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특정 회원에 대한 반말,욕설 글(운영원칙 2,3항) 3회 위반시 접근 차단 조치 됩니다.(원인제공과 관계없이 조치)
하오니, 절대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거법 위반 및 정치관계법 위반행위 신고는 아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http://www.nec.go.kr
HOME > 커뮤니티 > 정치 게시판
 
작성일 : 15-03-29 01:18
aiib 가입에 대한 장단점 명확히 아시는 분?
 글쓴이 : 마초맨
조회 : 4,344  

아무런 편견이 없는 상태로 장단점을 듣고


판단하고 싶어서요.


장점과 단점 정확히 추려내실 수 있는 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불꽃 15-03-29 07:23
   
ODA (오피셜. 디벨럽. 어시스턴트) 공적개발자금 기구인데요....
아시아에서는 ADB (아시아개발은행)이 주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DB는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는 금융기구로 미국. 일본의 입맞에 맞는 국가를
주로 지원해 왔습니다.
한국은 한해 ADB 지원물량의 2%정도 .. 그것도 시공실적은
유일하게 경남기업이 실적이 있을 겁니다.
그만큼 기존의 ADB에서는 한국의 참여가 매우 낮습니다.

중국 주도의 AIIB는 ADB와 유사한 기능의 기구인데요...
한국이 창립 지분국으로 참여를 하면 지원국 결정에 한국의 영향력이 커지게 됩니다.
ADB와 AIIB의 주요 기능은 아시아의 인프라개발 지원 입니다.

아시아의 인프라시장은 무한대에 가까울 정도로 시장이 넓습니다.
그만큼 인프라 개발이 낙후되어 있지요.
ADB는 이 지원에 인색해 왔고...
신규 AIIB가 출범한 만큼...
투자의 자금줄이 열렸습니다.

이에 한국이 아시아 인프라 개발에 참여할 확률이 넓어 진거죠...
획기적인 일이죠.,...

또한 북한의 인프라개발에도 자연스럽게 한국이 참여할수 있어서
장기적으로는 통일비용을 줄이는 결과를 가져 옵니다. (아직 북한관련은 미지수)

암튼... 한국에서는 득이 훨씬많습니다.


단점은...
미국과의 관계가 예전같지는 않을겁니다.

중국주도 이니... 중국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게되고
한국은 중국에의해 좀더 휘둘릴수도 있습니다.

중국의 지분이 30% 대이니... 자원의 30% 가량이
중국 인프라개발에 쓰여질 것입니다.

머 이런 단점이 있겠네요^^
     
불꽃 15-03-29 07:35
   
경제적으로는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이득 입니다.
중국에 개발하건 어디에 개발하건 일정한 확률로
한국이 참여. 시공. 수익을 올릴수 있으니까요.

정치적인 이해득실을 따지면요....

한국 . 미국관계
한국에게 섭섭한 말을 자주 날릴수 있습니다.
노골적으로 일본편을 들 것입니다.
무기판매에 제한을 줄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적으로 미국이 한국에게 줄것이 별로 없습니다.

한국.일본관계
한국이 일본에 아시아시장에 확실한 주도를 할수 있습니다.
일본은 AIIB의 불참으로 아시아에서는 왕따수준이 될수도 있습니다.
지금도 멀지만 한국.일본의 사이가 더 나빠집니다.
독도. 위안부 문제에 더욱 민감한 소리를 해 댑니다. (미국을 등에 업고요)

한국. 중국관계
중국은 이번일로 한국을 매우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경제적 인센티브를 좀더 줄 것입니다.
아시아에서 한국의 위상이 좀더 올라갈 것입니다.
북한에 관련된 중국측의 배려가 좀더 많아질 것입니다.
탈북자 관련해서 중국측 지원이 더 유리해 질 것입니다.

머...이런 4국간에 관계를 예상해 볼수 있겠네요^^
     
띠리리 15-03-29 11:40
   
ㅋㅋㅋㅋㅋ
지원국을 임의로 정한다니..

