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Etn.연예/영화 해외반응
[CN] 허영만 원작 "미스터고" 中 네티즌 반응
등록일 : 13-07-15 11:42  (조회 : 30,516)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영화 ‘미스터 고 ‘의 개봉날짜가 바짝 다가옵니다. 바로 7월17일 한국, 중국 등 아시아 전역에 동시 개봉하는 블록버스터 영화‘미스터 고’는 제작기간 3년 6개월, 제작비 240억원이 투입된 대작입니다. 허영만 화백의 만화 ‘제7구단’을 원작으로 했다는 점에서 제작 초기부터 화제를 모았습니다.
영화 ‘미스터 고’의 주인공은 ‘링링’이라는 3D 고릴라 캐릭터입니다. 링링은 눈을 깜빡거리며, 씩씩대는 숨소리 하나까지 실제 고릴라와 닮았습니다. 심지어 털이 말랐을 때와 땀에 졌었을 때도 각각 다른 형태로 보이도록 묘사했다는 것이 제작진의 설명입니다.
 
 
scsc.JPG

 
 
 
떠우빨(豆掰)의 댓글 :
 
 
 
狐笑 6月14日
너무 사랑스럽다!!! 꼭 영화관에 가서 봐야겠다!!!
 
 
 
山人阿苍苍  2013-07-02
짙은 한국영화의 느낌이 난다. 특수효과에 감동해서 눈물이 났다....
사람과 짐승사이의 감정은 이상하게 표현된것 같다. 만약 조위위(극중 여자주인공서교의 이름)가
고릴라를 정말로 사랑한다면 아픔을 참고 시합하라고 안할텐데.....
그런데 고릴라가 너무 귀엽다.손으로 비 막아주는 장면도 너무 귀여웠다.
小田切让(일본배우)의 까메오는 정말 서프라이즈였다.
 
 
 
3 有用 猱困困  2013-07-03
특수효과는  쥑이는데...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수집한거야...
후반부에  사람과 짐승행위가 이상한것도  다  데이터를 너무 많이 수집해서 그런걸거야...
너무 지나치게 많이 생각했네...자기가 무슨 고릴라인줄 알아..
 
 
 

2 有用 Oo槑小雅oO  2013-07-06
80%가 한국말이네....그리고 성동일 진짜 너무 멋있어..!
 
 
 

Yue你就这样吧  2013-07-08
서교(영화 여주인공)의 가식이 너무 싫다...그리고 <링링>이라는 이름은 너무 촌스럽다.
 
 
 

1 有用 fiamma  2013-07-08
3d와 특수효과가 정말 짱이네요...몇번이나 야구공이 얼굴을 치네요...
그러데 사람과 동물간의 감정교류가 좀 이상해.
이것외에는 정말 재미있는 영화라고 생각해.시합분위기나 웃음포인트도 잘 만들어졌다고 본다.
 
 
 

1 有用 牧城  2013-07-08
상상력~ 성년들의 동화..
 
 
 

1 有用 何谓谓  2013-07-08 
정말 좋았다.
특수효과제작이나 이야기줄거리 처음에는 좀 바보같았지만 점점 가면서 괜찮아졌다..
두 고릴라가 싸울때 정말 진짜같았다.
 
 
 

2 有用 冬至  2013-07-08
중한합작 영화라고 하지만 거의 한국의 혈통이다.우리나라가 한거라곤 아역배우 한명 출연.
 
 
 

3 有用 wendawen  2013-07-08
이 영화가 중한합작영화의 관객수가 제일 많은 영화가 될것 같습니다.
만약 억을 돌파 못하면 이것은 중국사람이 고의적으로 한국영화를 배척하는것이다.
 
 
 
有用 占士  2013-07-08
고릴라의 정확한 사용방법
  
 
 
荔枝超人  2013-07-08
3D특수효과와 야구시합장면을  빼면은 별하나의 값어치도 없다.
 
 
 

大宝明天见、  2013-07-08
특수효과는  잘한것 같다!그런데 스토리나 인물은 말할 가치가 없다.
정말 서교의 연기에 무릅 꿇었다.
 
 
 

木卫二  2013-07-08
한국영화 . 특수효과위주의 영화. 줄거리는 홈런 이런 야구시합의 내용.
국내관객들은 그냥 즐겁게 보면 될것 같다 .어린애들이 좋아할것 같다.
1、<국가대표>보다 나은게 없다고 생각한다. 딱 <미녀는 괴로워>수준이다.
2、서교는 소리만 질러대고 고릴라를 사랑하지 않는것 같다.
3、이러한 영화지만 고릴라의  야구공은 마치 중국의 쓰레기영화의 얼굴을 맞혀 치는것 같다.
 
 
 
Maxxie  2013-07-08
특수효과는  잘한것 같다 . 영화의 투자는 거의 영화 마지막단계에 쓴것 같다.
스토리는 그냥 어린애들 보는것 같은데...그래도 효과는 나름 좋았던것  같다.
 
 
 
0 有用 孤芳 2013-07-09
우리나라 CG는 언제 이 수준이 될까
 
 
 
 
有用 向阳花  2013-07-09
스토리에서 중국부분이 좀 억지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에 가서야 정상적인 줄거기로 돌아온것 같다.
통속적인 영화에서 볼거리는 고릴라의 연기밖에 없다.근데 효과는 좋았던것 같다.
 
 
 
2 有用 圆圆❤  2013-07-09
서교 연기 정말 못하네..
 
 
 

1 有用 GunnerCY  2013-07-09
저도 모르는 사이에 한국의 특수효과기술이 벌써 이렇게 많이 발전했다.
영화는 한국식웃음포인트가 많은것 같다.한국의 정서...중국 한국의 영화가 아니라 아시아의 영화네...
 
 
 
 
2 有用 Titans  2013-07-09
별 세개. 난또 무슨 공업실험작품인줄 알았네....
그래도 일본배우 한국배우들은 참 직업은 사랑하고 열정이 있네....
그런데  영화관에 가서 보면 앞뒤좌우 다 아이들일것 같아서 관객수가 걱정이다..
 
