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11-12 19:30
[육군] 풍산 관측포탄의 성능은?
 글쓴이 : 떡국
조회 : 3,206  

Cap 2019-11-12 19-28-59-658.jpg

관측포탄이라는 물건에 대해서 궁금해서 검색을 좀 해 봤는데요.
보니깐 특허가 떡하니 공개되어 있더군요.

2010년도의 관련 특허를 보면


그냥 낙하산만 달아서 보는 겁니다.

그런데 2013년 풍산에서 출원한 특허를 보면


패러글라이딩 + 추진용 모터 프로펠러로 추진 및 고도조절 + 피치조절 모터로 방향전환

요런 구성으로, 내장된 배터리가 다 닳을 때 까지 장시간 체공이 가능하더군요.
배터리 용량은 얼마인지 알 수 없으나 최소 3시간 이상 체공 가능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제품은 2019년 올해에 개발이 완료되었으므로, 그 사이에 배터리 용량이 더 늘어났을 수도 있죠.

탄을 발사하면 고도 2km 부근에서 분리가 된 후에, 900m 고도부터 추진모터를 가동해서 감시 영역을 빙빙 돌면서 비행을 시작하고, 600m 정도까지 3시간 이상에 걸쳐 아주 천천히 내려오겠죠.  암튼 배터리가 남아있는 한 계속 체공 가능할 거고..

내장되는 카메라는 적외선 영역까지 볼 수 있는 HD급 이상 화질의 카메라로 보이는데, 줌 확대축소나 팬틸트 제어되는 기능은 없고, 그냥 지상을 바라보면서 고정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카메라의 FOV는 잘 모르겠지만, 600m 고도에서 내려다보는 면적이 어느정도이냐에 따라 결정되었겠죠.  동영상은 아니고 스냅샷으로 1분에 20장 정도씩 촬영하면서 FDC로 송신해 주는 방식 같고요.  포탄 발사시 2만G 정도의 충격을 견뎌내야 하기 때문에, 구조를 아주 심플하게 갈 수 밖에 없을 겁니다.

문제는 산 넘어 있는 FDC까지 영상정보를 송신하는게 가능한가 하는건데요. 디지털 영상 정보를 보낼 정도의 고주파대 전파(WiFi 전파 대역이랑 비슷하겠죠)를 산 너머로 한 방에 전송하기는 힘들테니까요.
이를 중계하기 위해 전파 중계용 드론을 추가로 중간에 하나 띄워줘야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북한에 의한 연평도 포격 도발 사건이 2010년에 일어났었는데...
그 상황에서 대포병레이더도 작동하지 않고 있어서, 해병대 병력들이 기존에 알고 있던 북한국 포대 좌표를 직접 찍어서 쐈었다고 하죠.  그런데 관측 수단이 없어서 탄착점 수정도 못했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잘 맞췄다고 하는데...

이 저렴한 관측포탄이 그때 한 두발 정도만 있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참 크네요.

해병대가 80발 정도를 응사했었다고 하는데, 관측포탄으로 좌표수정만 한 차례 해 줬어도 완전히 북한군 포대를 아작냈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나기 19-11-12 20:39
   
공군도 도입하면 유용하게 쓸 듯 하네요
태지1 19-11-12 21:37
   
재밍을 어떻게 넘을 수 있을까요?
영원한 숙재 같기도 한 것인데...
     
떡국 19-11-12 22:01
   
재밍이 들어오면 공군 불러서 재밍 원점을 부수든가 해야겠죠.
     
구름위하늘 19-11-19 12:37
   
재밍의 원리는 간단하지만,
실제 재밍은 쉽지 않은 일 입니다.

미리 주파수 대역의 범위를 알고있는 상태에서 주파수 도약 방식을 파악하거나
전체 대역에 매우 많은 에너지를 쏳아부어야 가능한 것 입니다.
비용 대비 효율은 적죠. 안하는 것보다는 좋으니까 하는 정도....
흩어진낙엽 19-11-12 23:35
   
관측포탄이 관측하고 하강할때 적의 위치로 떨어지게 만들수있다면

gps수신기 달아서 상대편 땅에 떨어지자마자

정확하게 자주포로 타격할수있어서 좋을거같네요 공격적인 측면에서요

gps좌표로 미사일도 쏠수있다면 더더욱 좋을거구요

대포병레이더인가 이건 상대편이 쏴야 계산해서 좌표값 구하는거니까요
     
뽐뿌맨 19-11-13 08:56
   
좋은 아이디어는 맞는데요.
계속 떠있어서 탄착 교정해 주는 것이 나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