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뉴스
HOME > 뉴스 게시판 > 국내뉴스
 
작성일 : 20-12-12 22:10
[세계] 집단면역 실패의 후유증..스웨덴 지친 의료진 줄사표로 위기
 글쓴이 : Wolverine
조회 : 1,777  

https://news.v.daum.net/v/20201212203337480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다잇글힘 20-12-12 22:32
   
스웨덴의 유럽국가중  인구 백만명당

발병자수 - 유럽내 20위 (스웨덴보다 위에있는 대표적인 국가 : 체코,벨기에,스위스,프랑스,스페인,네덜란드,포르투갈)
사망자수 - 유럽내 14위 (스웨덴보다 위에있는 대표적인 국가 : 이탈리아,영국,스페인,벨기에,프랑스)

언제까지 집단면역 컨텐츠로 이용해 쳐먹으려고 하는건지 모르겠음. 다른 유럽국가보다 조금 느슨한 수준에 불과한 나라였을뿐이고 특별히 더 안좋은 상황을 겪은 나라도 아닌데
     
너만바라바 20-12-12 23:07
   
https://coronaboard.kr/

인구 비율까지 볼수 있는 곳이 있는데요
          
다잇글힘 20-12-12 23:10
   
https://www.worldometers.info/coronavirus/

여기 유럽탭으로 확인해보시고...

그리고 이문제는 인구밀도가 중요한게 아니라 도시화율이 중요합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European_countries_by_percentage_of_urban_population

예를들어 그린란드 사람들이 그린란드 전체에 골고루 퍼져사는게 아니라 대부분 특정한 지역에 모여살기 때문입니다.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은 땅덩어리가 넓지만 문제는 그 땅덩어리에 골고루 퍼져사는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 몰려 삽니다.
               
너만바라바 20-12-12 23:46
   
스톡홀롬 인구 100만명도 안되네요
인구는 천만에 주변 노르웨이나 핀란드하고 비슷한 크기의 영토인데
수치는 서유럽 선진국가들하고 비슷하네요
                    
다잇글힘 20-12-12 23:51
   
중요도는 인구보다는 인구밀도, 인구밀도보다는 도시화율입니다.

단순히 인구밀도를 따지면 그린란드같은 사례의 오류가 생기기 때문에 그래서 도시화율이 중요하다고 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이 사람들이 도시에 몰려살기 때문에 아무리 인구가 적고 땅덩어리가 넓어도 실질적으로 단위시간당 한사람이 얼마나 많은 사람과 접촉하느냐는 인구와 인구밀도와 관계없이 동일할수가 있으니까요. 즉 도시화율은 한사람에 대한 단위시간당  접촉률과 직접적으로 연관됩니다.이건 인구와 인구밀도, 국토면적과는 독립적일수 있습니다.

그래서 섬국가나 도시국가들이 이 랭킹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월드오미터 통계를 보시면 확인할수 있을 것입니다.

도시화율이 스웨덴을 포함해서 유럽의 주요한 국가들이 엇비슷합니다. 따라서 스웨덴만의 독특한 인구학적 환경을 고려했을때 다른 나라보다 더 심하다고 말할수 없다는 것입니다.

보통 스웨덴의 심각도를 이야기를 할때 다른 스칸디나비아국가들과 비교하는데 그 나라들에 비해서는 심한건 맞고 인구가 100만명 이상되는 유럽전체 국가들과 비교해서 상위권은 맞습니다만 그렇다고 아주 유별날정도로 심한 상태를 겪고 있는 나라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집단면역 정책을 취했느냐 안했느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실제로 어떠한 조치들이 이루어졌냐가 중요하고 그리고 그 결과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때 얼마나 큰 차이를 만들었냐는건데 다른 """심각한""" 유럽국가에 비해선 선방한것은 맞습니다. 적어도 이 나라는 대규모 봉쇄조치까지는 하지 않았으니까요. 그렇다고 그 나라의 조치가 성공적이었느냐 그것도 아니라는 거죠.

따라서 스웨덴이라는 나라를 가지고 실패했다 성공했다 따지는거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것입니다. 실패했다라고 말하기엔 스웨덴보다 더한 나라도 많고 성공했다고 말하기엔 역시나 스웨덴보다 성공한 나라도 많기 때문입니다.