 
 
 
五摆五折  2013-07-09
킹콩의 야구판.  특수효과나 말할 가치가 있다..
 
 
 

1 有用 艾米的兔子  2013-07-10
CG를 이렇게까지 하다니  정말 대단해...털 날리는것까지... 정말 뜰것같다.
 
 
 
 
spn达达  2013-07-12
상상했던거보다 좋았던거 같다!!!  그런데  마지막에  고릴라장면이 너무 가슴 아팠다.
서교 남자처럼 생겼다!!!그래도 필선2 (박한별출연 )보다는 낫다고 생각한다.
 
 
 
2 有用 宝塔塔塔塔塔糖 2013-07-12
노력하는 고릴라를 보니 정말 너무 감동된다.
중국의 영화인들도 빨리 외국의 기술을 많이 배워왔으면 좋겠다.
관객이 돈주고 이런 영화를 봐야 제값한다고 생각할거 아닌가...
 
 
 

1 有用 冷若浠  2013-07-12
링링에게 너무 감동 받았다.성동일아저씨에 대한 호감도 습속도로 상승했다.
어디서 본것 같은데 하고 한참동안이나 생각했는데 <응답하라 1997>의 여자주인공 아버지네...
미스터 고 완전 기대되....
 
 
 
0 有用 青儿LuckyYoung  2013-07-12
고릴라 한마리와 웃음과 눈물이 있는 야구장.
 
 
 

浩子1990  2013-07-13
특수효과 빼면 거의 볼거리가 없다고 생각한다 .
스토리전개와 캐릭터는 어떻게 된것인지 잘 모르겠네...
별점하나를 준건 기술에서 힘썼다고 느꼈기때문이다.
아시아에서는 괜찮다고 생각하는데 weta와는 비교가 안된다고 생각해...그런데 많이 진보했다.
 
 
 
莉特婕  2013-07-13
영화 특수효과 좋다.스토리도 좋고...국내 어느 영화보다 낫다.
 
 
 
水之木华  2013-07-13
스토리는 초등학생이 쓴것 같다 . 그런데..한국은 그 수준밖에 안되니까...
특수효과는 잘했다.
 
 
 
1 有用 hxxjjl  2013-07-14
엉터리 줄거리....유치하고 따분해...효과도 별로다.  서교는 귀엽더라..
 
 
 
 

2 有用 阿彬de豆瓣  2013-07-14
한국에 간다는거 보구 나는 다음 줄거리를 예측해냈어..
지루하기 그지없다.중국서커스단의 시골아이가 빚을 갚기위해 고릴라를 한국에 데려가서 야구를 시켰다..
스토리가 참으로 이상하다.512지진시기에 국내경제가 그렇게 약했나?
그리고 광고는 또 왜 그렇게 많이 넣었는지..돈 낭비...
  
 
 
 
 
1 有用 乔治酱  2013-07-14
별 두개 링링<극중 고릴라 이름>에세 주겠어.
 
 

번역기자:캉가루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모든 번역물 이동시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캉가루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꼬퉁퉁이 13-07-15 11:46
   
짱개들 배가 어지간히도 아픈가 보군요 ㅋ
그리고 경제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야구 잘하는 고릴라가 중국에서 뭘하면서 돈을 법니까? 야구 인기라곤 쥐똥만하고 베이징 올림픽 때 부랴부랴 야구장 지어놓고 지금은 쓰지도 않고 있으면서
stabber 13-07-15 11:47
   
한중합작인데도 뭔 불만이 그렇게 많은지 서교 팬과 안티가 나뉜듯한 댓글도 ㅎ
     
mymiky 13-07-15 18:36
   
중국투자가 30%이상만되면 중국에서 합작으로 인정해줍니다.
중국은 검열제도가 있기 때문에, 외국영화가 걸리는게 무척 까다롭고
불법 다운로드가 활발해서, 큰 인구시장에 비해 큰 수익얻기가 무리죠..
그걸 뚫기위해서 합작형태로 많이 만드는거고,,
중국인들이 여주만 중국인이라고 까는 것 같은데.. 주인공도 한국의 남지현에서 중국 투자측에서 추천한 서교로 바꿨구요. 중국측에 신경써준걸 알아주면 좋겠네요.
     
Schwarz 13-07-15 19:03
   
그냥 봐도 애들 손잡고 가서 보는 가족영화인데...
번역댓글이나 가생이 댓글이나 눈에 플래쉬뱅 맞은 분들이 보이네요
FIFA 13-07-15 11:48
   
얘네들... 돈주고 본건 맞죠?
여유바라기 13-07-15 11:51
   
남이하면불륜 내가하면로맨스
노호홍 13-07-15 11:53
   
얘네들은 CG 칭찬일색이네ㅋㅋ 양키 애들은 욕하던데
염원 13-07-15 11:58
   
이번 영화를 계기로CG기술이 좀더 발달됬으면씹다.. 언제 우린 반지의제왕 같은걸 만들라나.. ㅋㅋ
     
똥꼬에마데 13-07-15 14:23
   
우리나라 CG의 진짜 문제점은... 예산일 겁니다 ㅠㅠ
     
mymiky 13-07-15 18:52
   
우리나라 CG기술은 헐리웃의 cg는 못 따라가더라도- (여긴, 그냥 넘사벽임..-.-
미국벽을 넘을수 있는 나라 없음으로 패스..)

좋은편이예요.. 기술은 있는데, 쩐이 문제죠-.-
그래서, 외국영화에 우리나라 CG팀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어요.
지금 대세는 중국시장이고, 한국 cg인들이 중국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반성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그건 실력보다는
제작전반의 크리에이티브 관리시스템의 부재와 예산, 그리고 시간입니다.
반지의 제왕은 잘 모르겟고, 미스터고가 고릴라니까..
피터잭슨의 킹콩과 비교를 하자면, 2년반이라는 시간과 2천만달러-원화로 220억이 듬.

