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종교/철학 게시판
 
작성일 : 22-02-10 07:13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
 글쓴이 : 이름없는자
조회 : 389  

우리가 초중교 학교를 다닐 때는 비판적 사고에 대해 거의 훈련받지 못했다.
그건 초중교 교과목의 특성상 이미 사회적으로 축적된 지식을 단지 전수받는 과정이기 때문이었다.
교과서를 달달 외워서 시험 때 그 교과서대로 답을 적으면 만점이었다.
하지만 대학교에 들어오면 이제 새로운 지식을 창조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비판적 사고를 할 것을 요구받고 훈련받는다. 기존의 이론에 대해 이를 비판하고 새로운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
문학작품을 읽어도 감상문이 아니라 비평을 써야한다. 이게 대학교육이 중고교 교육과 다른 점이다.
그런 비판적 사고의 능력이 없는 지식인은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거나 발전시킬 수 없다.

이런 다른사람의 말이나 기존의 지식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새로운 방향과 
시각으로 보는 것은 요즘 교육에서 중시하는 창의성 교육의 핵심이다.
정반합의 원리야 말로 창의적 발전의 가장 중요한 도구이다.

하지만 나는 이런 비판적 사고를 대학이 아니라 더 일찍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요즘 중고교 교육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한국교육은 이런 비판적 능력 교육이 부족했었다고 생각한다.
내가 어릴 때에는 교과서나 T신문이나 TV를 무비판적으로 배우고 스펀지처럼 흡수했고 
그래서 우등생이 되었지만 그건 결국 퀴즈대회 우승자나 다름없다.

종교에 대해서도 나는 어릴 때 거의 무비판적으로 수용했다. 성탄특집이나 부처님 오신날 특집이나
단체관람 종교영화를 아무생각없이 받아들였다. 그래서 예수나 석가의 행적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였다.
또 크리스마스 시즌이 되면 교회에서 나눠주는 과자와 선물을 받고 기뻐하고 교회는 참 좋은 곳
착한일을 하는 자선기관 쯤이라 생각하고 신나게 울리는 캐롤에 즐거웠다. 
그래서 성경도 불경(연화경)도 읽어보고 서양과 동양 위인전 쯤 된다고 생각했다.
각종 동화나 소설 영화에서 종교나 중교인이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경우는 없고 거의 
긍정적을 넘어 성인(聖人)급 인격자나 초인으로 묘사된다.
주변이나 유명한 목사나 신부 스님도 다들 인격자이고 착하고 유식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국사나 세계사 교과서에서도 대체로 불교나 기독교는 긍정적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나라에서 성탄절이나 석탄절을 국경일로 삼으니 무슨 나라에서 공인한 것쯤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대학에 들어가서 이런 저런 다양한 독서를 하면서 내가 들고 보는 것들도 
거짓말이 녿도가 매우 짙다는 걸 알게되고 TV와 신문이 수많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닿게 되었고 권력이나 종교의 정체에 대해서도 알게되었다.
모든 책이 다 맞는 것이 아니고 성경이나 불경은 그냥 옛날 이야기책일 뿐이라는 각성이 들었다.

종교에 대해서도 그게 결코 객관적 진실이나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는 걸 알게되고 
특히나 과학자 칼 세이건 등의 저작을 읽으며 종교를 제대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내가 그런 책을 중고등학교에 읽을 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종교에 대해서 정체성이 무엇인 줄 가르쳐줄 사람이 왜 주변에 없었을까?

하기는 그당시의 사회적 분위기는 종교에 대해 비판을 하는 것을 꺼려하는 분위기여서
쿼바디스 같은 종교적 작품은 많이 읽었지만 비판서적은 접할 수 없었다.
무속에 대한 비판은 있었다. 처음 종교비판적인 문학작품을 읽은게 
이문열 사람의 아들이나 김성동의 만다라 움베르토 에코 정도 였다.
지금도 중고생이 읽을 만한 기독교나 불교비판 문학작품은 매우 적다.
그나마 21세기에 들어서야 읽을 만한 종교비판 교양서나 소설들이 나오고 있다.

여튼 한국 중고교 교육에서도 지식의 전수만 중요시 하지말고
미디어 비판교육 등 책이나 인터넷 정보등 보고 읽는 걸 한번 의심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훈련시키는  비판적 사고 교육이 절실하다. 
다문화나 성인지 감수성말 중요한게 아니고 미디어 감수성도 중요하다.