언론에서 집단면역 정책과 스웨덴을 연결해서 이야기하는건 외국이나 우리나 다 정치적인 목적이 있다고봐요. 서구권에서는 주로 마스크를 안쓰는 사람들이 스웨덴의 예를 들어서 반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고 우리의 경우는 우리의 방역모델의 우수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스웨덴을 끄집어 오는 것입니다. 봉쇄정책말고 다른 비교할만한 모델로 주목받은 것이 한국모델과 스웨덴모델이었으니가요.

 다른나라와 비교해서 특별히 성공한 모델도 특별히 실패한 모델도 아니에요. 단지 스웨덴 국민들 입장에선 실패한 모델인건 분명하고
                         
너만바라바 20-12-13 00:58
   
도시화율이 높을수록 인구밀도가 높지 않습니까?
스웨덴 그 큰 땅에 골고루 분포되어 살고 있는것도 아닐텐데요
거기다 스웨덴같은 나라들은 조건이 비슷한 주변나라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규모가 서유럽 선진국들하고 비슷하면 심각한거 맞는거 아닌가요?
                         
다잇글힘 20-12-13 01:04
   
쉽게 말해 어느 한나라 사람들이 전부 특정한 도시에 산다고 해보죠. 근데 그 나라가 알제리만합니다. 그리고 해당도시를 빼곤 전부 사막이라서 사람들이 거의 살지 않는다고 해보세요. 인구는 10만명밖에 안된다고 하고...  인구밀도는 낮아도 다른 나라의 왠만한 10만명 도시에 해당하는 곳과 실제 사람들의 접촉빈도는 같습니다.

도시화율이란 인구 대부분이 도시같은 규모에서 얼마나 많이 집중해서 살고 잇느냐를 뜻합니다. 따라서 이건 인구밀도와는 무관합니다. 아무리 땅덩어리가 넓고 인구가 적어도 도시화율이 높으면 결국은 전염환경에서 유사할 수밖에 없어요.
                         
너만바라바 20-12-13 01:10
   
당연히 그렇겠죠 캐나다가 땅이 크다고 그 땅에 전부 골고루 살겠습니까?
그건 전체적으로 작은 나라들이나 그런거고 땅이 커도 다 몰려살겠죠
그게 어느정도의 밀도로 몰려사느냐의 차이인거지
근데 스웨덴은 수도라 해봤자 끽해봐야 100만명도 안사네요
주변 핀란드도 스웨덴보다 전체인구는 절반정도가 작은데 헬싱키에는 65만명정도 사네요
그 옆나라 노르웨이는 수도에 70만명정도 살고요
그런데 그 중간에 껴있는 비슷한 규모의 스웨덴이 수천만명 규모의
선진국들하고 비슷하면 안되는거죠
도시화율이나 인구밀도나 뭘로 봐도 스웨덴이 한참 떨어지는데..
                         
다잇글힘 20-12-13 01:14
   
수천만명의 나라들과 왜 비슷하면 안되는거죠?
스웨덴의 인구도 적어도 1000만명은 되는데?
^^
                         
너만바라바 20-12-13 01:18
   
아이 왜 이러세요 진짜;; 스웨덴하고 도시화율이나 인구밀도를 이유로 비교를 할거면
6천만명, 7천만명 규모에 수도에만 수백만명 몰려사는
영프독이스페인하고 비교하는게 맞습니까?
아니면 핀란드 노르웨이하고 비교하는게 맞습니까?;;
                         
다잇글힘 20-12-13 01:23
   
그래서 이야기하지 않았습니까 그린란드 사례를...

인구가 아무리 적어도 특정한 지역에서 몰려살면 인구 1000만명이나 10만명인 나라나 도시화율은 별 차이가 없을수 있다고 ^^

도시화율이 중요한건 적어도 도시권에서 몰려서 생활하는 경우는 평상시 그 사람이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사람은 숫자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너만바라바 20-12-13 01:30
   
억지 좀 그만 쓰세요;; 어떻게 차이가 없을수가 있습니까?
당장 국내만 봐도 대도시하고 소도시들에서 걸리는 비율부터가 차이 나는데..

당장 지하철 노선도만 봐도 런던 파리하고 스톡홀롬은 갭차이가 현격하게 나는데요
아까는 인구밀도보다 도시화율을 봐야 된다면서 당연한 소리를 하지 않나
                         
다잇글힘 20-12-13 01:36
   
제가 그래서 이야기하지 않았습니까 위에서?

스웨덴의 인구가 얼마나 되느냐고?

