경장갑차나 전술차량이라도 암튼 슬랫아머와 부딪혀 미리 격발시키면, 성형작약탄은 보통 라이너가 직접 표면에 밀착하여 집중된 메탈제트 효과를 발휘해야 하는데, 비 접촉 격발은 사방으로 그힘이 분산되므로 직접 타격에 대한 피해와는 차원이 다르게 되죠. 그러므로 공간장갑 효과가 있다고 봐도 무방하죠.  그 폭발력 만으로도 방호가 뚫리긴 하지만 그 피해는 확실히 줄여주니까요. 차량내부 모두 사망 할 수도 있는게 맞은쪽 탑승자만 사망 내지 부상 정도로 끝날 수도 있으니...
한이다 21-06-17 16:13
   
짱국 영화중에 침대 스프링만 있는 매트리스로 막던 장면 있었는데..ㅋㅋ
     
뱃살마왕 21-06-17 16:34
   
흔들리지 않는 편안함 ㅎㅎㅎㅎ
의자늘보 21-06-17 16:34
   
밑에 짤에 있는 오른쪽 격자무늬는 일반적인 망사.... 아니 망모양의 팬스에서 흔히 보이는 구조 아닌가요?
수염차 21-06-17 19:16
   
요즘은 성형작약탄의 라이너 메탈제트 효과를 무력화 시키는 방어장비가 등장햇죠
독일이 먼저 적용하는듯........

쇄기형 고무실리콘을 설치할경우
부드러운 고무실리콘이 성형작약탄 내부에 삽입되서 작동을 무력화시킨답니다
이경우 90퍼센트 무력화가 가능하다더군요......
벌레 21-06-17 23:41
   
역시 핵폭탄이 좋은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