회원국 대상으로 지원을 하는거임.
쉽게말해 신협이 출자회원 모집할때 회원으로 가입하면 조건이 유리하고..
나중에 가입하면 추가 가입비가 필요한것과 마찬가지로..

아시아 인프라 시장이 무한대인데..
ADB가 인색하여 낙후되어 잇다니.. ㅋ
투자와 공적원조와 마구 섞어서 소설을 쓰고 있다는..

요즘 보면 북한인프라 블라블라 이야기가 나오는데..
북한이 AIIB에 가입할수 있을지가 의문임.
미국이 투명성 운운한 부분도 이에 부합하는건데..
짱개가 50%이상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면 북한참가가 싶겠지만..
그에 못미칠경우엔 북한에 투자가 녹녹한게 아님.

돈을 떼이거나 투자비 회수가 없는데 누가 투자함 ㅎㅎ
공적원조와 헷갈리는거지.
          
불꽃 15-03-29 12:18
   
좋은이야기를 해 줘도...
꼭 삐딱하게 해석하는...
여기 풍토는 여전하네요.


지원국을 임의로 정한다니.. <<<
언제 지원국을 임의로 정한다 했음???

ADB가 인색하여 낙후되어 잇다니.. ㅋ  <<
어찌 이런 해석이 나올수 있습니까..ㅋㅋ
ADB가 인색.. 그리고 기존에 아시아 인프라가 워낙 낙후...

여기서 제가 언급한 투자란 ---> 공적원조를 말하는 거임.

거 ...
당신이 설명할게 아니면..
걍 알아 들으셔...
말꼬리 잡지 말고요.
               
띠리리 15-03-29 12:31
   
자기가 써놓고 자기가 부정하네.

위에 본인이 언급한걸 그대로 인용한거임.

"아시아의 인프라시장은 무한대에 가까울 정도로 시장이 넓습니다.
그만큼 인프라 개발이 낙후되어 있지요.
ADB는 이 지원에 인색해 왔고...
신규 AIIB가 출범한 만큼...
투자의 자금줄이 열렸습니다. "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고 무조건 이익이 된다는 논리도 우숩거니와.
높은 투자 장벽이 해소된다고 반듯이 한국이 이익이 된다는 논리도 우수움.

잘 몰라서 그러는거지
ADB나 AIIB나 우리나라 지분은 비슷한 수준이 될거임.
따라서 투자국으로 추가적인 부분이 기대되는것이지..
무조건 한국이 유리하다고 할수없음.

이는 EDCF같은것과는 달리..
우리의 지분 자체가 의결권 행사의 중요한 핵심 지분이 될수 없기 때문임.

말꼬리를 잡고자 하는게 아니라..
엉터리라 이야기한거임. ㅎㅎ
                    
불꽃 15-03-29 12:36
   
"아시아의 인프라시장은 무한대에 가까울 정도로 시장이 넓습니다.
그만큼 인프라 개발이 낙후되어 있지요.
ADB는 이 지원에 인색해 왔고...

위 글이.. ADB가 지원이 인색해서.. 개발이 낙후되어... ;;;; 이리 보이심????

ADB나 AIIB나 우리나라 지분은 비슷한 수준? ㅋㅋㅋ 웃습니다.
무조건 한국이 유리하다고 할수없음 <<<
AIIB 안들어간거 보다는 훨씬 유리하죠?????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고 무조건 이익이 된다는 논리도 우숩거니와 <<<
확률적으로 한국에 기회가 올라가죠????

이사람은... 먼소리를 하고싶은건지...ㅋㅋ


EDCF 가 먼지나 아세요? ???? ㅎㅎ
                         
띠리리 15-03-29 12:37
   
자기회피 시작된거임?
정신승리 1단계인데 ㅎㅎ
               
띠리리 15-03-29 12:37
   
AIIB의 수권자본금이..
500억달러이고 우리지분이 5%정도로 대략 25억 수준이라고 해도..
이것의 이익보단..
EDCF의 자본금을 늘리는게 훨씬 이익인거임.
이는 100%우리 자본만으로 구성되어 100%우리기업이 진출하기 때문임.
일본놈이나 떼놈이나 우리몫을 획기적으로 늘려줄리가 없을뿐더러..
일본과 미국에 웬수진일 있음?
과거 미넬바 사태때도 그러하듯..
헤지펀드엔 색깔이 없는건데..
이상한 정신세계의 인간들이 노란머리니 검은머리니 타령하는거임 ㅎㅎ
                    
