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4-03-02 16:41
[기타] 펌> 간단하게 써보는 소련 포병체계
 글쓴이 : 노닉
조회 : 1,292  


1. 대부분 곡사포가 직사를 겸함(gun-howitzer)

서방은 포병이 직사 사격을 할 상황이 없도록 하는걸 전제했지만(물론 직사사격 가능하고 훈련도 함) 소련은 곡사포에 직사용 조준경도 달아놔서 대놓고 직접교전도 가능하게 설계함(물론 소련도 포병의 직접교전은 지양했고 악깡버 수단임)

우리도 6.25에서 직사사격으로 재미를 봤던걸 생각하면 터무니없는 컨셉은 아니라고 생각함


2. 탄피식 장약을 사용함

취급이 용이하고 장전속도에 이점이 있지만 155mm 분리장약 방식에 비해서 최소 사거리 조절이 어려움

그래서 서방이 곡사포의 구경장을 늘려서 기존 곡사포와 평사포의 역할을 통합할때 소련은 여전히 곡사포와 평사포를 이원화해서 운용했고 120mm 박격포도 많이 굴렸음

소련 말기에 사거리를 늘린 무스타 시리즈를 개발했지만 기존 D-20계열 곡사포도 많이 남아있기에 러시아도 여전히 평사포를 운용중이고 기아친트는 꽤 최근에도 개수를 받았음


3. 6000밀 체계를 사용함

fdc 계산의 편의성을 위한 것인데, 소련만의 특징은 아니고 nato도 계산의 편의성을 위해 2*3.14...*반지름(사거리)=6.28...을 2*3.2=6.4로 간략화한 6400밀을 사용하지만 소련은 정확도를 희생하고 계산 편의성을 좀 더 챙겼다고 볼 수 있음

원주율에 제일 근사한건 스웨덴의 6300밀 체계인데 스웨덴이 나토에 가입한 지금 포병체계를 6400밀로 바꿀 건지도 궁금하네


4. 말카, 튤판을 계속 운용하는 이유

일찍이 공지전 개념이 발달한 서방과 달리 소련/러시아는 여전히 전선공군과 지상군과의 합동작전이 매끄럽지 못하고 지상화력에 의존하는 모습를 보임

그래서 항공폭탄의 화력을 대신할 강력한 지상화력의 필요성 때문에 203mm, 240mm를 버리지 못하는 것

특히 대구경 박격포인 튤판은 대포병전이 발달한 현재는 도태된 무기체계가 아닌가 싶을 수도 있지만 애초에 원본인 M240 견인박격포 자체가 나치의 고정요새를 박살내는데 애를 먹은 전훈으로 개발된 물건인 만큼 어느정도 소요는 있을듯

즉 동굴이나 시가지에 숨은 게릴라들을 열압력탄으로 끔살시키는 부라티노같은 포지션


5. 포병사단

유명한 종심돌파 교리 때문에 대규모의 포병 운용이 필요했기에 소련은 제병협동군(서방의 기계화군단급 편제) 휘하에 포병사단을 따로 두었음

종심돌파 교리는 차량화보병 부대가 전선 여러군데를 두들기다가 전선이 무너지는 곳에 전차부대와 예비전력을 투입해서 전과를 확대한다는 컨셉인데, 여러곳을 두들기려면 포병이 많이 필요하고 그래서 포병부대를 대규모로, 사단보다 상위 제대에서 작전술 차원에서 운용했던 것

소련군 하면 보통 전 군이 기계화된 기갑웨이브를 떠올리지만 정작 포병의 자주화율은 그리 높지 않은데, 위에서 말했듯이 교착화된 전선을 타격하는게 소련 포병의 주 역할이라서 그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hazelfish 24-03-02 16:43
   
625때는 반대로 탱크포를 자주포처럼 사용해서 재미본 경우도 많았음.
사피엔스 24-03-02 19:14
   
러시아군의 습성이랄까 기본마인드가 그렇습니다.

그 무기체계가 가진 성능과 특성을 잘 활용해서 교리대로 싸우는게 아니라
정확성 보장이 안돼도 탄약을 멀리 날리고 일단 쏘는데 치중합니다.

무장헬기 로켓탄도  정확한 조준없이 일단 고각으로 날려보냅니다.
구름위하늘 24-03-05 14:33
   
러시아군의 포병에 대한 사랑은 넘쳐흐르기 때문에 군단 내의 포병 사단을 제외하더라도
미군에 비해서 많은 포병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러시아군은 BTG 도입 전후에 변경 상황이 많아서 지금은 구성이 다를 수 있음)
차량화소총사단에 직속 포병연대를 가지는데, 152mm 3개 대대와 122mm 1개 대대 구성.  각 대대는  18문
차량화소총사단의 3개 차량화소총연대에도  각 연대에는 1~2개의 122mm 포병대대 보유

미군은 BCT 도입으로 여러번 바뀌기는 했지만, 사단 직속 포병연대가 각 BCT로 나누어지는 형태로 없어짐.
각 BCT는 18문 포병대대 1개를 가지는 형태라서 러시아군에 비해서 포병은 적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