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미스터리 게시판
 
작성일 : 14-08-17 15:14
[외계] 귀엽게 만든 행성크기 비교 영상~
 글쓴이 : 성운지암
조회 : 13,299  

즐감 하세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하늘바라기 14-08-17 17:40
   
워......태양이.... 굴러온........ 다........
chaos 14-08-17 21:04
   
그런데 아직 저 우주공간에 무엇이 더있는지 모른다는거.... 아니 우리가 본 우주가 전체의 몇%나 되는지 조차 모른다는거....
abcd2014 14-08-17 22:03
   
우주에서 지구 크기란 쿼크입자보다 더 작을텐데....거기에 서식하는 인간들이 있죠
하우디호 14-08-18 02:33
   
와우..장난없네
버킹검 14-08-18 13:36
   
중요한건 우주에서 생물이 살고 있는 별은 지구가 유일하다는 것...^^;;
     
하우디호 14-08-18 13:59
   
에이.. 그렇게 단정 지을 수는 없죠... 우주가 얼마나 넓은데....
     
LUCAS 14-08-18 17:26
   
정획히 말해야죠 지구및 지구 부속 천체인 달에서 생물이 살고있는 유일한 행성

당장 태양계만 놓고 봐도 단세포 생명체는 물론 다세포 고등 생명체가 없을거라 단정 못하는판입니다.(대표적으로 목성의 위성인 가니메테만 봐도 상당히 가능성이 높죠)

우주적 스케일을 지구차원으로 축소해보자면 우린 울릉도만한 섬에서 사는, 그 섬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원시부족정도의 존재아닐까요?
          
아동캐 14-08-18 20:52
   
에이~ 지구를 너무 과대평가 하시네요
이 지구가 우주라면 우리 사는 지구는 모래알은 커녕 먼지만도 못한 존재에요 단순 사이즈만 놓고보면 ㅎㅎ 울릉도라뇨 ㄷㄷ
     
chaos 14-08-19 00:51
   
인간의 지식이 얼마나 미천한가를 보여주는 아주 단적인 예가 생명체에 대한 이해죠.
섭씨 400도의 물속에서는 생명체는 못산다고 했지만 지구에서도 발견됐죠. 섭씨 400도가 넘은 바닷물 속에서 자유롭게 헤험치며살고 있는 심해 새우... -..-.
더 놀라운건 그 새우의 적응력인데, 400도에서 바로 10도 정도의 지역으로 바로 이동함. 그리고 다시 아무일 없다는듯 400도 지역으로 돌아옴... 발견된게 최근이라 아직 어떻게 400도가 넘는 고온에서 단백질이 익지않고 살아있는지 모름...
그런데 무슨 근거로 지구상에만 생물이 산다고 장담하시는지...
     
달패 14-08-19 09:42
   
ㅋ..그건 말이 안되죠. 현재 인간의 기술력으로는 같은 태양계 안에 있는 목성 위성의 개수조차 몇개인지도 모르는 수준입니다. 그 정도 탐색수준밖에 안되는데...태양계는 태양계가 속해있는 우리 은하로 보자면 거의 먼지 비슷한 수준이고..우리 은하만 하더라도 태양같은 별(태양계에서 별은 태양 하나뿐이죠...)들이 약 2000억~ 4000억 이상 추정되고 있고 우리은하보다 더 큰 은하들(예를 들면 잘 아는 안드로메다같은(태양같은 별 약 1조개)포함 은하의 숫자도 1000억개 이상 되리라 추측되고 있습니다.  솔직히 측정을 못하니깐 더 많다면 많지 적지 않습니다. ..
태양계에서 start(스스로 빛을 내는)는 태양 하나뿐이죠. 태양하고 가장 가까운 별까지 우주선 하나 보내는데 현재 인간의 기술력으로는 8만년 가까이 걸립니다(가다가 몇 백년도 안되서 삭아 없어지겠군요...)그런데 그 별까지의 거리는 고작(?) 4광년이랍니다.. 우리은하의 크기는 십만 광년이구요...
그런데 우주에서 생물이 살고 있는 별이 지구가 유일하다구요????????
     