불꽃 15-03-29 12:42
   
25억수준? ㅋㅋ 에라이...;;;;;

AIIB와 EDCF는 개념자체가 다른 거구만..ㅎㅎ
EDCF에 자본금??? ㅋㅋㅋ
                         
띠리리 15-03-29 12:56
   
약이 빠짝 올랐네.
밑천 드러날까바 키봇질은 못하고..
ㅎㅎ
     
처용 15-03-29 17:48
   
불꽃님 좋은글이네요.

아시아 개발은행을 통한 그동안의 한국실적이 얼마인가가 궁금했는데
생각보다 적어서 놀랍네요.

저는 아시아개발은행 지분이 6프로 대로 본거 같았는데 지원물량과 실적은 정말 보잘거 없네요.
종훈이당 15-03-29 12:40
   
제가 잘못이해를 했는지는 잘 모르지만.. 기사를 통해 제가 이해한 바를 적어보면

아시아태평양지역 어느나라가 인프라 구축, 건설 등을 위해 대출을 할려고 하면 국제은행 가야 하죠. 물론 특정국가에 빌릴수도 있는데 은행가는게 여러모로 편하고 영향력도 덜 받게 됩니다. 아시아 기준으로 보면 기존 IMF, ADB 가 있는데 미국중심 그리고 ADB는 일본과 미국이 실질 지배하는 은행입니다.  그래서  이런 은행을 실질 지배하는 나라가 영향력을 행사하고 해외투자를 하고 그리고 이익을 챙겨 왔습니다.

중국이 이런 은행에 지분투자를 통해 영향력을 가지려 했으나 일본과 미국이 사실상 거부를 했죠. 한국 또한 영향력이 없다고 보면 됩니다. 여기서 중국이 그냥 새로운 은행을 만들겠노라고 주장한것이 AIIB 입니다.

후진국 이나 기타 이슬람 지역국가들은 대환영을 했겠죠. 일단 대출받을 은행이 늘어난다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그리고 기존 미국과 혹은 일본과 그리 사이가 좋지 못한 나라들이거나 그들의 영향을 받고 싶지 않는 나라들 우리처럼 과거사 문제가 있는 나라들은 대환영 했을겁니다.

구조는 은행과 같습니다. 자본을 여러나라가 투자하고 투자금에 비례하는 발언권등이 주어지는데 후진국은 대출받아 대출금으로 공사를 수행한 기업에 지불하고 AIIB에 이자를 갚아나가는 겁니다. 대출심사시 발언권이 정해지니..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고 우리도 일정 영향력이 발생하게되었습니다.  물론 공사도 우리가 수주할 가능성이 많아 졌습니다.

따라서 장점으로 우리 정부는 투자금 이상의 영향력과 동시에 여러나라의 투자금으로 우리나라가 공사수주를 많이 하게 되면 금전적 이익도 많을 것으로 판단한것 같습니다. 돈과 권력을 가질기회가 되죠.
그리고 우리도 외환 위기 등 발생시 직접적이지는 못할지라도 또 다른 대출을 할 기회가 생긴 부과 효과도 누릴수 있습니다. 기존 IMF나 ADB는 결국 우리가 조금만 위기가 오더라도 미국과 일본에 조아려야 대출이 되는 구조였다면 이제는 달라졌습니다. 물론 중국 눈치를 봐야하지만 지분율과 영향력 있는 국가이기에 눈치의 강도가 달라집니다. 더욱이 AIIB내 한국의 역할이 굉장히 크므로 쉼게 대할수 없게 됩니다.