댁이 그 얘기를 할까봐 천만명이라고 이야기까지 했어요. 결코 작은 인구가 아니라고

^^
                         
너만바라바 20-12-13 01:42
   
아까는 인구 밀도보다 도시화율이라면서요?
솔직히 인구밀도던 도시화율이던 천만명하고 오백만명을 비교하는게 맞습니까?
6천만명 이상하고 비교하는게 맞습니까?
도시화율로 봐도 런던파리베를린하고 비교하는게 맞나요? 아니면 헬싱키 오슬로랑 비교하는게 맞나요?
                         
다잇글힘 20-12-13 01:45
   
중요도

인구<인구밀도<도시화율

오케이?

6천만명 이상하고 5천만명 이상하고 4천만명 이상하고 1천만명 이상하고 어떻게 각각 차이가 나죠? 

런던은 좀 인구가 많은건 사실입니다. 문제는 나머지는 많아봤자 3-4백만명이에요

또한 인구가 많다고 도시안의 인구밀도는 또 별개의 문제구요 ^^

아래는 유럽의 몇몇 도시들의 인구밀도를 나타낸 표입니다. 유럽의 전도시를 다 보여준건 아니기 때문에 실제 랭킹은 아닙니다. 참고적으로 이해하세요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European_Union_cities_proper_by_population_density
                         
너만바라바 20-12-13 02:58
   
하여튼 우기는덴 선수여...
나는 세상 인구밀도나 도시화율이나 영토고 나발이고 스웨덴, 핀란드, 노르웨이가 아니라
스웨덴 영프독하고 묶으면서 정신승리하는 사람은 또 첨봤네
장난하는것도 아니고 뭐하자는건지
당연히 인구 많은거하고 도시안의 인구밀도는 별개지 이양반아..
말귀를 못알아들으니까 계속 헛말만 하는거 아냐?
도시만으로만 비교를 해도 마찬가지라고 이양반아

상식적으로 스톡홀롬하고 어디를 비교해야 맞겠냐?
런던 파리야? 아님 오슬로 헬싱키야?
정신승리 오지게 하네
누구를 가르치기 전에 말귀나 좀 알아들으세요
계속 인구밀도하고 도시안의 인구밀도는 다르다느니 같은 당연하면서
쓸데없는 소리 좀 하지 마시고ㅋㅋ

저기요 특히 도시 중심부의 유동인구가 수백만명의 도시하고 스톡홀롬하고 비교가 됩니까?
까놓고 수치로만 봐도 대도시하고 소도시는 확연하게 차이가 납니다
도시인구밀도 드립 그만 치시고요 도시 밀도야 면적 인구 다 따져봐야 되는거
뭘 정신승리하려고 그렇게 봅니까?
                         
다잇글힘 20-12-13 03:08
   
위에 링크를 보여주었는데 아직도 이해를 못하셨나?

그럼 이걸 보여드릴까요?

왜 이리 억지를 부리는지 모르겠네? 이걸 이해를 못하겠어?

엉?



                         
너만바라바 20-12-13 03:09
   
그게 어쨌다고 그러니까?ㅋㅋㅋㅋㅋㅋㅋㅋ
                         
다잇글힘 20-12-13 03:12
   
인구<인구밀도<도시화율이라고

스웨덴의 인구가 골고루 퍼져 사는게 아니라 몰려산다고

오케이?

이게 어쨌냐니?

참나 ㅋㅋㅋㅋㅋㅋ

위에 표도 보여주고 그래프도 보여주고 도대체 뭘 보여주어야 하는데?
                         
너만바라바 20-12-13 03:16
   
도시 규모나 인프라들 자체가 영프독하고 스웨덴하고 차원이 다른데 뭘 자꾸 같은선에서 비교를 하면서 정신승리를 하려고 하는건지

그렇다고 오스트리아나 스위스처럼 대국들 사이에 껴서 유동인구라도 많으면 말을 안해요
고작 노르웨이 핀란드 사이에 껴서 유동인구도 작은 나라가 세상
영프독만큼 걸렸다고 자랑하고 앉았어요?