좋은 시나리오에
한마디로 시간만 빵빵하게 주고, 쩐만 화수분처럼 팍팍 던져 줄수 있다면,
만들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영화계가 주연배우들은 돈을 벌지만, 영화 스탭진들은 늘 박봉이죠.
특히! cg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순 노가다에다 박봉입니다.
기술력을 탓하기 전에, 이런 시스템을 뒤엎는게 먼저겠죠..
          
푸른하늘3 13-07-16 15:29
   
맞습니다.  시스템적인 문제 크죠..  실제로 한국 능력있는 CG 인력들 일부는  되려  헐리웃에 스카웃되서 거기서 작업하죠. 한국은  기술진들 스탭들 너무 박봉에 힘듬 . 이러다 다 인력유출 되겠음..  그리고  중국 역사극이나 판타지 ,  전쟁물  에  봐줄만한 CG 대부분 한국업체가 만드는거임. 중국 순수 CG 기술력은 아직도 형편없는 수준 ㅇㅇ
     
무심테러 13-07-16 10:57
   
시사회 보고왔습니다.
저도 보기전에는 좀 회의적인 마음이 컷지만 나올 때는 이게 머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반지의 제왕급 스케일은 아니지만 링링만큼만은 헐리웃 CG와 동급입니다.
나중에는 진짜 고릴라가 연기 참 잘한다고 생각들 정도입니다.
너무 완벽해서 몰입이 안되는 패러독스가 발생될 정도입니다.
시간 나시면 한번 보고 우리나라 CG기술 평가하세요~!
     
푸른하늘3 13-07-16 15:26
   
기술 운운하기 이전에  제작 자본금부터  후달립니다.  한국시장에서  150억 넘는 영화 자체가  무리수가 큰겁니다.  통일이 되서  시장을 키워야 무슨 300억 넘는 영화도 수익을 바라보며 활발히 제작할수가 있지. 물론 3-4백억 때려부어도 반지제왕 못만듭니다.  천억 2천억 넘는 헐리웃 영화 어찌 비교합니까?
PRADA 13-07-15 11:59
   
식칼들고 공중에서 말도안되는 칼싸움하는 짱깨들이 한국영화를 평가하다니...
유랑선비 13-07-15 12:00
   
水之木华  2013-07-13
스토리는 초등학생이 쓴것 같다 . 그런데..한국은 그 수준밖에 안되니까...
특수효과는 잘했다.



중국영화 스토리는 뭐 나은줄 아나ㅋㅋㅋㅋ
애초에 이 영화에 짱개애들이 스폰 안해줬으면 스토리에 짱개는 전혀 관계없었을 거였다.
제로제로 13-07-15 12:02
   
중국 개봉이 18일 이라는데...
영화도 안보고 본 것처럼 댓글질이네.
     
꼬퉁퉁이 13-07-15 12:21
   
시사회는 이미 했다더군요
음하하하 13-07-15 12:12
   
CG가 아무리 좋아도 내용이 아니면 안되는데...
하림치퀸 13-07-15 12:12
   
고릴라가 야구를 신기 방기ㅋㅋㅋ 어차피 영화니깐요. 고릴라가 하는 야구 라는 소재로 얼마만큼 스토리를 끄집어낼수 있을지;;
국산 13-07-15 12:12
   
한국에 간다는거 보구 나는 다음 줄거리를 예측해냈어..
지루하기 그지없다.중국서커스단의 시골아이가 빚을 갚기위해 고릴라를 한국에 데려가서 야구를 시켰다..
스토리가 참으로 이상하다.512지진시기에 국내경제가 그렇게 약했나?
그리고 광고는 또 왜 그렇게 많이 넣었는지..돈 낭비...
-------------------------------------------------------------------------------------------
짱깨들은 자기네가 잘사는나라인줄 아나보네요..
국가에 돈이 많을 뿐이지..지금 현 순련공 월급이 60만원 정도 인데..
빈민국가중 하나고..
     
무구리 13-07-15 12:25
   
지역별로 느끼는 편차가 커서 그럴지도.. 상하이같은경우 물가는 서울과 같고 사람들 월급도 한국 수준이고 도시 외관이나 규모에 있어서도 오히려 서울이 촌같은 기분이 들던데.. 이런 부유한 지역 사는 인간들만 해도 1억이 넘으니 지들끼리는 이미 선진 생활을 하고 있다고 도취해 있지 않을까요? 심천같은 경우 1인당 소득이 2만달러 수준이니..
          
두비두바 13-07-15 12:46
   
이게뭔 개소린지 서울(7천 7백 39억 달러)이 상하이(5천 1백 65억 달러)보다 규모 훨씬큰데요? 서울이 세계4위고 상하이가 세계10위인데,, 상하이소득 2만2천달러에요 서울은 3만2천달러인데.. 상하이에서 좋은곳만 다니셨나? 마천루뒤에바로 판자촌에 거지동네 쫙깔려있는데 외관도 촌스럽고낡은 건물도많고 공기더럽고 사람들도촌스럽고
               
닭꽃등심 13-07-15 14:21
   
서울이 그렇게 높나여?...1~2년 전만해도 2900억 달러로 알고 있는데....
                    
두비두바 13-07-15 14:26
   
서울광역권(수도권) 규모 말하는거임 외국에선 서울광역(수도권) 을 걍 서울이라그럼
상하이도 마찬가지로 상하이 광역권다합쳐서고요. 도시 gdp 통계사이트같은데 가시면 경제규모랑 소득 여러분야 통계 다나와있음 그리고 서울 2900억달러 더넘죠 3천 3백억달러는 될듯
                         
갑툭튀 13-07-15 14:45
   
외국에선 서울광역권을 걍 서울이라 그런다는건 무슨소리죠;;
7천 700억?

