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1-03 17:26
[잡담] 독일 국방부 여성장관 어떻게 생각 하세요?
 글쓴이 : 카밀이
조회 : 2,431  

기혼 이며 3명의 자녀를 두고 있고 군경험은 없는 민간인 이네요 ? 숄츠 총리의 여성 남성 비율이 50: 50 으로 구성 한다는 정책에 따라 여성이 국방부 장관에 임명 되었네요 전 외교와 국방은 전문성이 필요 한 직책이라 군 경험이 없는 민간인은 어울리지 않는다고 보는데 다들 어떻게 생각 하세요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양철북 22-01-03 17:41
   
국방부 장관이 작전 지휘를 하는건 아니니깐요.
그냥 행정직 공무원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가 하든 잘 하면 된다.
소문만복래 22-01-03 17:50
   
군의 입장을 대변해야 할 위치에 있는 이가 군을 잘 이해하고 있다면, 또한 그를 뒷받침할 행정전문가가 잘 수행한다면, 이상적이죠.
반대로, 행정전문가가 장관직에 앉고, 군 전문가가 수행한다 해도 좋은 결과가 있을겁니다.
이러든 저러든 딱히 문제될건 없다 봅니다.

근데, 예산 잘 타내는 장관, 국회의원들에게 잘 설득할 수 있는 장관은,
행정이나 정치 전문가가 적임이라 생각들긴 해요.
사실 한국 국방장관은 안보이슈때마다 국회에 불려나가는 욕받이 라고만 생각되는게 현실이잖아요.
진실게임 22-01-03 17:52
   
장관은 예산을 만드는 사람이라서 합리적인 일 처리 능력만 있으면 되죠.

실무장관 보다 낙하산으로 꽂히는 정치장관을 더 좋아하는 이유가 그 예산 능력이 더 쎄기 때문에.

한국의 국방 장관 자리에 군출신들이 자리 잡는 이유는 군이 다른 나라보다 크고 고위장성들도 많으니 그들을 통합하고 회유하기 위한 거죠. 옷벗고 나가도 장관도 시켜주고 하께...
베오볼프 22-01-03 17:54
   
선진국중에 군장성출신만 국방장관으로 임명한 나라가 생각보다 적어요. 문민통제원칙이 잘 지켜진다는거죠
     
카밀이 22-01-03 18:08
   
그런가요?음 오늘 첨 알았네요
없습니다 22-01-03 18:14
   
원래 국방장관은 문민통제 원칙에 따라 민간인이 임명되는게 정상이에요. 군출신이 임명되는 우리나라가 비정상..
N1ghtEast 22-01-03 18:30
   
오히려 이상적일 수 있음
그리고 저 여자가 작전통제실에서 여기 저기 죠기 삿대질하면서 지시하지는 않을거에요
윗분들 말씀대로 군대란 덩어리 꼭대기에 문민이라는 봉인을 박아둔 그런 역할이라 보시면 좋음
광개토경 22-01-03 18:57
   
독일군이 당나라 군대가 됬으니 본 받을 일은 아님 ㅋㅋㅋ.

아니 독일은 장관을 떠나서 군 조직 자체가 개판되서 비용은 비용대로 쓰면서 전투력은 안 나오는 당나라 군대 저리가라로 변함. 한때 유럽을 호령하던 독일군의 위상이 아예 사라짐.
노세노세 22-01-03 19:07
   
중요한 건 여성이 건 남성이건 일을 잘 하면 되는 거 아닐까요? 평가는 직접 해봐야 알겠죠..
아는 넘이 무섭다고....비리도 솔직히 아는 사람이 해먹는 경우가 더 많아서...
전쟁상황이 아니라면....별 문제는 없다 보는데요..
태촌 22-01-03 19:27
   
선진국 중에 그런 나라들 없어요
어짜피 징병제 국가도 아니면 남녀 구분 없이 군경험 없고...
오히려 군출신들이 군복무에 이어서 장관들어가는게 더 어색해하죠.
장관이 무슨 전략전술 짤 것도 아니고.....
우리 생각이 더 후진적 마인드인거에요. 군사독재 시절 경험한
     
광개토경 22-01-03 22:06
   
미국은 후진국이냐?