중국입장에서도 한국이 절실한 파티너 입니다. 일단 대부분 후진국이라 자본을 댈 경제대국이 참여해야 합니다. 일단 영국 프랑스 등의 국가들이 참여하여 자본구조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 될것으로 봅니다. 더욱이 해외 건설 인프라 구축을 해본 나라가 필요한데 한국은 동시에 인프라 구축의 경험이 많은 국가 입니다. 그러니 중국은 끊임 없이 회유를 해왔고 미국은 한국을 막아 왔습니다. 명색이 아시아 인프라 은행인데 유럽자본과 유럽이 인프라 구축을 한다면 혹은 중국혼자 해야 한다면 조직이 유지되거나 명분이 약해지는 한국이 양자를 다 메꾸어 줄 국가로 적임자였기에 명분이 완성됩니다. 물론 한국은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 하게 되었습니다.

자본적으로 서방유럽주요국가가 이미 참여를 했고 미국내에서도 참여 논란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은 ADB에 강력한 도전을 받아 고립되고 일본내 경제상황과 물려 상당한 고전을 할 확율이 많아졌습니다. 따라서 미국은 중국의 도전에 대해 일본은 아시아 주도권 상실 여부 때무에 두국가는 뭉치고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중국자본이 대거 투입된다는 것인데 우리가 계속 중국 지분을 낮출것과 우리 영향력을 높이는 조건으로 내세워 실질 타협을 봤다는 소문이 많습니다. 중국은 30% 넘기지 않는 방향으로 갈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으로서도 대출 받는 나라들은 인프라 구축을 위해 대출을 받는것이 원조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 단독 출자는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한국은 계속 망설여 오다 1등 동맹국 영국프랑스 등의 의 참여로 명분이 발생하였고 일본과의 관계로 첨예한 대립을 보임에 따라 이것도 명분으로 작용했습니다. 한국은 영향력을 가지고 싶었으나 미국의 만류가 강했는데 저런 이유들이 명분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이런한 미국의 만류는 중국과의 협상에서 큰힘을 한국에 주게됩니다.
     
종훈이당 15-03-29 12:44
   
자본금 규모가 말이 많은데 현 IMF4000억불이상이고 ADB가 2000억불, AIIB가 1000억불로 상대적 규모가 작지만 예상외 강국의 참여가 늘면서 조만간 ADB 규모로 확대 할것으로 예상합니다. 당연 중국지분을 낮추는게 관건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띠리리 15-03-29 12:46
   
우리나라 좌파들이 잘못된 커리큘럼을 살포한 결과물이지..
IMF는 미국주도가 아니라 유럽주도임.

그리고 이런 국제은행에서 무조건 자금을 지원받는게 아니라..
가입국으로 승인받은 국가를 대상으로 지원하는거임.
북한의 경우는 여러차례 가입을 요구했으나 미국등에 의해 거부된 것임.
당연히 지원이 안됨.

그리고 무조건 한국지분이 있으니 한국기업이 진출하는건 아니고..
상당한 노하우가 필요한 부분임..

북한수준은 아니더라도 공사대금같은걸 임의로 깍아달라는 놈들이 아직도 존재할정도로..
개도국의 정치 수준이 낙후되어 있어서..
국제은행은 이런 정치적 문제점을 차단하지만..
상당히 까다로운 입찰조건이 붙기 때문임..
쉽게말해.. 우리나라안에서도 조달청이 입찰할때 여러가지 조건을 붙이듯..

그리고 IMF내 중국의 지분률은 3위권임.
우린 16위권..
투자 이익에 따른 분배는 이뤄내고 있으나..
정치적 이해력이 필요한 의결권이 제한받고 있을뿐임..
즉, 중국은 경제적 문제로 접근하는게 아니라 정치적 문제로 접근하고 있는거임.
          
불꽃 15-03-29 12:56
   
가입국이 아니더라도 지원됨..ㅋㅋ
(이사회에서 결정하는 사항임)
북의 경우는 UN에의해 지원이 배제된 상태라 지원을 못받는거임.

당연히 까다로운 입찰조건이 붙음.

정치적문제로 접근한다 하더라도
한국에는 이득임.