그렇게 치면 1조가 넘는 뉴욕에 이어 3위인데요? 런던 LA보다 더 높은;;

서울은 서울이지 수도권에 시만 몇개인데 그 도시들을 다 합쳐요.;;
                         
두비두바 13-07-15 14:54
   
1.도쿄 2.뉴욕 3.LA 4.서울-인천 5.런던
6.파리 7.오사카-고베 8.시카고 9.모스크바 10.상하이 순입니다.

외국에서는 서울권 한마디로 한국수도권을 걍 서울권역에있기때문에 하나의권역 그걸
그냥 서울광역권으로 본다는거죠 현실적으로도 수도권과 서울을 아예 다른지역이라고 따로떼놓고 말할수있나요? 수도권이라는것자체가 도시이름도 아닐뿐더러 수도 서울을중심으로 이루어진 권역이기때문이죠 서울중심으로 큰지역인데 마찬가지로 도쿄도 도쿄도에 시가도쿄하나있나요? 거기에 여러시들이 다있습니다 치바부터 요코하마까지요  뉴욕도 마찬가지고 런던도 파리도 마찬가집니다 그도시들도 광역권까지 다합쳐서 한도시의 gdp라고 합니다  서울도 마찬가지입니다 서울-경기도-인천 이걸 하나의 광역권이고 서울메트로 서울광역권이라고 하는거죠 서울을중심으로 영향력이 있으니깐요

http://cafe.daum.net/hanryulove?t__nil_cafemy=item 여기가서 확인해보시길.
                         
갑툭튀 13-07-15 18:58
   
통계적 접근을 한다면 당연히 따로 떼서 봐야죠...
제시한 순위도 이상한데요...
2. 뉴욕 3. LA  이거도 말이 안되네요.
서울광역처럼 그럼 미국도 뉴욕주. 캘리포니아주. 광역으로 쳐야지요.
그럼 캘리포니아주가 1위되겠네요. 2조달러가 넘을테니...

통계의 오류를 범하가 쉬운 전형적인 예네요.
측정 집단들의 기준을 제각각으로 해놓고 눈속임이에요.
서울 > 상하이 라는 처음 글의 논점에 동의안하는게 아니란점은 아시죠?
                         
갑툭튀 13-07-15 19:08
   
제가 사용하는 FN가이드(매달 몇십만원 넘는 정액비 꼬박냅니다. 애초에 지정IP아니면 사용못하니 불법사용이 불가지요) 에 나온 통계수치도 변수를 어떻게 설정하냐에 따라서 순위가 바뀝니다만...  애초에 집단을 <도시>로 설정했으면 도쿄시. 뉴욕시. LA시. 처럼 서울도 서울시.로 봐야지요. 아니면 광역으로 묶을라면 도쿄시는 "도쿄도(간토지방)" "뉴욕주" "캘리포니아주" 등등으로 해야하고요. 어떤게 더 통계적으로 정밀함을 요하는지는 말 안하셔도 아시겠죠.
저도 서울 GDP가 세계 3위다 4위다 무슨 말 많이봤는데 대부분 그런 통계오류를 범하고 있더랬죠.  수도권이라고 경기도와 인천광역시까지 다 넣는게 무슨 도시GDP입니까.
서울 특별시GDP만 따져야지요.
물론 GDP1위인 저 도쿄가 "도쿄시"가 아닌 "도쿄도"의 데이타일 경우가 많아서 순위를 매길때 서울도 서울광역으로 묶는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 애초에 뒤죽박죽 말도안되죠.
                         
두비두바 13-07-15 19:41
   
캘리포니아주는 도시가 아니자나요 캘리포니아 주자체가 같은주인것뿐이지 밀접하게 전부서로 연관이되있는건가요? 그니깐 한도시를 기점으로 토대로 그주변을 형성하고 이런건가요? 우리나라 수도권처럼요? 한도시가 영향을주고요? 예를들면 우리나라로 따지면 전라도나 경상도가 있다고 봅시다 근데님말은 한국으로 치면 그냥 경상도가 하나의 GDP 라는 소리와같은것 아닌가요? 같은지역에속해잇다고? 이건아니죠 이거는 같은 도일뿐 다 경제적영향을 주면서 서로연결되어있는 도시가 아니자나요 그래서 같은도라도 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 이렇게 광역권이 각각묶입니다 그래서 따로 광역권을 이루는거죠 밀접한곳끼리 도시라는게 아니라 영문명을 보시면 알겠지만 서울-인천 이렇게써있습니다 이렇게 한덩어리로 본다는거죠 근데인구수는 2천4백만명이란건 경기도도 포함을하고있다는소리죠 그냥 저기영문명에 써져있는건 대표도시이름만써놓은거구요 그리고 캘리포니아주의 광역권인데 그중대표도시인 LA라고만 써있는 경우란거죠(캘리포니아가 한국수도권처럼 묶여있는건지는 모르겠지만요) 도쿄도 마찬가지 도쿄도GDP를 얘기하는건데 도쿄라고 도시이름만 써있는거죠 한마디로 다 광역권인데 그중에 대표도시이름만 써져있는거란거죠 그리고 이렇게묶어놓은이유는 사실상 하나로 본다는 소립니다 그래서 제가 광역권이라도 대표도시이름이 써져있어서 그렇게본다고 써놓거구요 저는 하나의도시GDP라고 한적이없습니다 하나의광역권을 그도시지역으로보는경우가 많다고했지요


