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특정 회원에 대한 반말,욕설 글(운영원칙 2,3항) 3회 위반시 접근 차단 조치 됩니다.(원인제공과 관계없이 조치)
하오니, 절대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거법 위반 및 정치관계법 위반행위 신고는 아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http://www.nec.go.kr
HOME > 커뮤니티 > 정치 게시판
 
작성일 : 15-03-01 09:10
"가계소득 늘어야 경제 성장"..美·日·英·獨 임금인상 추진
 글쓴이 : 백수
조회 : 1,126  

 
 
 
 
OECD 등 국제기구도 새로운 대안으로 임금인상 제시

(서울·세종=연합뉴스) 이상원 김승욱 박초롱 기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주요 국제기구와 미국, 일본, 독일 등 주요국들이 '소득주도 성장'에 주목하고 있다.

경쟁과 개방, 구조조정 등 신자유의주의에 입각한 성장 방식 대신에 국민의 지갑을 두둑하게 해 소비를 늘리는 것이 경제회복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 OECD·WB·ILO 등 국제기구도 '소득주도 성장론' 제기

임금 등 가계소득을 올려서 성장을 달성하는 소득주도 성장론은 2008년 금융위기에 대한 반성에서부터 시작됐고 불평등 해소 방안으로 가계 소득 증대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성장 대안으로 떠올랐다.

소득주도 성장론은 국제노동기구(ILO)가 2012년 발표한 '임금주도 성장론: 개념과 이론, 정책' 보고서에서 "임금 인상에 기반한 성장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이다"고 밝히면서 국제 경제학계의 주목을 받으며 확산하고 있다.

OECD와 세계은행(WB), 국제노동기구(ILO)는 지난해 9월 열린 주요 20개국(G20) 노동장관 회의에 임금 인상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의 공동보고서를 제시했다.

이 보고서는 최근 세계 경제의 저성장 원인이 임금 격차에 따른 소득 불균형이라고 지적하면서, 이런 격차 해소가 지속적인 성장의 필수 요소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재정긴축, 규제완화, 감세 등 1980년대부터 2008년 금융위기 이전까지의 세계 경제를 주름잡은 신자유주의 정책이나 금융위기 이후 주요 국가가 추진한 저금리, 양적완화 등과는 정책 처방이 전혀 다르다.

보고서는 임금 정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세계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린다는 G20의 목표를 실현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 美·日·中·英·獨 "임금 올려라"

국제 기구에 이어 주요국들도 소득 증대를 통한 경기 부양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나라가 미국이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법정 시간당 최저임금을 10.10달러로 올리는 이른바 '텐텐 법안'을 통과시키라고 의회를 압박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2월 국정연설에서 "1년 내내 일해서 1만5천달러 미만의 소득으로 한 가족이 살아갈 수 있겠느냐"며 최저 임금 인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근로소득자의 임금이 늘어나 소비가 늘어야 양적완화로 힘겹게 살린 경기회복의 불씨를 더 키울 수 있다는 게 미국 정부의 판단이다.

정부의 요구에 화답하듯 미국 유통업체 월마트는 최근 6년 만에 처음으로 임금을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월마트는 저임금으로 악명이 높아 미국 노동계에서 '악의 제국'(Evil Empire)이라고 불렸다.

월마트는 이런 오명을 벗어던지려는 듯 다음 달부터 시간당 최저임금을 9달러로 올리고 내년에는 10달러까지 인상하겠다고 약속했다.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도 대기업을 대상으로 근로자의 임금 인상을 독려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재계 설득을 위해 골프회동까지 하고 있다.

그는 일본의 정·재계 유명인사들에게만 개방된 도쿄 외곽의 '300골프장' 등에서 재계 회장들을 돌아가면서 만나 근로자들의 봉급 인상을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0%대의 소비자 물가지수로 디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봉급생활자의 월급이 올라야 소비가 늘고 경기를 살릴 수 있다는 절박한 인식 때문이다.

중국의 베이징도 지난달 최저임금을 1천560위안에서 1천720위안으로 10.3% 올렸고, 뒤이어 하이난, 텐진, 후난 등도 최저임금을 10% 안팎으로 인상했다.

