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7-04-23 08:24
[밀리역사] 당나라의 전술-육화진법(六花陣法)
 글쓴이 : 인류제국
조회 : 2,486  

육화진(六花陣) - 군편제(軍編制)
 
당의 원정 시 설치되는 원정군 단위부대는 행군(行軍)입니다. 오늘날의 사단격인 이 행군은 사단장 격인 행군총관(行軍總管)이 지휘하며 휘하에 2만 명이 배치됩니다. 이정의 육화진법에 의하면 이 행군은 6개의 꽃(六花)이라는 이름처럼 6개의 예하 부대와 지휘관이 직접 지휘하는 부대(中軍)를 합쳐 모두 7개의 부대로 이루어집니다. 부대 명칭은 각각 중군(中軍), 전(前), 후(後), 좌(左), 우(右) 4군에 좌우후군(左虞候軍) 우우후군(右虞候軍)입니다. 각 부대는 노수(弩手), 궁수(弓手), 마군(馬軍), 도탕(跳蕩), 기병(奇兵), 치중병(輜重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0%B0ȭ%C1%F8%BA%B4%B1%B8%BC%BA_1-mdkdk.jpg

 
육화진 편성에 따른 7개 예하부대 병종구성표
 
일개 대(隊)는 50명으로 구성된다.
 
 치중병은 일종의 수송 부대로 6,000명 가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2만 명의 병력 중 순수 전투병력은 14,000명인 셈입니다. 전투병력 중 노수, 궁수 등 발사무기를 사용하는 병력은 4,200명 정도로 3할 정도를 차지합니다. 다음은 기병(騎兵)의 비율이 문제인데, 단순히 편제상 마군(馬軍)으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만을 기병으로 생각할 경우 마군의 수는 4,000명으로 기병의 비율이 전체 전투병력의 3할에 못미칩니다. 하지만 도탕병의 경우 [이위공문대]에 이르기를 “기병(騎兵)으로만 편성된 부대를 도탕대(跳盪隊)라 한다” 라고 하였으므로(이름도 뛰다, 도약하다跳 +쓸어버리다蕩로 기병을 뜻합니다) 도탕병 2,900명도 모두 기병(騎兵)으로 셈해야 하며 기병(奇兵)의 경우 일종의 예비대격인 부대로서 기보(騎步) 혼합부대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전체 기병의 수는 6,900명 +α로 최소 5할은 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B4%E7%B1⺴_1-mdkdk.jpg

 
당 기병
 
당 고조 이연은 원래 수나라 태원유수(太原留守)로 돌궐족에 대한 최전방 사령관이었으며 당의 개국과 안정 과정은 돌궐, 토욕혼 등 유목민족과의 치열한 투쟁이었으므로 당이 유목민족의 경기병 전술을 받아 들인것은 어찌보면 필연적이라 할 수 있겠다. 당의 최정예 기병은 복속시킨 유목민족의 기병이었으므로 위의 그림처럼 세련된(?) 모습 보다는 좀 더 유목민적인 터프한 모습에 주무기로는 활을 사용했을 것이다.
 
 
 
%B4纸%BA%B4_1-mdkdk.jpg

 
당 보병
중장보병이라고 해 봤자 최대한 가죽을 많이 사용해 무게를 줄이고 가슴 부위만 보강한 명광개(明光鎧)를 착용했을 것이다. 신, 구당서에는 주필산 전투에서 몸빵 역할을 담당한 이세적군의 보병이 긴 창을 이용하여 고연수의 고구려군에게 역습을 가했다는 기록이 있어 긴 창을 사용한 장창병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B4%E7%B1ü%F6_1-mdkdk.jpg

 
당 궁수
 
당대의 묘실 벽화(위 당 보병 그림 상단 좌측)에 나오는 그림의 확대도. 경장을 하고 있으며 활 외에 횡도를 소지하고 있다.
 
