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특정 회원에 대한 반말,욕설 글(운영원칙 2,3항) 3회 위반시 접근 차단 조치 됩니다.(원인제공과 관계없이 조치)
하오니, 절대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거법 위반 및 정치관계법 위반행위 신고는 아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http://www.nec.go.kr
HOME > 커뮤니티 > 정치 게시판
 
작성일 : 12-12-10 01:08
박정희 향수
 글쓴이 : 늘푸름
조회 : 1,330  

고건 "푸른산 볼때면 박정희 前대통령이 생각난다" 


산이 푸르른 계절이 되었다.

푸른 산을 볼 때면 나는 朴正熙 대통령이 생각난다. 
박 대통령과의 첫 만남이 산에 나무 심는 일을 매개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한참 일에 열정을 불태우던 젊은 副理事官 시절, 
새마을 擔當官으로 있던 나에게 東大本山에 砂防事業을 하라는 명령이 떨어졌다. 
東大本山은 月城郡 外東面과 蔚州郡 農所面 사이에 있는 큰 산이다 . 
도꾜에서 비행기를 타고 우리나라 상공으로 들어오다 보면 
이 산이 제일 먼저 눈에 잡힌다. 
지금이야 녹화가 잘되어 푸르르지만 당시에는 헐벗은 민둥산이었다. 
이 민둥산이 울창한 일본의 산을 내려다보며 
날아온 방문객에게 처음 비춰지는 한국의 산이라는 사실을, 
박대통령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평생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사방사업의 設計者 겸 현장감독이 되어야 했다. 
현지에 가보니 동대본산은 정말 악산 이었다. 
몇 년간 사방사업을 했지만 거듭 실패했다고 한다. 
비가 오면 흙이 곤죽이 되어 무너져 버리는 특수토질이라서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 방법, 저 방법 생각하다가 부산 의 어떤 토목과 교수로부터 자문을 구했더니 
一般 砂防方式(일반 사방방식)으로는 안되고 
‘特殊砂防工法(특수 사방공사)’을 써야한다고 했다. 
鐵筋(철근)을 넣어 콘크리트 수로를 만들라는 것이었다. 
그대로 해 보았다. 정말 대성공이었다. 

청와대에 결과보고를 했더니 
대통령이 주재하는 經濟動向報告會(경제동향 보고회)에 참석해 
그 내용을 직접 보고하라는 것이었다. 
이렇게 해서 대통령과의 첫 만남이 이루어졌다. 
나무가 꽤 자라난 일년 뒤에는 
전국의 시장, 군수를 현장에 모아 녹화교육을 했던 기억이 난다. 

이러한 실적이 있어서인지 ‘第1次 치산녹화 10년 계획’을 수립하는 
莫重(막중)한 과제가 내게 맡겨졌다. 
워낙 농림부가 해야 할 일이었지만 
새마을 사업을 추진하던 내무부가 그 일을 하게 된 것이다. 
두어 달 밤낮없이 매달려 계획을 만들었더니 
關係長官會議(관계장관 회의)에서 計劃立案者(계획입안자)가 직접 보고하라는 
대통령지시가 떨어졌다. 
보고날자가 잡혀졌다.


차트사를 붙잡고 보고 전날 밤 한 숨 안자고 일을 했지만 
보고시간 10시에 임박해서야 겨우 차트를 완성할 수 있었다. 
정신없이 차트를 들러메고 청와대 회의장에 도착하니 
보고시간은 이미 10분이나 지나 있었고 
박대통령을 위시해서 총리, 장관 모두가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때 낭패스럽던 생각을 하면 몇십년 지난 지금도 등에 식은 땀이 난다. 
당황스러운 속에서도 심호흡을 하고 보고를 시작했다. 
조심스럽게 녹화10년 계획의 기본방향으로 
國民造林(국민조림), 速成造林(속성조림), 經濟造林(경제조림)의 세 원칙을 말씀드렸다.


그러면서 훔쳐보니 대통령의 눈빛이 빛나며 고개를 끄덕이고 계신 것이 시야에 들어왔다. 
휴- 하고 안심이 되는 순간이었다. 
그제서야 준비한대로 찬찬히 브리핑을 진행할 수 있었다. 

