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가보안법 폐지 주장
2. 고려연방제 찬성 주장
3. 주한미군 철수 주장
4. 한미동맹 철폐 주장
5. 한미군사훈련 때마다 반대
6. 이적단체 한총련 비호
7. 군비축소 요구
8. 무조건적인 북한과의 대화 요구
9. 국가보다 민족을 우선
 
 
여기서 고려연방제란?
 
북한은 1960년대에는 막연히 '연방제'를 주장하다가, 1973년 '고려연방제'로 바꾼 뒤, 1980년 10월 10일 노동당 제6차대회에서 '민주'라는 수식어를 덧붙여 '고려민주연방공화국창립방안'을 내놓은 이래 2001년 현재까지 이 방안을 고수하고 있다.

즉, 1970년대까지는 '통일에 이르는 과도적 조치로서의 연방'을 주장하였으나, 이후에는 '통일의 완결 형태인 연방제'를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1980년 10월에 행한 김일성(金日成)의 연설 가운데 '북과 남이 서로 상대방의 사상과 제도를 인정하고 용납하는 기초 위에 민족통일정부를 세우고, 이를 기초로 북과 남이 같은 권한과 의무를 지니고 지역자치제를 실시하는 연방공화국을 수립한다'는 내용에 잘 나타나 있다.

주요 내용은 자주적 평화통일을 위한 선결 조건과 연방정부의 형태와 운영 원칙, 연방정부의 10대 시정 방침 등 크게 3가지로 나뉜다. 먼저 선결 조건은 국가보안법 철폐 및 정치활동의 자유화 등 군사 파쇼 청산과 주한미군 철수 및 조미간 평화협정 체결, 미국의 내정간섭 포기 등 긴장상태 해소와 전쟁 위협의 제거 등이다.
 
다시 종북의 의미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집권 정당인 조선노동당과 그 지도자인 김일성, 김정일 등의 외교 방침을 추종하는 경향
 
 
이제 설명안해도 아시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