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4-26 14:30
[기타] 러시아군의 보급실패 - 철도보급 의존경향
 글쓴이 : 노닉
조회 : 1,634  

1.


침공 이전,



러시아군 군수지원조직은 철도에서 멀리 떨어진 대규모 공세작전 수행에 부적합함



각 단위제대 내 러시아군 보급부대 규모는 서방(미군)과 비교했을 때 한 단계 아래임 (Ex. 미군 사단은 지원'여단'이 편제될 때 러시아 사단은 병참대대가 편제되는 식)



여단급 제대는 언뜻 보면 둘 다 대대급으로 보급대가 붙는데, 이것도 따져보면,


미군 여단 : 1개 포병대대, 1개 방공중대

러시아군 여단 : 2개 포병대대, 1개 로켓대대, 2개 방공대대 이런 식이라 후자 보급소요가 훨씬 큼



그리고 제병연합군 단위에서 편제되는 물류지원여단(бригада материальн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 BRMO) 수도 부족한데, 총 10개의 지원여단이 11개의 제병연합군, 1개의 기갑군, 4개의 군단의 보급소요를 담당함. (그나마 서부군구랑 남부군구는 1:1로 제병연합군 하나당 지원여단 하나씩 편제하긴 했음) 각 BRMO는 서면상 2개 차량대대(автомобильный батальон), 총 150대의 범용차량과 50대의 트레일러, 260대의 특수차량으로 구성됨 (2021. 11. 23 기준)



그래도 러시아군이 자국 영토 방어작전을 수행 중이면, 기동부대 예하 보급부대 이외에 숨겨진 패가 있음


그게 바로 철도군(Железнодорожные войска, ZhDV)인데, 아예 제병연합군 등에 종속되지 않고 직할부대로 편제된 독립 군종임. 제5, 7, 29, 34, 37, 38, 39, 43, 48, 50 등 10개의 독립철도여단(отдельна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бригада)을 주축으로 4개 지역사령부 직할로 개별 편제되어 있음. 서방 군조직과 1:1 대응이 어려운 조직으로, 이렇게 철도에 보급소요의 큰 부분을 의존하는 나라는 러시아가 유일하다시피함. 이유는 당연히 광활한 영토와 씹창난 도로가 크고



문제는 당연하지만 공세작전에선 철도망 운용을 하려면 먼저 해당 지역을 확실하고 신속히 확보하고, 특히 러시아의 경우 광궤를 쓰기 때문에 (구소련 국가랑 핀란드 제외) 적국 기관차 차량을 노획해서 운용해야 된다는 것. 전시에 이게 가능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므로, 러시아군의 철도 보급역량은 구소련의 경계에서 끝나고, 그 너머의 보급은 트럭에 의존해야 함



문제는 러시아군이 보유한 트럭 수량은 물자 집적지에서 140km 이상 떨어지게 되면 보급소요를 못 맞춤. 만일 러시아군이 철도 집적지에서 300km 이상 전진하려면, 각 지원여단에 최소 400대의 트럭을 편제해야 하는데, 이는 현재 (2021. 11. 23) 편제의 2배임.



예를 들면, 한 제병연합군에 배정된 MLRS가 대충 56-90문인데, 얘들을 다 한번 일제히 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그거 보급 채워주는 데에만 트럭 56-90대는 동원해야 함. 이러면 지원여단의 총 역량 거의 절반이 잡아먹힘. 러시아군이 동급의 서방 군부대보다 포병에 치중한 걸 감안하면 보급소요 맞춰주기 더 어려워짐



그나마 연료 보급의 경우, 각 지원여단 예하로 파이프라인 대대(трубопроводный батальон)가 있어서 작전지역에 3-4일 내로 송유관을 깔아서 보급을 추진하는데, 이것도 까는 데에 최소 3일은 걸림. 러시아군이 36-72시간 작전을 지속하면 파이프라인 깔려있기 전에 최소 1회는 전체 전력에 트럭 재보급을 수행해야 함



(주행거리랑은 상관없이 - 기갑차량 등은 그냥 정차해서 대기 중이기만 해도 연료를 소모함)



따라서 (그나마 광궤인 = 철도 보급이 가능한) 러시아의 발트 3국 공격 시나리오엔 딜레마가 존재하는데,



[1] NATO 신속대응군이 도착하기 전에, 보급을 트럭에 의존해서 신속하게 밀고 끝낸다


이건 트럭이 부족해서 못하고,



[2] 2-3일간 철도망을 기반으로 집적지를 구축하며 천천히 들어간다


이러면 NATO 신속대응군이 도착해버림



어느 쪽이든 전쟁은 장기화되는데 그럼 러시아의 패전확률이 높음. 러시아군 보급체계로 승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나토가 국경 부근에서 '결전'에 응해줄 때만인데, 이나마도 신속히 배치 가능한 해공군 전력이 열세인 걸 감안하면 글쎄...