보고 중간 중간 대통령은 질문을 하고 이야기를 하셨다. 
하나같이 산림녹화에 대한 熱情(열정)과 執念(집념)이 느껴지는 말씀들이었다. 
師團長(사단장) 시절의 에피소드도 이야기하셨다. 
部隊 巡視(부대 순시) 길에 플라타나스 가지를 지팡이 삼아 꺾어 짚고 다니다가 
무심코 거꾸로 꽂아놓고 歸隊(귀대)하셨던 모양이다. 
나중에 우연히 그 자리를 지나다보니 거꾸로 꽂힌 지팡이에서 싹이 돋았더란다. 
나무의 생명력에 감탄을 했다 하시며 파안대소를 하셨다. 
그때 웃으시는 대통령 입안에 덧니를 보았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그 뒤 地方局長(지방국장)으로 승진한 다음에는 
대통령을 자주 뵐 기회가 있었다. 
매달 한번씩 청와대에서 새마을 國務會議(국무회의)가 열렸는데 
이때 유일한 안건인 새마을사업 추진상황을 
主務局長(주무국장)으로서 보고 드리곤 했었다. 
모두 합해 21번 보고를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박대통령이 새마을 사업에 대해 가졌던 열정은 잘 알려진 바이지만 , 
매 회의마다 그 분이 우리 농촌과 국토에 대해 가졌던 뜨거운 애정, 
빈곤했던 우리의 역사에 대한 한에 가까운 처절한 심정, 
그리고 貧困(빈곤)을 克服(극복)하여 
경제대국을 이룩하려는 결연한 집념에 숙연해지곤 했다. 

+++ 
그뒤 나는 전남지사를 거쳐 行政首席(행정수석)이 되었다. 
1979년 1월 3일에서 10월 26일 돌아가시기까지 열달 동안 바로 옆에서 대통령을 모셨다. 
이 시절에는 대통령과 首席秘書官(수석비서관)들과의 저녁 회식 자리가 잦았다. 
그전에는 잘해야 한달에 한번 정도 만찬이 있었는데, 
이 시절에는 매주 한번 이상이 될 정도였다. 
영부인이 돌아가신 뒤 외로우셔서 그러셨으리라 짐작한다. 
朴大統領은 저녁에 곁들여 飯酒(반주)를 드시곤 했다. 막걸리 아니면 양주였다. 
막걸리도 특별한 것이 아니고 고향군에서 만든 일반 막걸리였고, 
양주는 시바스 리갈이 고작이었다. 반주를 드시면서 옛 이야기도 자주하셨다. 
그러다가 가끔 흥이 나시면 “비탁” 칵테일을 만들어 돌리시곤 했다.


비탁이란 맥주 한병을 탁주 한주전자에 섞은 朴大統領 秘藏(비장)의 칵테일이다. 
비탁 칵테일을 “調製(조제)”하시는 대통령에게 옆에 앉았던 내가 
“조제는 제가 하지요”하니까 
“어이, 이 사람, 이건 아무나 하는 게 아니야, 당신은 配合比率을 모르지 않나”하시면서 
젓갈로 비탁을 휘휘 저으시고는 우리들에게 비탁 칵테일의 사연을 들려주셨다. 

+++ 
일제하 대통령이 聞慶(문경)국민학교 선생이었던 시절의 이야기였다. 
젊은 선생들이 ‘기린 비루’를 마시고 쉽기는 한데 
워낙 박봉이라 마음놓고 마실 형편은 못되었다 한다. 
그래서 추렴한 돈으로 비루(맥주) 두어 병을 사 탁주 한말에 부어 
함께 돌려 마시곤 했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 이야기도 들려주셨다. 구미 상모리에 대농 한 사람이 있었는데, 
이 지주 집에서 모내기를 할 때면 온 동네사람이 모두가 품앗이를 했다 한다. 
이 때 마을 아이들과 함께 박대통령도 따라 가곤 했었는데 
그 때 지주 집에서 주던 밥과 반찬 맛이 어른이 되어서도 잊혀지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특히 호박 잎에 얹혀진 ‘자반고등어’ 한 토막이 그렇게 맛있더라는 것이다.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서 대통령이 마음속에 간직한 가난한 시절에 대한 한과 
어떻게 해서든 가난을 극복하려는 무서운 집념 
이 상대적으로 안녕하게 성장한 나에게도 절절하게 다가오던 것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 

그 뒤로 나도 비탁 칵테일을 몇번 만들어 보았다. 
그런데 아무리해도 박대통령 이 만들어 주시던 그맛이 살아나지 않는다. 
우리가 잘 살게 된 탓에 내 입맛이 변한 것인지, 배합비율의 비결을 몰라서인지, 아니면 그 둘 다 인지 알 수가 없다.


서울특별시장 재직시 박정희 전 대통령을 회상하면서 쓴 글임.

이것이 좌파들이 말하는 박정희 향수겠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니가카라킴 12-12-10 01:09
   
브금표시 부탁드립니다 ^^
     
늘푸름 12-12-10 01:10
   
서프라이즈에서 글만 복사해서 퍼왔는데 브금이 들어있었네요.

브금은 문서편집으로 들어가서 삭제했습니다.
하늘2 12-12-10 01:16
   
고건 무난한 느낌이었는데 요즘 뭐하는지.
     
프레시 12-12-10 01:27
   
저도 고건 괜찮았는데.
술자리 가끔 언급한적도 있고..
대게 기억을 못하데요.
          