근데님은 광역권의 의미를 헷갈려하시는것 같습니다 같은지역이라고 같은주라고 같은도라고 무조건 같은 광역권이 아닙니다 같은주라고 같은광역'권'으로 묶여있는게 아니자나요 밀접한연관이 있어야 같은광역권이죠 같은지역 예를들면 강원도,경기도,충청도,전라도,제주도,경상도 이거는 그냥 같은지역 같은도이지 이게 뭐 밀접하게 보면 광역'시'란것도 있자나요 이거는 광역으로 묶인 하나의도시죠 그래서 하나의도시만 해당 그치만 광역'권' 권역이죠 그니까 같은 권역에 해당되는지역들을 말하는거죠 같은권역으로 묶인지역들 그니깐이거는 같은도나 혹은 같은지역내에서도 같은권역으로 묶인곳이 따로 있다는거죠  중심도시를 필두로해서 말이죠 .예를들면; 충남대전 / 충북(청주) / 전남광주 /전북(전주)/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 서울인천경기/ 이렇게 같은광역권이죠 그래서 제가 추측하건데 제생각엔 그냥 같은주일뿐 다모든도시가 LA의 권역에 묶여있는건 아닐꺼같단거죠 그래서 LA의 광역권역에만 묶인곳만 나와서 3위다 뭐 이런것같은데요

보통은  서울GDP 도쿄GDP 라고 하는게 광역권포함인데 그냥 중심도시기준으로 간편하게 도시지디피로만 부르는겁니다
                         
갑툭튀 13-07-15 23:55
   
두비두바님의 광역권에 대한 의미를 헷갈려 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그 기준의 의문을 둔것이지요. 의미를 몰랐다면 의문을 제시하지도 않았습니다.
말씀하신것처럼 그 광역권이란 의미를 행정소관부처와 특별구/시/군 또는 카운티라던가
행정구분이 아닌 단순 "경제적 영향"이라는 상호주관적인 개념에 의한 것으로 보았기에
의문을 제기한것이지요. 당연 캘리포니아주는 농업공업광업 전반에 걸쳐 주에 속해있는 도시간 영향을 미치며 지역적으로도 그 주체가 결정되는 지역입니다.
그런데 순위중에 런던은? 파리는? 모스크바는? LA는?
도쿄는 제가 도쿄도라 하였습니다. 그래서 한국도 따라가기위해 서울특별시가 아닌 수도권이라는 범위로 통계를 낸거겠지요.
제대로 비교 하려면 도시간 GDP를 따지는게 맞다고 봅니다.
경제적 광역권이란 애매모호한 정확한 기준이 없다면 믿을만한 것이 아닙니다.
캘리포니아주는 도시가 아니라 여러 도시 카운티들이 모인 주죠.
그 지역의 대표도시만 표기되어있다고요? 
캘리포니아 주에서 경제상업의 중심지는 샌프란시스코입니다.
인구가 가장 많은데가 LA이지요. "경제적 영향"이 기준이라면 차라리 월스트리트가 있는 샌프란시스코가 대표도시여야 하지 않나요? ㅋ
                         
갑툭튀 13-07-16 00:05
   
뭐 간단히 말하면 도쿄와 한국 이외에는 그냥 단일 도시GDP자료를 이용한듯보입니다.
순위에 정확히 몇조 몇천억 수치없이 순위만 있어서 확실히는 모르겠지만
도시만 따져보니 서울이 순위권 밖이거나 9, 10위에 걸치고 일본 같은경우에는
도쿄시 자체 데이터를 구하기 힘들기도하고 그냥 도쿄도 전체 데이터로 계산했으니
질수없다! 라는 마음에서 수도권을 통으로 묶기도 하네요.
통계는 아는만큼만 믿고 나머진 다 의심해야하는 교훈을 주네요
                         
두비두바 13-07-16 00:26
   
http://cafe.daum.net/hanryulove?t__nil_cafemy=item 여기에 정확한사진이나 몇조몇천달러인지 다나와있습니다. 검색창에 GDP 치시면 됩니다
무구리 13-07-15 12:23
   
현 CG업계 종사자인데 중국의 실제 상황에 비해 중국 대중의 인식은 낮군요.. 이미 중국의 CG는 한국을 넘어선지 오래됐습니다. 중국 공산당이 크리스털 CG라는 업체에 일감 몰아주기 및 집중투자를 한 덕분에 한국에는 존재 할수도 없는 수천명 규모의 회사가 탄생했고, 거기서 나오는 CG들은 정말 현업에 있어도 입이 벌어집니다. 한국 VFX업체들은 거의 망하고 있는 수준입니다. 이번 미스터고로 국내 CG업계에도 활력이 돌면 좋겠네요
     
곰돌이777 13-07-15 12:35
   
무슨 ㄱ ㅐ 소리인가.중국의 CG가 한국을 넘어선지 오래라니?.과거 홍콩영화 보면 CG 기술 선보인 영화들이 많이 나왔는데 .그거 대부분을 외주에다 외국기술자들도 참여 한게 많다.그리고 현재에 와서 중국의 CG 기술이란게 우리나라 CG보다 더 나은게 뭐지?..대부분의 CG에 들어가는 프로그램 엔진이 외국거에 쓰리디 하청으로 일명 노가다 인력으로 만들어 지는게 한국이나 중국이나 그게 그나물에 그밥 현실이다.
          
FIFA 13-07-15 12:56
   
두분이 다른 의견을 갖고 계신데 두분다 CG 업계 종사자신가요?
          
천리마 13-07-15 15:42
   
가생이는 반말 금지입니다
     
mymiky 13-07-15 19:02
   
무구리님이 cg업계 종사자라? ㅋㅋㅋ
중국의 cg는 거의 외국회사들을 중국이 돈주고 기용해서 만드는 형태임..-.-
중국영화 많이 보니, 거기 나온 cg가 모두 중국산인줄 아나-.- 어이가 없넹..

마치, 중국 축구리그가 돈이 많아, 이나라 저나라 유명선수들 용병으로 스카웃해서
쓰니, 그게 자기 중국축구 실력이 올라가고 있다. 개 소리하는걸 보고 있는듯ㅋㅋㅋ
중국은 걍. 돈주고 떼우는 거예요.. 한 10년정도 지나면, 거기서 보고 배운게 있어
자국 cg를 구현해낼수 있을진 몰라도, 지금 그게 중국산이라고 착각하면 안됩니다.

한국VFX업체들은, 돈주고 불러주니 진출하는거구요..  기술이 없어서
망하는게 아니라, 우리 영화계는 그렇게 돈 주는데가 없으니 중국으로 일하러 가는거예요..-.-
이해가 되심?
          