그래 EDCF가 먼지는 찾아는 보셨수? ㅋㅋ
               
띠리리 15-03-29 13:00
   
이렇게 소설이 등장하는거라는거
생뚱맞게 UN타령
북한이 IMF에 가입이 안되는데..
UN이 뭔 거부를 하고 자빠졌음 ㅋㅋ
갈수록 밑천 드러나는거지.
내가 EDCF를 언급하니 깜놀해서 너님이야 열심히 검색질했겠지.
                    
불꽃 15-03-29 13:04
   
에라이 ...
난독에..
쓸데없이 끼어드는 오지랖에..
열폭에...

가지가지 하는구만..ㅋㅋ

EDCF 한번 찾아보고...
너님이 한 소리가 을매나 개소리인지 느껴보길 바람..깔깔~~~
                         
띠리리 15-03-29 13:06
   
ㅎㅎ
하고픈말있음 키봇질 하면됨.
까일까바 징징대지말고.
너님이 지금 열폭질하는거 안보임.
나혼자 열심히 설명하고.
너님은 소설쓰고 ㅋㅋ
                         
불꽃 15-03-29 13:08
   
찾아보고나서 덧글달던지 하삼.

얼굴이 화끈거릴건데...ㅎㅎㅎㅎ
               
띠리리 15-03-29 13:04
   
중국이 정치적 문제로 접근하는데..
너님이 짱개가 아닌이상..
한국에 이득인 이유가 뭔지?
나잘난 너님이 썰좀 ㅎㅎ
                    
불꽃 15-03-29 13:07
   
으이구 이 돌아이님아...

정치적 문제로 중국이 AIIB를 만들어도
거기에 출자금 없음?
개도국에 지원안함?
1000억불 규모의 시장이 열리는데
한국이 왜 기회가 없음?

이게 한국에 손해임????
뇌에는 두부가 찼음????

잘난 내님이 썰 풀었으니
못난 너님이 이해를 할 차례임..ㅋㅋ
                         
띠리리 15-03-29 13:08
   
뭐래니 ㅎㅎ
이건 경제적 이득의 문제고.
중국의 정치적 이득의 문제가 뭐냐니까
엉뚱한소릴 ㅋㅋ
                         
불꽃 15-03-29 13:09
   
뭐래니...
이 돌아이는..ㅋㅋ
                         
띠리리 15-03-29 13:09
   
너님이 위에 썰을 풀었듯이.
미국주도니 일본주도니..
이것보다 중국주도가 낫다라고 했는데..
지분률이 유사하고 한국업체가 다수 진출할수 있는 마당도 아닌데.
중국의 정치적 이득이 한국에게 유리하다는게 뭔 병맛 설정임? ㅎㅎ
                         
불꽃 15-03-29 13:11
   
야가..
헛걸보고있나...
난독임???ㅋㅋㅋㅋ

중국주도가 낫다라고 언제 그랬음?ㅋㅋ

분노에 헛글이 보이기 시작함? 낄낄~~~
                         
띠리리 15-03-29 13:13
   
강아진가..
ADB가 미국일본주도인데..
임의로 투자결정하니 뭐니..
아시아 시장 널렸고 AIIB가 엄청 유리하다고 거품쳐물곤..
이제와서 아니라고

이래서 검색질 지식의 한계가 나오는거라능..
뭔 든게 있어야 논리의 연속성을 띠는거지.
                         
불꽃 15-03-29 13:17
   
야는 약처먹고 덧글다나...

영향력이 커지고...
자금줄이 열리고...

이게...
낫고...유리하고로 보임???
쓰지도 않은 말이 막 보이기 시작하지?
약처물고 덧글달면 이렇단다....ㅋㅋ
                         
처용 15-03-29 18:05
   
분위기가 사나워 지네요..

불꽃님 댓글 보는 사람들은 대부분 님글에 공감하니 어그로글에
일일이 따질 필요가 없는 겁니다.

골만 아파올 뿐이지요.
그냥 관심 좀 주고 사실관계만 확인시켜 주면 되는 겁니다.