독일과 영국 등 유럽의 주요 국가들 역시 올해들어 최저임금을 속속 인상했다.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 저성장의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운 상황에서 국민 소득 증진을 통한 소비 진작으로 저물가를 해소하고 경제성장률을 높여보겠다는 것이 주요국 정부의 공통된 인식인 셈이다.

ksw08@yna.co.kr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카프 15-03-01 11:47
   
오늘따라 정게 일베충들 조용하네
마... 또 이글에다 미, 일, 영, 독 OECD 죄다 빨갱이라 씨부려싸고
철지난 낙수효과나 빨며 개그해야지? 우리 대기업 건들지마 ㅂㄷㅂㄷ
플로리스 15-03-01 11:51
   
이 이야기는 우리 정부와 대기업은 싫어합니다!ㅋㅋㅋㅋ

누구나 공감하는게 소비의 주체는 기업이 아닌 가계입니다!
가계의 소비 ->  기업의 매출과 수익 상승 ->  고용과투자 임금상승 -> 국가세수확보및 복지와 혜택 -> 가계소득증가 -> 가계의 소비 

이건 그들이 그렇게 좋아하는 세계 경제학자들 책에도 항상 나오는 말이죠! 그러나 시험은 이렇게 치고 현실은... 낙수국물 정책만이 살길이라 생각하죠!
어자피 똥은 내가 싸지만 욕은 다음놈이 처먹을거니....ㅋㅋㅋ
mymiky 15-03-01 11:52
   
우리나라는 기업이 잘되어야 나라가 산다고 아직도 광고에서도 세뇌하는 나라임;;;
우리에겐 저런 이야기는 아직 먼 나라 이야기일뿐;;
수치상으론 매년 잘살아졌다고 하는데, 국민들이 체감을 못 하는 것도
다 이런 환상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나이thㅡ 15-03-01 15:28
   
미국등 선진국들은 경제 성장률 반영비율이 소비가 60%이상입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50%도 안됩.....
 
 
Total 218,6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3) 가생이 08-20 259690
공지 정게 운영원칙 Ver.2018.03.27 (1) 객님 12-03 836023
56227 노무현대통령은 공산주의에 명백히 반대했습니다. (2) 쉐보레우파 03-02 1072
56226 북유럽 찬양자들, 국가보안법으로 처벌해야죠. (18) 쉐보레우파 03-02 1322
56225 이넘아 일배겠죠? (11) 카프 03-01 2123
56224 지금 트위터에서 이슈가 되고있는 박원순 시장과 시정책 (17) 선구자 03-01 1756
56223 오늘은 3.1절입니다..헌데 나라의 수장은 없군요.. (11) 호태천황 03-01 914
56222 근데 어젠가 민주단체에서 시위를 했었는데 언론에서는 … (4) aghl 03-01 1038
56221 창조경제 야동세 걷을 준비 (8) OpenMind 03-01 1420
56220 "가계소득 늘어야 경제 성장"..美·日·英·獨 임금인상 추… (4) 백수 03-01 1127
56219 미 '과거사는 덮고가자'..한·중·일에 작심하고 … (17) 백수 03-01 1778
56218 입보수들의 이중성 (9) 지쟈스 03-01 1152
56217 ‘이승만’ 영화제작 펀딩, 모금액 1%에 그쳐 (18) 500원 02-28 2028
56216 원전문제 주민들은? (1) 민주시민 02-28 533
56215 생각해보면 .. 민주시민 02-28 406
56214 드디어 일어났네요 (9) 민주시민 02-28 829
56213 제가 만화를 그려봤습니다. (4) 보라돌이 02-28 916
56212 가생이 정게는 몇몇 사람들의 놀이터인가요? (3) 구부국강병 02-28 596
56211 보수들의 영웅들 초라해서 천박하다. 철부지 02-28 729
56210 좌파의 문제점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는 거다.. (6) 조이독 02-28 837
56209 복지비 증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들 하시나요? (7) 동물원 02-28 768
56208 박근혜 인사 난맥상과 좌익? 서울맨 02-28 496
56207 좌익들의 행동방식 (51) 무진장여관 02-28 1653
56206 요즘 정게에 오는 보수의 탈을 쓴 벌레들 (12) 백수 02-28 1098
56205 좌익들의 사고방식 (47) 좌좀시러 02-28 1336
56204 이병기? 이병기?? 이병기!!!!! 이런 미치....ㄴ (4) 호태천황 02-27 1035
56203 대기업 증세아니면 서민증세 결단의 문제다. 철부지 02-27 564
 <  6491  6492  6493  6494  6495  6496  6497  6498  6499  6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