갑툭튀 13-07-15 19:21
   
중국에 크리스털 CG... 대단했던 런던올림픽 개막식 CG에 이어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입찰에도 성공함... 자금력과 투자로 무시할 수준은 아니에요...
중국은 걍. 돈주고 떼우는 거......라 하셨는데 그 논란이 영국에서 반대로 일었죠.
런던 올림픽 CG를 중국에 돈주고 떼웠다고...ㅋ

한국과 중국 둘중 어디가 CG 기술이 뛰어나냐! 라는 문제에서는 전 딱히 모르겠지만
중국 CG기술이 이제 많이 올라온걸 느끼게되네요.
     
니엘 13-07-15 19:18
   
중국영화 CG대부분을 우리나라업계가 하는걸로 알고있음
누가 그렇게 얘기했음
          
과특 13-07-16 01:52
   
누가 그렇게 얘기했음?? ㅋㅋ확실하지도않은정보 퍼뜨리지마세요
     
푸른하늘3 13-07-16 15:33
   
중국 CG가 한국 넘어선다니 먼 헛소리 퍼뜨리세요?  중국 영화 상당수 CG 제작 한국에서 해준거구만..  집결호?  전쟁씬 보면 태극기 베낀 티 나죠? 그거 태극기팀이 대부분  만들어준겁니다. 거기에 일부만  헐리웃 참여 ㅇㅇ.  성룡과 이연결 나온 영화 머죠?  포비든 어쩌구?  그거  한국에서 CG 만들어준거...  화피도  오프닝 비롯  CG 참여,  외에도 많아요..  타워 한국영화 봤어요? 그거 순수 한국 업체 기술력입니다. 괜찮죠..  해운대도  헐리웃 참여도 있지만 한국기술 들어갔고..  중천 ,  설국열차, 미스터 고 모두 순수 한국기술입니다. 외에도 많죠.. 국가대표 그 스키장면 누가 만들수 있답니까?  활 최종변기의 그 활 쏘는 액션 연출  CG는 아니지만  연출과 촬영이 대단했구요..
오빠거기헉 13-07-15 12:25
   
.
.
.
애초에 이 영화는 어린이용 가족영화입니다. 그점을 감안해서 봐야죠.
.
그리고 억지스럽게 저 중국아역을 참여시킨건, 그래야 중국이 참여한 합작영화라는
.
지위를 획득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해야 중국시장에서 개봉하는데 많은 이점이 있거든요
.
.
.
.
진해그녀 13-07-15 12:25
   
어릴적 허영만 화백의 제7구단 보면서 웃겨서 죽을라 했죠...

영화가 허영만 화백의 만화를 얼마나 살릴까 ....기대반 걱정반이네요...ㅎㅎㅎ

가장 기억에 남는건 홈플레이트로 돌진하는 고릴라에 견디는 연습하는 상대팀...포수들....

아직도 기억에 남는디...ㅋㅋㅋㅋㅋㅋ
     
끌링투렝 13-07-16 00:04
   
대주자 치타, 외야수 송골매(독수린가??)
이게 갑이었죠 제게 있어서는요
그런데 영화에서는 빠졌겠죠?
쟤네들까지 언제 cg만들겠어요
스토리도 지지부진해 질 것이 뻔하구요
똥파리 13-07-15 12:26
   
어차피 너희는 돈주고 안볼꺼잖아?? ㅋㅋㅋㅋ
지해 13-07-15 12:32
   
벌써 나돌고 있을껄...
곰돌이777 13-07-15 12:32
   
제작비의 20% 중국 투자액 들어간 모양인데 .제작비 20%의 중국 입김이 대단한 모양이군. ㅅㅂ 한중 합작 영화 되어 버렸어. 네이버 평점보니 가관도 아니더만..평점 알바시끼들. 웬만한 영화는 예고편이 볼만하게 뭔가 재미있게 만들더니만..이건 뭐 예고편도 저따구인데..얼마나 재미 없을지. 이딴 영화는 반년만 기다리면 영화 전문 케이블 티비에서 방영하잖아.
     
피앙쉐보레 13-07-15 13:08
   
ㅋㅋㅋ 다 불만이시네. 합작한거 불만. 네이버평점 불만. 예고편 불만. 영화불만 ㅋㅋㅋㅋ

합작을 해야 중국 시장을 노릴수 있으니까 합작한거죠. 님보다 몰라서 했겠습니까
중국은 스크린쿼터 비슷한거 있어서 중국영화로 개봉해야 훨씬 유리합니다.
개봉관 5천개 잡혓다는데 이것만봐도 반은 성공이죠.
그리고 예고편이 저따구라 이딴 영화 망한다는데 그건 개취니까 그럴수도 있겠네요 ㅋㅋ
하지만 영화는 집에서 보는거랑 극장에서 보는거랑 달라요. 더구나 예고편가지고 판단ㄴㄴ
          
곰돌이777 13-07-15 15:11
   
마치 중국 시장을 노리기 위해서 합작?것도 개소리고 .자금 압박으로 궁여지책으로 중국 자본이 들어 온거야. 애초 여자 배우는 한국 여자 배우였다가. 자금줄 압박에 중국돈 끌어 온 다머지 중국측 입김이 작용 한거고.
               
천리마 13-07-15 15:46
   
이분은 계속 반말 이시네.
          