띠리리님도 말투부터 고치시고 시비조로 답변을 먼저 달았으면 이렇게
반응보자는 식으로 던지고 댓글 유도하면 안되겠죠? 적당히 하고
빠지세요 ~

댓글보니 님글은 오히려 타인이 보는데 도움이 안되네요
종훈이당 15-03-29 13:08
   
우리나라 좌파의 커리큘럼..?  지금 가입은 집권 여당이 결정했습니다.
 IMF에 지분율에 비례하는 영향력이 없어 중국이 저러는 겁니다.
유럽이 주도? 그런데 왜 유럽이 주도적으로 AIIB에 가입했는지 모르겠으나
현재 비아시아권 국가중 유럽 중심국인 영국, 프랑스, 심지어 유로 중심국 독일, 고소득국가 룩셈브르크, 스위스,  미국과 1등동맹 호주, 그외 오스트리아, 터키 이런 나라들이 왜 가입했을까요.. 유럽의 국제은행이 맘에 안드나 보죠?
     
띠리리 15-03-29 13:10
   
뭔 소릴 하는건지 ㅎㅎ
IMF가 미국주도라고 썰을푸니..
유럽주도라고 하는거지.
생뚱맞게 집권여당이 왜 나오는지 ㅎㅎ
          
처용 15-03-29 18:42
   
IMF 또한 부레튼 우즈 협정에 의해서 생긴건대 미국주도로 볼 수 있는것이 아닌가요?
결국 달러를 기축통화로 사용하여 전후 복구사업에 제 역할을 충분히 했고 그러한 목적으로 만든 것이 2차대전 후 생긴 IMF와 IBRB라고 하네요.

특별인출권의 지분만큼 투표할수 있는데 미국이 압도적인 일위네요.
 
님이 유럽주도라고 생각하는 이유 좀 알고 싶네요
유럽 지분을 다 합칠수 있어서? ㅎ
띠리리 15-03-29 13:16
   
너님말대로..
어떤형태건..
우리가 참여하여 그 지분만큼 영향력이 생기니 좋은것이다 라고 할수있지만.
이것이 너님이 말한 ADB따위보다 한국의 영향력이 클것이다 라는게 소설일뿐이고.
또한 ADB의 투자기준보다 AIIB의 투자기준이 낮아..
북한따위에 투자하는건 이익이 될수 없는거임.
따라서 경제분야로 보면 EDCF형태가 나은거고.
정치로 봐도 마찬가지임.
직접투자와 일본이나 미국대신 짱개거친 정치경제적 이익이 크다고 거품무는건.
아무런 근거가 없음.
너님혼자 쑈하는거지 ㅎㅎ
     
불꽃 15-03-29 13:22
   
야이 무식한 시키야...ㅎㅎㅎㅎ

ADB. AIIB 랑 EDCF랑은 다르다고 알켜줘도
아직 개소리 하고있네..

경제분야로 보면 EDCF가 나아????

그럼 너님은 국제 금융기구에 참여말고...
유상원조나 열라게 쳐하고 있으라고????

으이구 한심하다 이너마...ㅋㅋ
          
띠리리 15-03-29 13:24
   
더하기나 할줄 아니? ㅎㅎ
띠리리 15-03-29 13:23
   
진짜 찌질하게 떠드는데
쉽게 정리해줌 ㅎㅎ

aiib가입은.
경제적으로 유리.
정치적으로 불리.

따라서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에..
우리가 힘을 실었으니.
사드구매로 미국좀 달래라 이야기가 나오는거임.

기껏해야 25억 수준의 자본금 출연에 온갖 거품무는애들 보면 웃음만.
더 웃긴건..
일본 미국은 나쁘고
중국은 괜찮다라는 설정. ㅎㅎ

이따위게 뭔 지식인양 거품쳐무는것이 흥미로울뿐.
     
불꽃 15-03-29 13:26
   
기껏해야 25억? ㅋㅋㅋ 50억 이상이거덩?

일본.미국나쁘다 한적없고...
지원에 인색한건 맞단다.
중국은 괜찮다고 한게 아니라...
새로운 시장에 대한 기대감 이거덩?

그리고 국제금융기구와 (ADB. AIIB. WB 등)
EDCF같은 유상원조와는
개념부터가 다르단다 아가야...
          