엔터샌드맨 14-08-21 13:32
   
현재 과학기술로는 태양계 내에 생명체 여부도 확실히 단정짓지 못하고 있는데 무슨 우주전체를 따지시는지?

그런걸 보통 오바한다고 합니다. 너무 나가지 마세요
     
애이불비 14-08-23 23:09
   
우리은하에 별이 1000억개가 있구요
별 주변을 공전하는 행성들 중 별과 너무 떨어져있거나 너무 가까이 있는 행성들을 제외하고
지구처럼 별과 적당한 거리에 있는 행성들.. 즉 지구 기준으로 생각해서 생물이 살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보는 행성이 약 500억개로 추측한다고 하네요
여기까지가 우리은하 얘기구요
이런 은하가 우주에 1000억개가 있다고 하네요...;;
     
StarName 14-08-29 00:52
   
마이크로급 기생충이
'이 세상에 생물이라곤 우리밖에 없을거야' 라고 생각하는꼴
도리키 14-08-18 20:28
   
1977년에 발사한 보이저 호가 지금도 고작(?) 2광년 남짓의 거리를 지나가고 있다고하니 뭐..ㅠ
     
가마구 14-08-19 05:38
   
무슨 그런 허황된 정보를...

2013년 기준으로 보이저 1호는 태양계를 고작 벗아나 성간에 진입했고, 거리는 빛의 속도로 17시간 25분 정도 거리밖에 못갔습니다. 광년은 빛의 속도로 1년간 가는 거리입니다.

광년은 커녕 광월, 광일에도 한참 미치지 못합니다. 그 후로도 1년 정도 지났으니, 많이 양보해서 빛의 속도로 20시간 떨어진 곳이라해도 약 0.0023 광년 거리밖에 못갔습니다. ㄷㄷㄷ

참고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은 센타우르스자리에 있는 프록시마라는 별인데, 백색외성이고, 4.22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보이저1호의 속도를 대충 따져보면 0.0023광년 가는데 37년 걸렸으니까, 대충 따져봐도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까지 가는데, 보이저 1호의 속도로는 약 6만8천4백년 정도 쯤 거리는군요.
          
아동캐 14-08-21 20:46
   
성간도 못갔습니다.
정확하게는 명왕성 궤도 바깥으로 나간 인류 최초의 발명품이죠. 명왕성 궤도 즈음부터 해서 오르트 구름지역이 펼쳐지는데 오르트 구름의 두께는 너무나 두꺼워서 학자들도 대략적인 예측만 할 뿐 아무도 그 정확한 두께를 모름. 얇게 보는 학자는 대략 1광년, 두껍게 보는 학자는 2광년 이상으로 짐작하고 있죠.
한마디로 보이저호가 태양의 중력권을 벗어나 성간으로 가는데만 수만년 걸림...(태양이랑 가장 가까운 별은 프록시마 켄타우리인데 대략 4.1~4.3광년정도 거리)

근데 우리은하 지름이 10만 광년정도 되고.. 우리은하정도의 크기는 쌈싸먹을 정도의 초거대 은하도 무한이 많은데, 그런 은하가 우주에 천억개가 넘고..
그 천억개도 '관측가능한 우주'라는 전제 하에서의 대략적인 우주 사이즈이고 은하 개수일 뿐..

이런 우주에서 지구가 유일한 생명체라느니 하는 소리를 들으면 참... 뭐라 할 말이 ㅋㅋ
     
릭스다 14-08-21 08:36
   
인류 역사상 최대의 발명품이 보이저호군요.
2광년을 갔다니...
아인슈타인이 저승에서 살아오겠습니다.
얄롱 14-08-19 00:20
   
현재 육안으로 보이는 북극성이 신라 시대의 북극성이라는 얘기 듣고 나서는 볼때마다 참 신기하더군요
가비야운 14-08-19 10:32
   
잘 보았습니다.
해트트릭 14-08-22 15:47
   
혜성, 위성, 행성, 항성..