피앙쉐보레 13-07-15 15:44
   
중국시장 노리고 합작한거 맞은데. 그게 왜 개소리?
그럼 중국 개봉관 5천개 잡힌건 뭘로 설명할래?
자금압박 때문이라고? 쇼박스가 30~40억 없는 회사냨ㅋㅋㅋㅋ배짼다
궁여지책?ㅋㅋㅋㅋㅋㅋ
               
푸른하늘3 13-07-16 15:37
   
피앙님 말이 맞겠죠.  고릴라 cg 제대로 구현할라고 돈 많이 들어갔으니  제가 알기로 고릴라에만 100억 넘게 드간걸로 압니다.  괴물은  영하 자체가 90억 이었고  괴물 cg 에 70억 드갔나?  기억이 가물한데.. 여튼  중국에서 40억 정도? 투자해서 240 억 드갔는데 한국에서 수익 뽑긴 힘들어요. 애초 해외시장 판로 모색해야했고 원작에도  고릴라랑 여주가 중국인 설정이었으니...  중국에서 투자하는김에  배우를 중국배우로 교체요구. 한국에서도 손해볼건 없었죠. 중국시장 전역 개봉.. 에  플러스 요인이 될거고.. 중국에서도 수익 걷어들여야  손익분기 넘길수 있을테니...
람fka 13-07-15 12:33
   
잘 봤습니다.
NASRI 13-07-15 12:35
   
첫 댓글에 나오는 小田切让 오다기리 죠 입니다.

아무튼 제대로 상영도 하기전에 악평이 너무 많네요...
로드멤버 13-07-15 13:09
   
예고편만 본 소감으로는 정말 재미없을거 같습니다.
하지만 기대가 낮은만큼 반전이 있었으면 하네요. 써니처럼요.
알로하 13-07-15 13:14
   
악평들이 많아도 반대로 중국에서 흥하면 좋겠어요
무황 13-07-15 13:16
   
우리나라 CG 기술은 솔직히 헐리우드 다음일겁니다. 일부 드라마에서 엉망으로 나오는건 시간이 없어서 그래요 쪽대본 드라마에서 CG는 넉넉하게 줄거 같습니까. 추노 같은것만 봐도 시간 넉넉하게 주면 드라마쪽 환경에서도 적당한 자본으로 훌륭한 CG 나옵니다. 헐리우드도 CG 완성하는데 보통 3~6개월 길면 1년도 더 넘게 작업하는것도 허다합니다. 일부장면은 저장해놓고 응용해서 쓰고 하죠 미드에서도 CG가 주인 드라마 빼고는 막상 CG연출은 허접한거 허다합니다.
     
사이공 13-07-15 16:16
   
그렇죠.. 기술은 받쳐주는데 우리나라 드라마 당일치기 촬영때문에 CG가 시간이 없어서 대충하는거지 자본시간 있다면 소프트웨어 빼곤 하드웨어는 필적할만하죠...
     
니엘 13-07-16 19:38
   
그렇군요
페닐 13-07-15 13:24
   
뽀로로 극장판도 중국 합작해서인지,
억지로 중국 정서 끼워 맞춰서 스토리 라인이 3류가 되버렸던데, 이것도 좀 걱정되네요.
잡덕이대세 13-07-15 13:36
   
개취겠지만 ..이거 보고싶음 마음 조금도 안생긴다.
레드힐 13-07-15 13:37
   
어차피... 방학 시즌에 애들델고  가족들 가서 보라고 만든 영화 같구만 뭔 말들이 이렇게 많어 ㅋ
모라고라 13-07-15 14:10
   
잘보고 갑니다~ ㅎ
81mOP 13-07-15 14:10
   
아...어릴적 보물섬이었나? 거기서 봤었는데....
미스터 고라고 했서 첨엔 뭔지 기억이 안났었는데...
minidaddy 13-07-15 14:16
   
내가 봐도 CG엉망에 스토리는 삼류영화도 아니고 그냥 쓰레기 수준... 이걸 누가 돈내고 보냐??
     
Bluewind 13-07-15 14:53
   
많이 봅니다.
     
푸른하늘3 13-07-16 15:39
   
보긴 멀 봄?  보지도 않아놓고  예고편 cg 갖고 평가함?  극장 가서 본 사람들 시사회)  다들 cg 괜찮다고 하는구만. 글고 원작 자체가 만화임. 만화적 설정이라  유치할수 있지만 어차피 방학때 가족영화로 개봉하는건데..  머가 문제임?  퍼시픽림이 헐리웃 치고 cg 별루고  스토리 쓰레기에 연기도 쓰레기임.
     
니엘 13-07-16 19:39
   
님만 안보면 될것 가지고 굳이 여기서 욕하는이유가 머임?
♡레이나♡ 13-07-15 14:32
   
좀 걱정되지만 꼭 흥행하길!!!
대당 13-07-15 15:17
   
스토리가 어떻길래 저렇게 투덜대지?
천리마 13-07-15 15:45
   
대박나라.
팜므파탈 13-07-15 16:20
   
꼭봐야지 ㅎㅎ
도제조 13-07-15 16:38
   
한국영화 그래픽도 이제 많이 발전했구나를 느낌
크리스탈과 13-07-15 17:03
   
낼모레 개봉이군요
시간나면 봐야겠어요 ㅋ
Schwarz 13-07-15 17:15
   
애들 영화인데 뭘 기대한거야 -_-
유치함을 따지다니 킹콩이라도 떠올렸나?
둥가지 13-07-15 17:18
   
이게 그 영화로구만 ㅋㅋ
오캐럿 13-07-15 17:50
   
특정 유저가 사실과, 본인 생각과 상반된다고..
개소리 운운하는 분들은 개소리에 답한 것이니, 본인도 개소리라는 것을 왜 모르실까..
존중,배려하면서 반론 답글 달면, 보는 사람한테도 설득력이 더 좋았을텐데.. 아쉬운 댓글 매너들..
가라시니 13-07-15 17:51
   
잘 봤습니다.허영만 만화 원작이면 잼있을듯한데
오캐럿 13-07-15 17:51
   
cg 기술에 대한 댓글들이 다수 보이는군요..
합작영화라지만 중국비중이 적어 아쉬워 하는 댓글도 다수 보이고..

