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10-25 12:09
[뉴스] 러시아 Ka-52M공격헬기 - AESA 장착예정
 글쓴이 : 마린아제
조회 : 3,639  


시스템 업그레이드가 아닌 새로운 레이더 AESA 장착예정.

45Km 거리에서 전차식별
100Km 거리에서 철교식별
150km 거리에서 구축함급 함정식별

정면 최대 50Km 탐지
주위 20Km탐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모래니 19-10-25 12:20
   
150km ?
당나귀 19-10-25 12:24
   
헬기를 전투기로 쓸려나?
운동포기 19-10-25 12:29
   
구글얼스 장착 했나보네요..
글구. 45Km 상공에서 전차식별이 아니고 45Km 거리 전차식별이겠죠..
     
마린아제 19-10-25 12:35
   
네. 순간 레이더라는 생각만하다 해석을 잘못달았네요....ㅎㅎㅎㅎ
     
자유생각 19-10-25 12:37
   
그렇게 보기엔 식별과 탐지 거리 써놓은 것도 이상해 보이는군요.
최대 탐지거리가 50Km인데 어떻게 150Km 떨어진 구축함을 식별한다는 건지...
          
정봉이 19-10-25 12:44
   
탐지거리 잴때는 1m^2 표적을 기준으로 하니 50km가 나오는거고
구축함은 레이다 반사면적이 훨씬 크니 더 먼 거리에서 탐지가능할듯요
          
몽골메리 19-10-25 12:50
   
과거 펄스레이더는 펄스와 펄스사이의 시간이 곧 최대 탐지거리였습니다.
삑 쏘고 돌아오는 시간까지 기다리고 또 삑 쏘는 시간 즉, 그 시간동안 전파가 돌아오느 거리가 최대 탐지거리였는데,
요즘 전자식 레이더는 이 펄스간격(Pulse Repetition Time)을 가변하므로 최대 탐지거리가 무의미 해졌고, 표적의 크기에 따른 탐지확율로 성능을 구분합니다.
예를들어 RCS 얼마의 크기에 대해서는 몇%의 확율로 몇Km에서 탐지가능 처럼...
그대가날 19-10-25 13:30
   
러샤  경제력은 한국이랑 비슷한데 군사력 세계2위 유지하는거 보면
가성비가 좋은건가?
     
닉네임0 19-10-25 13:44
   
부자는 망해도 3대는 가죠
한때 냉전의 한축입니다
     
Heyhey 19-10-25 14:54
   
러시아는 핵무기로 미국보다 항상위에 있어서 대칭만 잘해주면 계속 2위 먹을듯
야구아제 19-10-25 13:47
   
사실 공격헬기가 적의 근거리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공격헬기의 장거리 공격 능력도 필수겠지만 피격을 당하더라도 안전할 수 있는 장갑 성능이나 비행 안정성도 중요한 역량이라고 볼 때, 동축반전회전 날개는 상당히 탁월한 선택이라고 봅니다.

왜냐하면 이들은 꼬리 회전 날개가 필요 없기 때문에 동체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피격이 되더라도 상대적으로 비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불시착을 하더라도 승무원 보호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동키일일일 19-10-25 13:51
   
많이 이해가 안되네요.
100km 거리에서 철교식별 할 필요가 있을까요?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그만한 원거리에서 식별하려면 고도를 올려야 하는데, 헬기가 고도를 올리면 나 여기 있소. 미사일 쏘시오 하는거나 다름없고, 구축함은 더합니다.
그리고 아무리 헬기가 무장을 많이 한다고 한들 선박이나 고정익기와 비교할 수는 없습니다.
롤보우의 탐지거리가 8km인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어서입니다.
태지1 19-10-25 19:29
   
헬파이어 미사일 거리가 8km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