노르웨이 핀란드 확진자 4만명 나올때
스웨덴 확진자 32만명 나온게 상식적인겁니까?
독일하고 붙어있는 덴마크도 10만명 나왔습니다
말같은 소리를 해야 들어주지
                         
다잇글힘 20-12-13 03:18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European_Union_cities_proper_by_population_density

이거나 쳐보고 이야기를 하라니까

니가 도시인프라니 대도시니 뻘소리를 하길래 위에 보여주었건만.. 눈깔이 삔것도 아니고

어차피 대도시래봤자 사람들이 붐비는 곳은 도심지역이야 나머지 외곽지역으로 가면 어차피 왠만한 중소도시랑 똑같애...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간단한것을

응?
                         
너만바라바 20-12-13 03:19
   
정신승리 고만해라잉?ㅋㅋㅋ
                         
다잇글힘 20-12-13 03:20
   
근거자료를 가지고 정신승리를 주장하는 사람을 본적이 있니?

아님

근거자료 없이 정신승리를 주장하는 사람을 본적이 있니?

원래 정신승리는 정신승리 하고픈 사람이 먼저 이야기를 꺼내는거야

^^
                         
너만바라바 20-12-13 03:20
   
대도시래봤자 외곽나가면 다 똑같단다 ㅋㅋㅋ
런던하고 스톡홀롬도 외곽 나가면 다 똑같겠지.. 암...
그럼 중심부도 똑같냐? 유동인구가 같아?ㅋㅋㅋ
                         
너만바라바 20-12-13 03:21
   
잡게에서도 말도 안되는 논리로 처 우길때부터 알아봤다
방사능 얘기로 또 유명하더만ㅋㅋㅋ
                         
다잇글힘 20-12-13 03:21
   
유동인구가 그래 도심이 많을가 아님 외곽이 많을까?

더군다나 요즘 코로나 시국에 잘도 유동인구가 많겠네

안그래?

당연하지 내가 하는 얘기는 다 전문적인 자료를 근거로 하는거라서

너는 방역관련해서 의사협회 이야기를 믿을래 아니면 질병관리청 말을 믿을래

그거랑 똑같아 그린피스 말을 믿을래 아니면 방사선학 전문가 말을 믿을래?

태극기할배 사이에 니들이 가면 너도 유명해질수 있어 무개념으로

니가 우익나치신봉집단에 가면 역시나 유명해질수도 있고 무개념으로

^^
                         
너만바라바 20-12-13 03:23
   
아 그럼 중심부보다 외곽이 더 많냐? ㅋㅋ 에라이 ㅋㅋㅋㅋㅋ
코로나 시국이라 유동인구가 없어서 런던하고 스톡홀롬하고 같은 유동인구일거다? 이말???ㅋㅋㅋ
논리 지리시고요
                         
너만바라바 20-12-13 03:24
   
길가다 아무나 붙잡고 물어봐라
런던이 퍼지기 쉽나 스톡홀롬이 퍼지기 쉽나
급 차이가 나도 너무 나잖아?
                         
다잇글힘 20-12-13 03:25
   
1.어차피 유동인구가 많은곳은 도심이라고 오케이?

2. 요즘같은 봉쇄시국에서 유동인구가 많으면 얼마나 많을까?

3. 런던이 유동인구가 더 많았을까? 아니면 스웨덴이 더 유동인구가 많았을까?

4. 스웨덴이 집단방역으로 망했다매?

ㅋㅋ

도시화율이라는 나라 전체를 따지는거지 런던파리, 스톡홀름,헬싱키 비교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냐고 그리고...

도시화 비율이 스웨덴이 85퍼센트야.. 85퍼센트가 도시에 산다고?

영국이나 다른 유럽국가들도 전체적으로 비슷하고 특히 서유럽국가들하고 비교를 해서도

오케이?
                         
너만바라바 20-12-13 03:26
   
네 담 정신승리자
                         
너만바라바 20-12-13 03:26
   
ㅋㅋㅋ ㅂㅂ 담에 보자잉?
정신승리 오지게 하네
                    
다잇글힘 20-12-13 03:28
   
정신승리자의 특징

1. 정신승리라는 말을 먼저 꺼내기 시작한다
2. 근거자료를 제시 못한다
3. 뇌피셜로 일관한다

^^

다시한번 위에 링크와 표를 보셔... 런던 파리만 보지 마시공..

도시화율은 나라전체를 말하는건데 뭔 뜬금없이 런던파리만 이야기를 하는지

코로나가 그 나라의 대도시에서만 걸리나 보지. 다른 도시는 안걸리고

ㅋㅋ

할말이 없으니 별 그지같은 같은 소리나 하고 앉아있고
리토토 20-12-13 00:46
   
토왜언론들이 집단면역 했어야 했다고 떠들지 않았었나요? 징글징글 토왜 기더기들...
     