디메이져 12-12-10 01:30
   
무난하다는 건 딱히 봐줄 게 없다는 거니까요.
별명없음 12-12-10 01:21
   
고건씨가 대선포기한 이유...

이동(전 서울시 부시장) 교수님이 제 은사님이신데... 수업중에 말씀해주신 일화가 있죠...

다른 사람들이 정치해보실 생각 없냐고 자꾸 바람넣으니까

고건씨 왈~ "난 거짓말을 못해서 정치와는 맞지 않습니다" 라고 했다나...

유능한 행정각료이자 존경받는 인물로 남으신게 다행이라고 봅니다...
     
integ 12-12-10 01:55
   
이런 일화를 보면 우리가 너무 박정희 대통령을 신격화 하느라 정작 배울점을 놓치는게 아닌가 합니다
박정희 대통령의 진정한 진가는 한국에 그만한 인물들이 있었다는 것과
그 인물들을 가리지 않고 능력에 따라 적재적소에 배치한 그 능력이 아닌가 합니다.
꼬불꾸불 12-12-10 01:42
   
그저 웃지요. 박정희 미화의 끝판왕. 누가봐도 최측근의 글. ㅋㅋ
     
늘푸름 12-12-10 01:45
   
푸훗 박정희미화의 끝판왕이 노무현정부에서 초대총리를 했나요?

그리고 고건총리의 글은 모두 사실에 입각해서 쓴 것인데?
     
integ 12-12-10 01:58
   
고건총리는 비리나 권력싸움을 좋아하지 않아서 연루된 적이 없습니다.
정치적으로 중립에 서려고 했던 스타일입니다.

정치가 보다는 행정가에 훨씬 가까운 분임에도 불구하고 그 능력을 인정받아 총리까지 올라간 분이죠
그리고 총리의 경우엔 일반적으로 정치가인 경우 대통령 측근, 행정가인 경우 중립 성향인 경우가 많습니다
 
 
Total 218,6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3) 가생이 08-20 258768
공지 정게 운영원칙 Ver.2018.03.27 (1) 객님 12-03 835071
22302 아오 그놈의 박정희 박정희 지겨워 죽겠네 (26) 다든 03-20 1330
22301 가생이엔 좌파책임설.. (26) 민주시민 06-20 1330
22300 참 인터넷 좌좀들의 핑계란.. (25) 무진장여관 07-31 1330
22299 북한 인터넷 다운 되고 나서 좌음 보소 ㅋㅋ (13) 민보맹 12-23 1330
22298 대통령 비하 혹은 풍자에 궁금한게 있습니다 (18) 쪽빛하나 02-12 1330
22297 "죽음의 마을.. 국밥집은 간암, 마트 아줌마는 유방암" (4) Windrider 05-05 1330
22296 '철새 낙원' 주남저수지에도 큰빗이끼벌레 (27) 무장전선 07-05 1330
22295 애국보수 할매 (15) Animation 08-08 1330
22294 고 노무현 대통령의 보수와 진보란 (10) 견룡 08-30 1330
22293 김광진 의원에게 박수를 (14) 민주시민 01-17 1330
22292 8년동안 싸인것들이 터지기 시작하네요.. (1) 할쉬 04-25 1330
22291 아직도 호남인들의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오해! (10) 또공돌이 06-24 1330
22290 정의당 실수를 해놓고, 수습 능력이 개판이네요. (5) 오거츠보튜 07-22 1330
22289 '독도지킴이' 호사카 유지 교수, 문재인 캠프 합… (11) 청풍명월이 02-18 1330
22288 (펌) 국민의당'추미애 땜에 국회보이콧'에 숨은 … (7) veloci 07-08 1330
22287 친박단체, 주진우·김제동 '내란선동' 경찰 고발..… (21) 호두룩 08-21 1330
22286 영국 왕비 (7) 진로 10-08 1330
22285 류여해 ‘文탄핵’ 언급에 “오버하지 말라” (13) MR100 10-16 1330
22284 황교안의 선견지명 (6) afterlife 10-20 1330
22283 찰스 쫓겨나는건가? 낙동강 오리알 되는겨? ㅋㅋㅋㅋㅋ… (10) 유수8 10-24 1330
22282 장제원 …이제 마음 접는다 (15) 유정s 11-24 1330
22281 이게 자칭 애국보수의 수준입니다 (8) 주말엔야구 11-27 1330
22280 명왕 혼밥의 진실.jpg (27) 유수8 12-16 1330
22279 [스크랩] 아베가 직접 영업 뛴 4조원짜리 대형 공사를 뺐… (9) krell 03-25 1330
22278 대북단체 "자유의 그날까지 전단 살포 계속" VS 정부 "살… (21) 유정s 04-30 1330
 <  7851  7852  7853  7854  7855  7856  7857  7858  7859  78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