미국은 애당초 군출신들이 대통령도 많이 해 먹는 나라인데, 뭔 소리냐? ㅋㅋㅋ

그리고, 지금 바이든 행정부 국방부 장관도 4성 장군 출신이고. 아니 미국은 애당초 군 출신들이 사회 전반적으로 대우받고 요직에 많이 진출하는 국가야.
          
idontknow 22-01-04 10:33
   
15대 캐스퍼 와인버거(1981. 1. 21-1987. 11. 23) 육군 대위
16대 프랭크 칼루치(1987. 11. 23-1989. 1. 20) 해군 중위
17대 딕 체니(1989. 3. 21-1993. 1. 20) 군 경력 없음
18대 레슬리 애스핀(1993. 1. 21-1994. 2. 3) 육군 대위
19대 윌리엄 페리(1994. 2. 3-1997. 1. 24) 군 경력 없음
20대 윌리엄 코언(1997. 1. 24-2001. 1. 20) 군 경력 없음
21대 도널드 럼즈펠드(2001. 1. 20-2006. 12. 18) 해군 중위
22대 로버트 게이츠(2006. 12. 18-2011. 7. 1) 공군 소위
23대 리언 패네타(2011. 7. 1-2013. 2. 27) 육군 중위
24대 척 헤이글(2013. 2. 27-2014. 11. 24) 육군 병장
25대 애슈턴 카터(2015. 2. 27-2017. 1.20) 군 경력 없음
26대 제임스 매티스(2017. 1. 20-2018.12.31) 해병대 대장
27대 마크 에스퍼(2019. 7. 23-2020. 11. 10.) 육군 중령
28대 로이드 오스틴 육군 대장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군출신은 적어도 별은 달고 나온 사람을 얘기하는 거고
미국은 대학을 가듯 군복무라는 이력을 위해 잠깐 복무하는 거고.
별달고 국방부장관 한 사람은 딱 3명밖에 없다.
실제로 미국은 군출신(군에서 오래 근무한 장성급 장교)의 국방부장관 혹은 정치로의 입문이 그리 많지 않고, 정치쪽으로 가려면 군스펙을 쌓은 뒤 위관 혹은 늦어도 영관급에 이직을 한다.
대부분의 장군들은 명예롭게 군인으로 남는다. (정치질 안한다는 얘기다.)
게다가 제대 후 7년이라는 룰이 있어서 우리나라처럼 바로 할 수도 없음.

뇌피셜 말고... 제대로 좀 알고 얘기 하삼.
기가듀스 22-01-03 20:52
   
스페인은 임산부가 국방부장관이었음.
사람이 아니라 조직 운영의 입장에서 보면 외부인이 더 나을 수 있죠.
토미 22-01-03 21:20
   
장점보단 단점이 더 많음.
장점이라면 군대의 고지식한 사고방식에서 벗어날수
있다는 장점.
단점은 그 장점으로 인해 군조직을 와햇킬수 있으며
군에 대해 전혀 모르니 정책에 대해서는 거의 백지라는점.
위에 누구말대로 군대를 거의 개박살 난거 보면.

군출신중에 제대로된 사람을 임명하면되는데
점점 정치적인곳으로 쏠리는 경향이 있음.
삼한 22-01-04 01:16
   
시스템이 잘되있어서 상관없습니다.
cjongk 22-01-04 16:44
   
전쟁은 정치의 연장선에 있는거구.
군인은 정치적으로 통제되어야지. 군인이 정치를 하면 안됨.
국방장관은 정치인이 해야지. 군인이 하면 안되는 자리임.

위에 착각하는분 있는데...국방장관은 정치인이지. 군인이 아님.
더더욱 장관은 군 조직 이해관계와 독립되어 있어야함.
전쟁은 군인이 수행해도 전쟁의 시작과 종결은 정치의 연장선에서 결정되고
군부가 관리 안되서 독자적 행동을 하면 폭주하는거지.
명령권자인 장관을 군부 이해관계로 뽑으면?
군 장성 OB인 장관이 군부의 치부를 감추고 두둔하면?
장성 출신 장관이 개인적으로 정의롭고 청렴해도
군 조직 인맥망에 갖혀 있어서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음.
이 부분에서 우리나라는 군부독재 후유증으로 단단하게 꼬여있는거구.
드뎌가입 22-01-11 00:51
   
정치력 없는 인간이 정치인 자리에 앉으면 안되지
국방부 장관이 군출신인가 아닌가는 중요한 게 아님
기업가 출신 대통령이 경제를 잘 살릴거라는 기대심리 비슷한 것일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