//캉가루/님.. 수고하여 주신 읽기 편했던 깔끔한 첫 번역 정독으로 잘 봤습니다...^^!
별명777 13-07-15 18:03
   
영화 스토리 쓰레기. cg  쓰레기라는데.. 이거 가족영화에요 ... 성인이 보기는에는 다소 유치할수 있겠으나.. 초딩. 유치원생 있는 꼬맹이있는학부모면.. 방학중이라  아.닥하고 보러가야함 ... 성인기준이 아님니다 ...
kungyeah 13-07-15 18:48
   
cg가 디워때보다 나아진 것 같지가 않는데;;
mymiky 13-07-15 19:11
   
미스터고~애들 방학시즌때 입소문타면 성공할수 있겠다고 느낌이 오네요.
화이팅!
쿠쿠하세요 13-07-15 19:53
   
재밌을라나..
veto 13-07-15 19:56
   
원래 허영만 화백 원작에는 우리나라 서커스단 설정인데
우리나란 이제 서커스단도 하나 밖에 안 나왔고
어쨌든 저렇게 큰 영장류가 나오는 설정은 무리라는 판단 및
중국 투자 때문에 한중합작으로 가게 된 것입니다.

야구가 얼마나 중국에 먹힐진 모르겠는데
원작자 봐서라도 흥행에는 성공했으면 좋겠네요.
엽기호랭이 13-07-15 20:14
   
전 재밌게 봤네요. 3d가 좋았음. 스토리야 뭐...평론가들 사이에서도 평 안좋고 중국사람이나 한국사람이나 보는 눈은 다 똑같으니 뭐라해도 할 말 없지만...중국애들 많이 봐주면 좋겠네요. 중국이 가난하게 나와서 불편해하는 중국인도 있을 듯 싶긴 한데 뭐 이해해주길...서커스가 있는 곳이 연변이 배경인 듯 한데...이러면 연변사람들이 싫어하려나.

여하튼 3d효과 좋았음
끄으랏차 13-07-15 21:16
   
ㅋㅋ CG에 거의 문외한에 가까운 분들이 CG 논란을 하시는게 재밌네요.

아주 간단히 말해서요
CG기술력 차이는 미미합니다.

CG는 그냥 돈쥐랄 시간 쥐랄입니다.

기술은요 아예 구린 나라 아닌이상
대부분 일정 퀄리티 이상을 보여줄 수준이상의 기술은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지금 IT로 연결된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고 계십니다.
지금 헐리웃에서 CG작업하는 프로그램과 시스템을
지구 반대편에서도 돈만 있다면 이용할수 있는 시대를 살고 있다고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왜 돈쥐랄이고 시간쥐랄이냐면
CG는요 결국 노가다빨과 렌더링 빨이에요. 기술빨이 아니고요.
기술빨은 앞에서도 말했듯 이제 미미해졌고요.

더 자세하게 더 세세하게 구현할수록 더 자연스럽고 실사스러워 집니다.
이 과정이 노가다빨이고요.

1초를 묘사하기 위해 1초를 1/10로 쪼개 그림 10장 그리는거랑
1/60으로 쪼개 60장 그리는거랑 어느 쪽이 자연스럽겠습니까?

사람 얼굴을 작업하는데 머리카락 하나하나의 움직임까지 전부 표현한거랑
그런건 과감히 생략한 쪽이랑 어느 쪽이 더 자연스럽겠습니까?

이 차이입니다. 기술의 차이가 아녀요.

그런데 위에서 든 예처럼 여러가지 디테일을 살리면 자연스러워 지지만
그만큼 입력한 작업량이 많기때문에
컴퓨터에서 그걸 계산하고 처리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이게 렌더링입니다.
세세할수록 더 많은 렌더링이 필요한데
이 렌더링은 컴퓨터의 성능이 뛰어날수록 시간이 짧아집니다.
작업시간도 짧아질뿐더러
더 빨리 더 자주 작업상황과 실제 적용물을 확인할수 있기때문에
완성도도 높아집니다.
좋은 컴퓨터는 당연한 얘깁니다만 그만큼 비싸겠죠.

결국 돈문제입니다.
CG는 그냥 돈을 얼마나 처발랐느냐에 따라 갈리는겁니다.
그리고 시간을 얼마나 주느냐이고요.
가출한술래 13-07-15 21:46
   
잘 보고 갑니다
아기곰 13-07-15 22:21
   
왜 두산이야!!왜!!왜!!!!! 는 두산마스코트가 곰이기때문
뇌둥오리 13-07-15 22:25
   
위에서 누가 한국 영화 스토리 까던데 대체 어디가 허술한지좀
아기건달둘 13-07-16 00:41
   
야구 광팬이지만  저 영화는 안끌리네
자기자신 13-07-16 02:28
   
잘 보았어요
맥거리 13-07-16 08:49
   
돈과 시간 문제겠죠.  미국한테 잽이 안되는건......세상의 모든 자본과 인력이 다 미국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그리고 계속 선순환.......
푸른하늘3 13-07-16 15:10
   
미국과 비교하는건 초딩인증인가?  시장 규모부터  따라갈수 없으니  자본력에서도 비교가 안되고 당연히 기술력에서도 못미치는거지.  한국시장과 자본력 정도로  한국영화들  상당히 퀄리티 잘 뽑아내는거 모르나? ㅉㅉ  고릴라 저 CG도  들어간 돈에 비하면 상당히 잘 나온건데...  그저 까고보는  사대주의 초딩들 ㅉ  방학인데 가서 퍼시픽 림이나 보고 오세효~  아 돈아까워 ㅋㅋ
푸른하늘3 13-07-16 15:23
   
근데 웃긴게 짱개들이 한국영화 갖고 스토리 흐접하다고 까는거.  나 참.. 짱개영화가 스토리 더 흐접한거 많던데.. 중국이나 일본이나 영화는  한국 따라올라믄 아직 멀었지. .돈 많은 중국이  스케일 큰 영화들은  찍는 모양이다만  영화 자체는 별로 ㅋㅋ
IceMan 13-07-16 16:39
   
근데 쟤들이 야구를 안 봐서 ㅎ
우왕ㅋ굿ㅋ 13-07-17 15:22
   
잘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