다잇글힘 20-12-13 00:51
   
이건 토왜언론들이나 그밖에 언론이나 비슷비슷합니다.

보수언론은 당연히 깔 명분을 찾으려 한거고 정부우호적인 언론은 반대로 정부를 칭찬할 명분을 찾으려 한거고

애궂은 스웨덴만 이용당하는 꼴이었음. 이건 양쪽 모두를 비판할 수밖에 없습니다.
 
 
Total 58,34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뉴스 URL등록시 네이버나 다음등 포탈 주소 등록 가생이 05-01 169492
공지 [공지] 뉴스게시판 운영원칙(Ver. 2014.05.29) (27) 흰날 03-15 430185
34768 [세계] "왜 나라가 나서? 유승준의 분노, 논란의 판 키웠다. (2) 스쿨즈건0 12-21 1673
34767 [정치] 나경원 "헌정질서 지키다 탄압 재판…오늘 아들 훈련소 배웅… (9) 스쿨즈건0 12-21 1225
34766 [사회] 영국 코로나19 변이, 국내서 발견 안 돼..입국자 검역 강화 논… Wolverine 12-21 561
34765 [사회] 서해 보트 밀입국 중국인들 줄줄이 징역형 집행유예 (2) Wolverine 12-21 887
34764 [정치] 검찰, 나경원 아들 ‘연구발표문 제1저자 의혹’ 무혐의 처분 (8) 안선개양 12-21 1053
34763 [사회] 코로나 병상 부족에 손든 서울시..5인 모임 금지 강수 Wolverine 12-21 711
34762 [세계] 호주석탄 금지한 中, 광둥성 일대 대정전 (4) Wolverine 12-21 1415
34761 [세계] 中매체 "중국 억압하려는 미국의 어떤 시도도 환상에 불과" (4) 스쿨즈건0 12-21 1264
34760 [사회] “가슴 더듬고, 화내고…너무 힘들다” 간호사의 절규. (1) 스쿨즈건0 12-21 2042
34759 [세계] 마윈 공산당에 무릎꿇었다..앤트그룹 일부 국유화 제안 (1) Wolverine 12-21 965
34758 [IT/과학] 체르노빌서 50km..제한구역 밖 농작물도 방사성 물질 범벅 Wolverine 12-21 653
34757 [세계] 영국 변종 코로나, 유럽은 물론 호주까지 퍼졌다 Wolverine 12-21 459
34756 [세계] 변종 코로나19 확산 英 탈출 위해 런던 기차역에 몰린 인파 Wolverine 12-21 695
34755 [세계] IS가 좋아 조국 등졌던 여성과 아이들, 독일과 핀란드 받아… (1) 스쿨즈건0 12-21 1261
34754 [세계] "50만년 전 인류, 겨울 지새우기 위해 곰처럼 동면했다" (1) 감을치 12-21 1242
34753 [문화] 진통제로 쓰는 '조개 속 독소' 대량 배양 기술 국산화 … 감을치 12-21 819
34752 [세계] 일본 아오모리현 앞바다 규모 6.5 지진..쓰나미는 없어 (종합) 감을치 12-21 489
34751 [세계] 한국 도둑에 ‘고려불상’ 도난당한 일본 절 “재판서 소유… (3) 스쿨즈건0 12-21 1994
34750 [세계] 美, 中초강력 제재…삼성, '2030 시스템반도체 1위' 청신… (2) 스쿨즈건0 12-21 1555
34749 [정치] 안철수 "결자해지 각오로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결심" (7) 스쿨즈건0 12-21 820
34748 [사회] 도망쳐 택시 잡아탄 '환자'…지구대로 차 돌린 '기… 스쿨즈건0 12-21 815
34747 [세계] [여기는 베이징] 유럽과 밀착하는 중국..걸림돌은 '인권 감을치 12-20 733
34746 [세계] 폼페이오 "러시아가 해킹" vs 트럼프 "뭐든지 러시아" 감을치 12-20 478
34745 [세계] 미 우주군 '가디언즈'로 명명.."영화 '가오갤' … 감을치 12-20 458
34744 [세계] 네덜란드·벨기에·독일..영국에 속속 빗장 국경 봉쇄 Wolverine 12-20 403
 <  941  942  943  944  945  946  947  948  949  9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