폴란드 공격을 따지면, 여긴 광궤도 아니라서 진짜 개소리고,



이걸 우크라이나 전쟁에 적용하면, (2021. 11. 23) 국경에 러시아군 O개 대대전술단이 결집했다, 이런 것보다도 국경에 물자 집적지가 O개소 구축되었다 이게 더 침공준비 진척도를 보기에 알맞음



https://warontherocks.com/2021/11/feeding-the-bear-a-closer-look-at-russian-army-logistics/



날짜 보면 알겠지만 이미 작년에 러시아군이 겪을 보급문제에 대해서 상당히 정확하게 예상했는데, 그래도 설마 일단 같은 구소련이라 좀 더 철도망 잘 호환되는 우크라이나에서 그리 개삽질할줄은 이거 쓴 놈도 거기까진...




2.


침공 이후,



현재 러시아군의 졸전 이유 중 큰 이유 하나로는 철도에 과의존하는 경향을 꼽을 수 있겠음. 체르니히우, 하르키우 등 주요 허브들을 못 점령했으니 지역 철도망을 활용할 수 없고, 심지어 러시아군이 우세한 남부에서도 멜리토폴 근교에 장갑열차가 배치되는 등, 철도망의 완벽한 확보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됨. 그리고 당연하지만 우크라이나군이 이미 2월에 개전하자마자 철도부터 다 폭파함

그렇다면 차량보급을 수행해야 할 텐데, 이거야 뭐 종합적으로 도로 사정도 개판, 보급대 양과 질도 개판, 관리도 개판인 데다가 우크라이나군이 보급 위주로 노리는 걸 알고 있을 거임



러시아군은 그래서 벨라루스 철도망도 활용하고 있는데, 그쪽에서 민간인 사보타지가 있단 소식도 3월부터 꾸준히 전해지는 중이라 크게 기대할 수 없는 형편임



러시아군이 '만약에' 오데사를 먹고 철도망을 통제한다면 주라프카-밀레로보 고속철도 등을 통해 보로네시-돈바스-흑해 연안을 잇는 우회 보급선을 제대로 개통하고, 차량보급 소요를 경감할 수 있겠지만...


어케먹으실?


https://foreignpolicy.com/2022/04/21/russias-military-has-a-railroad-problem/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601303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름없는자 22-04-26 16:09
   
그럼 만약 발트3국에서 전쟁이 나면 NATO 군이 중점적으로 노릴 목표도
점령지 및 러시아 내 철도를 마비시키는 것이 유효한 대책이라는 것.
우크라이나도 지금이라도 우크라에 가까운 러시아 철도망에 대한 사보타지 계획을 고려해 보는게 좋을 듯.
리얼백 22-04-27 09:37
   
통킹만 사건을 보면 알겠지만 여론전도 중요함, 민간인 피해가 나왔다는 순간부터 여론전 하기 힘들어짐.
철도는 민간 인프라 시설 겸하고 있기 때문에 역공당하기 쉽상.

철도 파괴에 들어가는 시간 보다 복구에 쓰는 시간이 더 짧음.
비용도 파괴보다 복구가 더 쌈.

2시간 연착을 위해 굉장히 큰 리스크를 지고, 지형이점을 버리고 상대 지역으로 들어가서 불리한 환경에서 작전을 펼치게 되는건데.

그 정도의 숙련병이면 다른곳에서 써서 지연작전 펼쳐도 더 많이 써먹을 수 있음.
즉 우크라이나 내에서 작전했을 경우 지연작전 펼치고 후퇴시켜서 다른곳에 재투입 이게 되지만

러시아내에 사보타지 할 경우 하기 전이든 하고난 후든 잡힐확률이 낮지 않아서 ... 인적자원을
일회용작전에 소모하는 식이 될 가능성이 큼.
구름위하늘 22-04-27 12:21
   
나라마다 전략과 정책이 다른 법이고,
러시아가 철도 중심으로 보급을 해오던 것은 (구)소련부터 이어져 오는 전략적인 선택입니다.

이걸 문제라고 하면 안되죠. 단지 전략적 선택이고 그에 따른 장점과 문제를 각각 가지고 가는 것 입니다.
보급 문제는 이걸 문제라고 해야 하나 싶을 정도로 보급에 대한 접근 방법이 서방 측과는 공산권이
방식이 다른 겁니다.

제한된 물류 상황에서 미군이나 가능한 막대한 보급을 바탕으로 하는 전략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것은 현실적인 러시아의 보급 방식에 대한 몰이해로 보입니다.
어차피 전쟁 환경에서는 보급이 충분하지 못할 수 밖에 없고,
그 제한된 보급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공산권에서는 선택적 보급을 합니다.

공산권은 전선에서  성공적인 돌파를 이룬 부대에만 보급이 집중하면서 전과를 확대 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실패한 부대에는 희생을 감수하여 보급이 제한되거나 없습니다.

서방권에서는 보급이 가능한 범위로 전장을 제한하고,
희생을 피하면서 보급이 확보된 이후에 전진하는 방식이고요.

러시아 철도부대는 철도 레일을 깔면서 전진하는 것이고,
이건 미군이 도로와 공항을 깔면서 전진하는 것과 비슷한 것 입니다.
구름위하늘 22-04-27 12:31
   
참고로 러시아가 철도 중심의 보급을 하는 이유 중에 하나가 라스푸티차라고 하는 시기 때문에 계절이 바꾸는 봄/가을의 특정 기간에는 도로 교통이 심각하게 제한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