이정도는 구분할 줄 알아야..
겨우살이 14-08-22 15:53
   
지구 생명체도 다 발견이 안되서 매년 새로 발견하는종이 있는 마당에..
지구밖 생명체를 논할때 장담하는건 말도 안되는 논리임..
확률이라는것도 어느정도 설정이 가능해야 논해지는거지..
우리가 우주에 아는건 먼지 한톨도 안되는데.. 그 먼지에서 확률을 논하는것 자체가 모순으로 보이네요..
그렇지만 있을것 같다 없을것 같다.. 이런 의견은.. 언제나 환영.. 다만 장담은 금물...ㅎㅎ
성운지암 14-08-22 19:26
   
이런 귀여운 영상에 이상한 댓글들이 ...;;;
시간여행 14-08-23 16:53
   
45억년의 지구도 그 너머에 어디선가 누군가 보고있을지도 모르죠..
애니킹 14-09-29 17:39
   
바다물의6배 정도의물이 지구안에 있는건 아시죠? 거기에도 어떤생물이 있는지도 밝히지 못하고있는데 하물며 지구전체로 본다면(우주에 비해지구크기 비유한거) 먼지수준밖에 안되는 행성에서 사는 우리들이 우리밖에 살지않아 라고 단정지을수있을까요? 아마 산소가 필요치않은 생물도 있을거고...뭐 얘기하면 너무 길어질거같네요
리엠뽀대박 15-02-02 12:39
   
동영상 쩌네요 ㅋㅋ
 
 
Total 75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75 [외계] 지구를 없애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abcd2014 02-11 6238
374 [외계] 타이탄..지구와 비슷? (2) abcd2014 02-11 6088
373 [외계] UFO로 착시하는 시리우스 abcd2014 02-11 4985
372 [외계] 우주 미스터리 이야기 (11) 통통통 02-10 9588
371 [외계] UFO 공중폭발 영상 통통통 12-13 8343
370 [외계]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 UFO 핫스팟 (2) 통통통 12-12 6462
369 [외계] 우주 세계의 불가사의 UFO의 정체 (5) 통통통 12-11 8965
368 [외계] 시리아군 UFO 격추 영상? (11) 성운지암 12-06 10832
367 [외계] 지구와 천체의 충돌 모의실험 영상 (4) 하얀gd 11-28 8093
366 [외계] 혜성에서 '생명의 비밀' 찾아라 (1) 팜므파탈k 11-14 3544
365 [외계] 러시아 운석 UFO 격추 영상 (1) 팜므파탈k 10-16 4864
364 [외계] 예전에 꽤 이슈화 됐던 영상들(UFO 관련) (1) 성운지암 10-12 5526
363 [외계] 홍콩 시위 현장에 나타난 UFO (2) 성운지암 10-12 5305
362 [외계] 우주 탄생 이전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jpg (4) 팜므파탈k 10-12 8582
361 [외계] 우주문명레벨의 단계별 척도/bgm (5) 팜므파탈k 09-24 10026
360 [외계] 귀엽게 만든 행성크기 비교 영상~ (25) 성운지암 08-17 13300
359 [외계] 아폴로 20 - 그들이 본 것은? (21) 성운지암 08-11 18378
358 [외계] 페르세우스 유성우 (9) 성운지암 08-11 7659
357 [외계] 클로킹한 UFO 모선? (9) 성운지암 08-05 10335
356 [외계] 캐나다 몬트리올 폭풍구름 이긴 한데... (2) 성운지암 08-05 6258
355 [외계] 거대 클록킹 UFO 아니면 장난질? (1) 성운지암 08-05 5440
354 [외계] 우주 정거장에 접촉한 UFO (1) 성운지암 08-05 7552
353 [외계] 우주공간 비행하기 (19) abcd2014 07-27 13520
352 [외계] 큐리오시티에서 보낸 UFO 사진 (4) 성운지암 07-26 11392
351 [외계] 탈레반 기지 파괴하는 UFO 포착..정체는? (13) LikeThis 07-16 12798
350 [외계] 슈퍼문에 비친 UFO 그림자 (20) LikeThis 07-16 9982
349 [외계] 태양계에서 가장 위험한 장소들 (4) 팜므파탈k 07-06 11282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