띠리리 15-03-29 13:29
   
수권자본금이 500억 수준인데.
우리가 50억을 묻으면 지분률이 10%이상이 되어야하지.
그런데 5%이야기가 나오는거 자체가.

소위말해 액면가보다 비싸게 주식사는거야.
니가 멍청해서 이해를 못하는거지. ㅎㅎ

국제은행과 국제개발원조와는 성격이 다른거 누가 모르니
단지 정치적 경제적 이득에서 후자가 유리하다는거지.
너님한테 내가 뭘 기대하고 글쓰는줄 알았냐 ㅎㅎ
               
불꽃 15-03-29 13:32
   
아가야...
1차가 500억 이란다...ㅋㅋ
                    
띠리리 15-03-29 13:35
   
수권자본금 개념이 없네 불쌍하네.
그래도 꼬박꼬박 댓글질하는 저 용감함을 보면 ㅎㅎ
띠리리 15-03-29 13:25
   
aiib가입자체로..
그렇다고 무슨 투자수익에 따른 분배를 이뤄내는것보단..
중국의 움직임에 동조해준것에 대한.
대중무역등의 경제이익을 의미함.
이걸 또 멍청이들은 무슨 떼돈버는 사업인줄 착각할까바 ㅎㅎ
     
불꽃 15-03-29 13:31
   
때돈 벌거덩? ㅋㅋ
너는 공부좀 다시 해야 겠다...

AIIB로 인해 한국기업이 1000억공사를 땃다고 치자고...
순수마진 약 5%에...
한국인력 인건비. 자재비등 관련 한국업체의 참여금액이
약 30%에 달하거덩???
1000억 공사중 300억 이상은 한국에 돈이 들어온다는 이야기이고...

대중무역등 경제이익은 2차적 이득이지.

아시아 인프라시장에서 한국의 위상이 올라가는것은
당연한 이야기 이고...

이쯤되면 때돈벌지 않음????

아가야... 세상을 너무 삐딱하게 보지말고
긍정적으로 보거라...ㅋㅋ
          
띠리리 15-03-29 13:32
   
그니까 adb보다 aiib로 떼돈 번다는 근거를 대라고 했자나
지혼자 북치고 장구치고 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노 ㅎㅎ
          
띠리리 15-03-29 13:33
   
더웃긴건 aiib는 그렇게 긍정으로 보면서.
EDCF는 왜 무시하노?
짱개임??
               
불꽃 15-03-29 13:49
   
횽아가 너님 알아듣게 정리해 주께....ㅋㅋ

너는 AIIB는 열라 무시하고
ADB를 높게 쳐주는 모양인데...

ADB에 한국 지분이 5%다.
그중 실제 한국이 공사. 설계용역으로 따낸 금액은
2%미만이다.
왜 그런줄 아냐????
일본이 방해해서 그렇단다.
ADB는 일본이 독식하는 구조거덩...
그래놓고... 일본이 원조 마이 했다고 동영상 배포해서
개소리 하고 있거덩???

ADB와 비견되는 국제금융기구가 생긴다.
중국이 주도했건말건 벌써 30여 개국이 참여한다.
한국이 이 기구에 창립맴버가 된다.
이게 열라게 짠돌이 짓하는 ADB와 비교가 되긋냐?

EDCF는 한국 수출입은행이 담당하는 유상원조기구이고
무상원조는 KOICA라는 단체에서 한다.
한국 외교통상부 ? 외교부 산하에
EDCF 와 KOICA 두개의 기구가 있다.

이건 한국만 유상. 무상 원조를 하는게 아니라
OECD 회원국이면 무조건 해야한단다.
일본도. 독일도. 스위스도 미국도 모조리
유.무상 원조를 일정 % 만큼 해야 한단다.

이 유.무상원조와는 전혀 별개로
WB. ADB. AIIB. 아프리카개발기구. 남미개발기구 등등
국제(공적)금융기관이 있단다.

