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특정 회원에 대한 반말,욕설 글(운영원칙 2,3항) 3회 위반시 접근 차단 조치 됩니다.(원인제공과 관계없이 조치)
하오니, 절대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거법 위반 및 정치관계법 위반행위 신고는 아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http://www.nec.go.kr
HOME > 커뮤니티 > 정치 게시판
 
작성일 : 19-08-26 00:57
입학전형에 대한 교육부기사
 글쓴이 : 행운7
조회 : 543  

하얀영상2시간전


https://if-blog.tistory.com/m/897


그당시 입학전형에 대한 교육부기사입니다

성적불합격 학생을 면접을 통해 만장일치로 합격시킨 서울대!!

이명박정권때 지들 귀족 자제들 대학보내기위해 도입한 입시전형!


먼저 그들 포함 모조리 전수조사해야합니다!!!

국민들은 알권리가 있습니다!!





---------------------------------


이제 대입은 성적순이 아닌 '입학사정관제'다.





다운로드.jpg




10월 24일 서울 성북구 성신여대에서 2011학년도 입학사정관제 면접이 실시되고 있다. 성신여대는 언론사와 시민단체 간부 5명을 외부 입학사정관으로 위촉하여 입학사정관제의 균형성과 공정성, 투명성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 송원영 기자, 세계일보


11월18일. 무슨 날일까?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전국의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들과 일반인들이 자기 목숨보다 소중히 여기는 이날. 바로 ‘대학수학능력시험’ 날이다.

‘4당5락’, 4시간 자면 합격, 5시간 자면 떨어진다는 말. 피터지게 공부해서 좋은 점수를 받아야 명문 대학에 갈 수 있다는 얘기다. 2005년 대학에 입학한 백지애(25·한국외대)씨는 “좋은 대학에 갈 수 있는 방법은 내신, 수능점수 관리를 잘 하는 것”이였다며 “성적이 대학진학의 절대기준”이였다고 말했다.

2010년 현재, 좋은 점수 없이 원하는 대학에 갈 방법은 없을까. 좋은 점수 없이 자기가 하고 싶은 공부를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교육과학기술부는 수능점수 없이 대학에 갈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 바로 ‘입학사정관제’ 라는 제도다.



   입학사정관제란?
 

점수중심의 줄 세우기식 입학 제도를 탈피하자는 취지로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는 올해로 도입 3년째를 맞았다. 입학사정관제는 성적 위주의 획일적 선발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의 잠재력, 대학의 설립이념 및 모집단위 특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특징이다. 각 대학들은 ‘입학사정관’이라는 전문가를 두어 학교생활기록부, 수능 성적, 각종 서류 등 다양한 전형요소를 해석하여 학생들을 선발하게 하고 있다.
 
 
10월 14일 서울 노원구 중계동 노원구민회관에서 열린 한 사설학원의 입시설명회에 초등학교 학부모들이 대거 몰려 강연을 듣고 있다. / 정하종기자, 문화일보
 

   ‘걸음마 단계’에서 나오는 문제점들
 

제도 초기, 입학사정관제 도입에 대해 여론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정권이 바뀔 마다 교육정책은 극과 극을 오갔고, 이 와중에 수험생과 학부모의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입학사정관제 같은 입시제도는 한국에서 성공할 수 없다”라는 말이 주류를 이뤘다. ‘입학사정관’ 에 대한 불신도 많았다.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는 입학사정관이 과연 공정한 심사를 할 수 있겠냐는 것이다. 

또한, 입학사정관제 전형이라고 해서 성적과 전혀 무관한 것도 아니라는 주장이다. 대다수 대학들은 전형 1단계에서 학생부 성적으로 몇 배수를 선발한 후 2차 면접으로 최종 선발을 결정한다. 잠재력과 소질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과연 가능할까.
 


   이주호 교과부 장관의 약속과 성공사례... ‘가능성’ 보인다.
 

전문가들은 “입학사정관제가 틀을 갖추기까지는 5~10년, 정착하기까지는 40~50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60년 동안 계속된 고질적인 입시문제가 아직 팽배하고, 2010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으로 선정된 대학들도 건국대, 서울대, 숙명여대, 한국외대 등 29곳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지난 9월26일 KBS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한 교육과학기술부 이주호 장관은 “지금은 입학사정관제의 양적 팽창보다는 질적 내실화를 기해야 하기 때문에 지원 대학을 현재 60개에서 내년도에 더 늘리지 않을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이 장관은 "60개 대학을 유지하면서 부작용이 나타난다든가 기존 취지에 역행해 특목고 학생만 뽑는 대학이 있다든가 하면 과감하게 퇴출시키는 식으로 입학사정관제를 안착 시키겠다"고 강조했다.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 엄격한 규제와 더불어 입학사정관제의 덕을 본 학생들의 합격 수기도 속속 올라오고 있다.

