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05-15 01:42
[잡담] 스페이스X의 새로운 재사용 가능한 로켓 개발
 글쓴이 : 스포메니아
조회 : 3,181  

스페이스X는 펠콘, 펠콘9, 펠콘헤비 재사용 가능한 로켓으로, 발사비용을 기존의 1/3~1/10로 줄여, 민간 우주발사체 시장을 평정하였고, ISS에 우주인을 실어 나르는 계약도 땄으며, 미국방성의 군사용 위성프로그램도 따냈고, 이젠 달유인탐사 계획에 나사의 차기 로켓 대신 팰콘헤비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경제적이고 프로젝트 시간 상으로도 더 안전하다는 주장이 많이 나오고 있죠.

그런데, 작년 11월 스페이스X의 CTO/CEO인 일론 머스크가 화성 유인우주선과 대륙간 여객수송에 사용될 BFR (Big Fucking Rocket, 존나리 큰 로켓)을 발표하면, 이 새로운 로켓이 자사의 기존 로켓 펠콘, 펠콘9, 펠콘헤비 모두를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었죠. 펠콘, 펠콘9, 펠콘헤비는 BFR을 개발하기 위한 자금을 버는 용도로 사용되고, BFR이 성공하면 기존 로켓은 다 폐기한다는 계회이었습니다.

그리고는 실제로 만들기 시작했네요. 그런데, 특이한 점은 이 새로운 로켓이 알루미늄 합금이 아니라, 훨씬 더 무거운(더 강하기는 함) 재료인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진다는 겁니다. 

기존의 고정 관념을 깨고, 완전히 새로운 길을 모색해서 성공시키는 일론 머스크, 정말 대단하네요. 또 다시 성공하기를 바랍니다.

맨 왼쪽 로켓은 화성 유인우주선(달도 ?)과 대륙간 승객수송에 사용될 스타쉽의 초기 검정 모델
BFR은 스타쉽 + 수퍼헤비 부스터로 구성되는 2단 로켓임
0.jpg


오른쪽 끝에서 두번쨰에 있는 팰콘9과 비교해 보면, 새로운 로켓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음
1.jpg


인류 역사상 성공한 최대 크기의 로켓 세턴5와 비교해도 훨씬 더 큼
2.jpg


이렇게 운용될 것이라고 ...
3.png

4.jpg

5.png



실제로 스텐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지고 있는 스타쉽의 최초 원형 모델 스타후퍼
로켓을 스테인레스로 만드는 이유는 열에 강하고 강도도 높아, 
거의 보수없이 수십차례 이상 재사용하는데 유리하게 때문이라고 함.
6.jpg

7.jpg

8.jpg




BFR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2단 로켓과 페어링(실제론 없음) 등, 로켓의 모든 부분을 완전히 재사용 한다는 것
스타쉽을 이용한 터키의 초거대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계약을 이미 했다는 소문도 있음
steel-Starship-reentry-and-cargo-BFS-2017-SpaceX-feature-1-c.jpg



미국의 민간우주 회사들, 스페이스X, 오라이언 스팬, 버진캘러틱, 블루오리진 등 때문에, 
일본 Jaxa의 로켓은 우주발사체를 대신 발사해주는 사업에서 가격 경쟁이 아예 안되, 시작과 동시에 망했고,
정부 보조로 수행하는 과학탐사로 연명할 수 밖에 없는 운명임.

우리의 항우연은 우주발사체 개발에서 늦었지만, 일찌감치 재사용 가능한 로켓 개발에 나서야 합니다. 이미 그렇게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성공한다면 개발 효율면에서 일본보다 훨씬 더 유리한 입장에 설겁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narchist 19-05-15 01:59
   
재사용 때문에 재질을 바꾼 듯...알루미늄으로 대기권을 한두번 왔다갔다하면서 더 이상 쓰기 힘들었나보군..
abwm 19-05-15 02:44
   
성공만 한다면, 로켓의 페러다임을 바뀌겠군요. 재사용이라..
     
패닉호랭이 19-05-15 08:30
   
패러다임은 이미 바꿨죠. 재사용은 이미 하고 있는거임
더 오래쓰겠다고 재질만 바꾸는것일뿐
태지1 19-05-15 10:14
   
몇 일(한 달 이내) 전에도 미국에서 했어요... 가운데 길은 것 1개에 양 옆 짧은 것 2개가 붙여진 형태..
2개는 미국 육지에 착륙했고요. 1개는 인도양에 있는 배에 다시 착륙 했지요...
유튜브에서 실시간 방송 했었고 보았었네요.
새끼사자 19-05-15 13:29
   
팔콘헤비가 사실 효용성이 크게 떨어진다고 하더군요.  아무튼 카본페브릭의 경우 1Kg당 제단하면서 버려지는 것까지 합쳐서 200불 정도하는데 반해 스텐레스는 1Kg당 3불...이기도 하고...동작온도 자체가 대략 200도 내외와 800도라는 차이점이 스텐레스를 사용한 이유라고 하더군요..
뭐 스텐레스 사용은 예전에도 많이 쓰던 것이기도 하고 우리가 아는 WD-40이란 녀석이 로켓 미사일 녹쓰는거 막기 위해 겉표면에 뿌리기 위해 개발된 녀석이기도 하니..다시 과거의 기술을 적용한 것이긴 한데...

다만 열관리를 2중 레이어를 놓고 그 안에 연료 또는 물을 이용해 증발시키면서 관리하겠다고 하던데..그 부분은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 궁금하긴 합니다.

사실 스타호퍼 테스트가 빨리 빨리 진행이 되긴 해야 하는데 바람 불어서 부셔지고....얼마전 귀환한 크루드래곤이 비행중 탈출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지상에서 엔진 테스트하다 터져버려서 지금 정신 없는 듯...

랩터 엔진 너무 너무 궁금하네요...빨리 좀 호버링하는 거 구경하고 싶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