니 말이 얼매나 어처구니가 없냐하면
국제금융기관의 참여 유무와는 별개로...
EDCF와 KOICA는 정해진 % 이상에 따라
국제원조를 해야 한단다.

이제 이해가 좀 되지?
함부로 아는척 씨.부리지 말그라... 아가야 ㅋㅋ
이제 덧글 안단다...ㅋㅋ
                    
불꽃 15-03-29 14:02
   
그리고 갈켜주는 김에...
횽아가 인심 팍팍써서 하나 더 알려줄게...

세계 공적개발. 원조등 통털어서 크게 3가지 가 있다.
모든 원조. 지원. 유상.무상원조 . 투자등이 이 3가지의
큰 줄기에서 나온다.

1. UN지원기금.
- 지원기금의 부처가 각각 다르고 약 10여개 UN기관에서 각각 다르게 지원한다.

2. WB. ADB. AIIB. 아프리카개발기구. 남미개발기구 등의 국제 (공적)금융기구
- 각 대륙별 금융기구에서 특히 인프라 개발 지원을 위해 설립된 기구.

3. OECD의 회원국에 의해서 정해진 각국의 유 . 무상 원조기구 (ODA)
- 한국은 KOICA (무상원조.)  EDCF (유상원조) 기구가 있다.

이제 머리에 쏙쏙 들어오지?^^
횽아한테 고맙다 해라.
어디가서도 못배우는 지식이다.
Windrider 15-03-29 19:53
   
어그로는 가르쳐줘도 몰라요. 그냥 상대안하는게 상책임.
 
 
Total 218,6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3) 가생이 08-20 258187
공지 정게 운영원칙 Ver.2018.03.27 (1) 객님 12-03 834464
56977 박그네 댓통령 이면바귀가 싼 똥 치우느라 고생 많이 하… (30) 지쟈스 03-30 1362
56976 러시아의 권위있는 한국학자가 말하길... (7) lemlem 03-30 1525
56975 FTA효과인지 대기업들의 베트남 투자가 엄청난 것 같네요 (3) 아로아 03-30 1086
56974 이재명 성남시장 대단하다는........, (37) 벌레밟기 03-29 7710
56973 새누리, 뒤늦게 "자원외교, 감당할 수 없는 규모" (9) afterlife 03-29 1505
56972 국가별 ADB수주실적. (9) 띠리리 03-29 3468
56971 불꽃 << 직업이 구라꾼인듯. (1) 띠리리 03-29 554
56970 아시아 개발은행을 통한 그동안의 한국실적 [처용님보세… (4) 불꽃 03-29 966
56969 높이나는새 03-29 422
56968 박정희 리콴유 다른점이라면 (16) 돌맹이 03-29 1394
56967 봄 맞아 전국 공공요금·기름값 '들썩' (2) 블루하와이 03-29 514
56966 6월부터 지하철·버스 요금 인상 (5) 블루하와이 03-29 921
56965 종북 말이에요 (16) 스파게티 03-29 1051
56964 aiib 가입에 대한 장단점 명확히 아시는 분? (46) 마초맨 03-29 4345
56963 MB, 사저에 열람장비 설치해 기록물 '불법열람'? (15) afterlife 03-28 1274
56962 이재명 시장의 마인드를 보고 한가지 더 떠오른 일화.. (21) 길라잡이 03-28 1728
56961 크으.. (1) 민주시민 03-28 486
56960 경남 급식 중단 뉴스를 보니 돌맹이 03-28 873
56959 이재명시장의 마인드 (13) hazelfish 03-28 2998
56958 음...역시.... (6) ko딱지 03-28 596
56957 이재명시장의 행동력 (85) hazelfish 03-28 2909
56956 MB, 사건 또 터졌네요 (4) darkbryan 03-28 1886
56955 노령화 사회를 짊어질 아이들에게 미안함... (4) 참치 03-28 630
56954 北 "남한 간첩 적발"..체포 과정 담긴 영상 공개 (2) darkbryan 03-28 1106
56953 일베충이 또 무릎꿇고 사과 (15) 에볼라조심 03-27 2331
 <  6461  6462  6463  6464  6465  6466  6467  6468  6469  64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