건국대 인문학부에 합격한 박모(19)양은 학생부 성적이 다소 부족했지만, 역사학이라는 한 우물을 판결과 잠재력을 중시하는 입학사정관들의 눈에 들었다. 박양의 꿈은 '조선왕실문화사를 전공하는 규장각 연구원'. 고교 3학년 때 경기도 광주의 조선 실학자 안정복 유적지를 답사해 논문을 내고, 시청에 건의해 유적지에 안내판을 설치하게 하는 등 발로 뛰는 향토사학자나 다름없었다.

서울대의 경우 수능이나 학생부 성적만으로 판단했을 때 떨어질 학생을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통해 합격시키기도 했다. 경남 K여고 의 모 학생은 수능 및 학생부 성적 기준으로 지원자 24명 중 12등 이었다. 최대 8명을 선발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점수’ 기준으로는 불합격 처리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면접을 통해 학업 능력과 잠재력을 높게 평가받은 이 학생은 만장일치로 합격 판정을 맞았다.
  
8월 13일 서울대 사범대학 교육연수원 3층에서 열린 모의면접에서 면접관들이 한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을 던지고 있다. 면접관들은 서울대 교육연수원에서 진행하는 입학사정관 양성과정 수업을 듣고 있는 현역 고등학교 교사들이다. / 이미지 기자, 동아일보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입학사정관제지만 마냥 나쁘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다. 제도 취지에 맞는 성과가 나오고 있고 교과부에서도 인적, 물적 지원을 아끼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60년간의 줄 세우기 교육 패러다임을 바꾸려고 하는 시도가 단 3년간의 결과물로 ‘평가 절하’ 당하는 것은 왠지 공정하지 못해 보인다.

교육은 ‘백년대계’ 라고 했다. 숫자놀음으로 순서를 정하는 풍토를 ‘입학사정관제’가 얼마나 바꿀 수 있을지 관심 가지고 지켜봐야 될 일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호연 19-08-26 01:18
   
좋은 자료네요.

이명박 정부가 조국 딸에게 특혜를 주려고 이 제도를 만들기라도 했다는 건지 원..

있는 제도, 권장하는 제도로 대학 갔는데 뭘 더 어쩌라는 걸까요..?
     
제냐돔 19-08-26 01:34
   
이젠 그것도 안먹히게 생기니 도덕성에 문제가 있다고 생ㅈㄹ중이죠.
 
 
Total 218,6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3) 가생이 08-20 259630
공지 정게 운영원칙 Ver.2018.03.27 (1) 객님 12-03 835957
94077 서민 증세에 대한 적절한 시각. (2) 개개미 01-22 542
94076 실컷 빨아주세요 민주시민 02-10 542
94075 진보 교육감들의 무능함의 진수 ㅋㅋㅋㅋㅋㅋ (1) 디디에 03-27 542
94074 비타500에 비타500이 있진 않았겠지? (4) 인간성황 04-15 542
94073 반기문 이름 나왔다는 것에 명확해진다 (10) 불무리전사 04-18 542
94072 한반도 주변정세 급변하는 이때…한국만 정상외교‘실… (6) CHANGE 04-29 542
94071 급이 다른 클라스 (3) 민주시민 04-29 542
94070 2012년 박근혜 불법 대선 캠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4) 서울맨 05-15 542
94069 권력을 한쪽에서만 독점했다고 보십니까? (7) 브로미어 05-17 542
94068 옷닭어를 배워 봅시다. (3) 옷닭서방 06-07 542
94067 여성대통령과 대통령이 여성이다의 차이는 뭔가 ? (4) 동천신사 06-08 542
94066 야당에게 들이대는 잣대 (6) 민주시민 06-16 542
94065 생떼 부리는 분을 위해서 귀찮지만. (6) 칼리 06-24 542
94064 국정원 해킹 프로그램 구입. (6) 돌맹이 07-19 542
94063 사과냐 아니냐는 사실 중요하지 않습니다 (7) 호연 08-26 542
94062 소프트웨어 산업을 말살시키더니 국원이 해킹프로그램… (1) 뽕가네 10-06 542
94061 이런 닉네임 제재해야 하는거 아닙니까? (10) 경영O근혜 09-23 542
94060 답도 안나오는 현정부와 개누리당. (2) 나이thㅡ 10-25 542
94059 [LA TIMES] 한국을 쪼개는 국정교과서 문제 (3) 무장전선 10-25 542
94058 아래 글 보니 어떤이가... (23) 위대한영혼 11-06 542
94057 진실의 고통님 보세요. (27) 위대한영혼 11-11 542
94056 대통령님 그때 어디에 있었나요.? 질문은 사생활 침해고 (4) 열무 11-25 542
94055 이윤석의 정치적 발언이 맘에 안들어 디스한다...... (12) 위대한영혼 12-15 542
94054 선한 사람에게 도덕성이란.. (9) 웨이크 12-22 542
94053 베충이의 하루. (6) 개개미 12-28 542
 <  4981  4982  4983  4984  4985  4986  4987  4988  4989  49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