 
%C0%B0ȭ%C1%F8_%BA%B9%BB%E7_1-mdkdk.jpg

 
 
육화진도
육화진이라는 명칭이 있게 한 특징적인 7군의 배치도
[이위공문대]에서 이정 曰 ; 외부의 6개 부대는 방진(方陣)이 되고, 내부의 1개 부대는 원진(圓陣)이 됩니다. 그 모양이 여섯 개의 꽃잎과 같다 하여 사람들이 육화진(六花陣)이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방진은 보병을 고려한 것이고, 원진은 기병(奇兵)을 고려한 것입니다. 방진은 보병의 행동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서 방형이 되고, 원진은 기병의 회전 활동을 위해서 원형이 되는 것입니다...
육화진은 이정의 돌궐, 토욕혼 등 유목민에 대한 원정경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탁 트인 평야에서 유목민의 공격을 받았을 때를 상상해 보라. 마치 인디언에 포위된 포장마차처럼 밖에 위치한 방형의 보병진은 수비를 굳히면서 기회를 노리다가 가운데의 기병(奇兵)이 역습에 나서는 것이다.
 
 
%C0%B0ȭ%C1%F8%C0%C7%C0%C0%BF%EB_1-mdkdk.jpg

 
육화진 응용도
7군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여 상황에 따른 전술변용을 가할 수 있다. 탁 트인 공간에서 사방에서 적의 공격을 받을 때에는 육화진을 짜고 적의 전면(前面) 공격을 방어할 때는 종심을 강화한 방어진인 안행진, 지형 요건이 나쁘거나 협소할 때는 종대 대형인 직진으로 공격해 나갈 수 있었다.
 
이상이 육화진법의 내용입니다. 어떠신지요? 냉병기 시대의 전술로서 이만 하면 완성된 형태의 전술 아닌가요? 모든 형태의 전술적 진형 중에서 가장 유연하며 전술적으로 융통성이 있는 진형이 산개진형입니다. 고대에 가장 유명한 산개진형이 로마군의 진형이었으며 근세의 융통성 없는 머스킷 보병대도 전술이 발전하고 화력이 증대되면서 점점 산개진형으로 변화해 갔습니다. 다만 산개진형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병사 개개인, 또는 기본 전술단위 차원에서 전술에 대한 높은 이해가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즉, 훈련도가 높아야 한다는 말이지요. 갈리아 전쟁기 등에서 로마군이 전투를 수행하는 모습을 보면 각 마니풀루스가 알아서 손발 딱딱 맞춰가며 싸웁니다. 적진의 빈틈을 찾아서 한 마니풀루스가 돌출되면 다른 마니풀루스가 알아서 지원하면서 전체 전열을 유지하는 식이지요. 카이사르는 그냥 전체 전황을 파악하다가 밀리는 곳에 가서 독려하거나 예비병력을 투입하거나 하는 식의 지휘만 합니다. 따라서 로마군대의 핵심은 백부장에 있었습니다. 백부장이 마니풀루스 단위의 개별전투를 지휘할 뿐 아니라 전체적인 전열 유지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했으니까요.
 육화진을 보면 제 1열의 대대(大隊)는 마니풀루스를, 각 군(軍)은 코호트를 연상케 합니다. 제 1열의 대대는 쐐기형태의 진형을 이루어서 백병전을 벌이다가 적진에 빈틈이 보이면 언제든 대대 단독으로 돌격해 들어갈 수 있었을 것입니다. 거기다가 제 1열이 피로해 질 경우 제 3열과 교대하곤 했다는 사실은 더욱 로마군의 전술을 연상케 합니다. 로마군도 군단 전체 3열이 서로 교대해서 싸울 수 있었으니까요. 다만 육화진의 제 2열에 해당하는 주대(駐隊)의 개념이 육화진을 더 빛나게 하는 것 같습니다. 방어용, 혹은 공격용 수레에 의지해서 전체적인 전열을 유지시키는 주대가 존재하기 때문에 육화진은 최악의 경우인 전열붕괴에 대비한 보험을 들어놓고 싸우는 것과 마찬가지였습니다. 주대가 존재했기 때문에 당군은 로마군에 비해 훨씬 적은 훈련으로도 효과적인 산개진형을 사용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로마군과 비교한다면 양군의 전술진형의 수준은 우열을 가릴 수 없어 보이는군요. 다만 육화진이 더 적은 노력으로 비슷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면에서 약간 우월한 것 같습니다. 군 개개인의 전투기술 이라던가 보병의 무장 정도는 로마군이 앞선 것 같지만 로마군이 너무 보병 단일병종만을 신봉했던 것에 비해 육화진은 높은 비율의 기병, 발사무기를 채용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저는 육화진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그나저나...위국공(衛國公) 이정(李靖)...본좌 인정입니다. 아울러 이들과 땅을 잇대고 살았던 고구려도...본좌 인정입니다...ㅠ.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