뭐 꼭 비판적 내용을 교육하라는 것이 아니라 듣고본 걸 의문을 가지고 
스스로 생각해볼 기회를 주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기존의 관념에 그와 반대되거나 
서로 모순되는 걸 보거나 듣지 않으면 잘 생각할 기회나 계기 자체를 가지지 못한다.
중고생이라도 성경이나 각종 종교의 교리 만 해도 그게 사실일까 하는 의문만 가지고 
조금만 생각해봐도 금방 상식적이지 않다는걸 알 수있고 그 본질을 자명하게 깨닫게 된다.
중고생일 때 바로 그렇게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문화나 관행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생각할 수 있는 기회"나 계기를 만들어 주는게 중요하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팔상인 22-02-10 17:17
 
온전한 의미의 "비판"이 뭔지도 모르는 사람이 이런 글을 남기는구만
태지2 22-02-10 18:26
 
레벨이 있고 그 레벨에 있는 때만 생각이 가능한 것입니다...
댓 글 보고 댓 글을 다는 격인데... 그냥 대갈팍 수준에서 스래기 이하도 이상도 아닙니다.
     
팔상인 22-02-10 22:12
 
음 우리 핫산이 맡은 바 소임을 충실히 하고 있었구나
아저씨가 노파심이 과했던 거 같아 미안하다

앞으로 네 친구들에겐 관여하지 않으마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라 핫산
          
태지2 22-02-11 04:28
 
여러가지 하네...
어느 인간이 있는데 왜? 그렇게 생각과 행동을 했었을까?

우리 핫산이 맡은 바 소임?
그게 뭔데?
우주 최애 최고 지배 아니고 바름으를 얘기하고 하였었나?

상위 레벨에 있는 님이 하는, 내지는 그냥 하는 노파심?

내 친구들? 나에게 친구가 있었나? ㅎㅎㅎ
그 행동의 지속이었는데.....
한 때 좋기도 했었지?

또라이 짓 하면서, 그 게 능력이라고 하지....
청명하면서 광이 나야 하는데... 광이 안 나도 사실에 있어야 하는 것인데... 속이려 하는 것이고, 끼리끼리 모여서 잘났다! 하는 것인데.... 그 사실에 있었던 것이지? 그렇지?

닭대가리, 시궁창... 많이 쓰었던 글인데 오늘 또 쓰는 것 같네...
님은 잘났다 지속이나, 과거 거짓말에 대하여 말하려 함에서 더 드러워져야 할 것 같은데...

PS-
1.- 정직을 적당히, or 많이 버리고서라도 잘났다를 위해서... 나와 내 어머니 죽어갈 때도 기회라 생각하고 하던데... 님이 지휘자임?
딱갈이 질 하던 님이....  님이 쓰뢰기 아니면 누가 쓰뢰기 임? 님 대갈팍도 머리임?

2.- 아직도 이런 짓을 희망하는 생각들이 많음....
소통 어쩌구 하지만? 거짓이 섞여 있는 것이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할 수 있는 일이었을까? 어떻게 할 수가 없었던 것임... 무지 하여서 그 진심을 보고도 잘 알 수 없었는 것이을 것인데...
 
 
Total 4,90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종교/철학 게시판 규정 가생이 04-29 46144
4475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 (4) 이름없는자 02-10 390
4474 영혼의 길 치아키 04-18 390
4473 가생이종교게시판에서 봉사다니시는 신자분 계신가요? (3) 디아 08-11 391
4472 신앙과 국가의 충돌 (5) 옥탑방냥이 03-09 391
4471 과학이 뭔지 모르는... (7) 미우 06-16 391
4470 종교.. 인류 최후까지 골치거리.. (5) 모스카또 07-11 391
4469 거짓 경배 시스템 - False System of Worship (1) 솔로몬느 01-18 391
4468 외계문명 있다면 혹 그들도 신을 믿을까 (6) 그레고리팍 07-25 391
4467 (1) 유일구화 09-09 391
4466 이렇게 나라가 혼란할때 (1) 나비싸 01-05 391
4465 우울증의 진짜 원인! -허경영- 즐겁다 12-02 391
4464 [찬송10곡] S013. 메시지가 있는 찬송 (1) 김PD 02-18 392
4463 맹신과 쓰렉 담은 싸이코. (23) 제로니모 06-20 392
4462 공의고 선이고 사랑이고 귀신 씨나락 (10) 미우 07-12 392
4461 거짓 구원론 타파:성령 충만하면 교리가 확실하다 (4) 솔로몬느 10-01 392
4460 밀레니움 바이블 2권 189쪽 하보나 09-02 392
4459 때끌 (4) 유일구화 08-11 392
4458 목사의 타락이나 부도덕이 문제가 아닙니다. (2) 이름없는자 11-22 392
4457 깨달은 자와 함께라면 종노릇이라도 좋다. (1) 유전 02-26 392
4456 666 짐승의 표를 받지 않겠다고 말은 하지만 ..받을수밖에 없는 … (17) 솔로몬느 06-19 393
4455 1.서로 다른 두 가지의 창조이야기 레종프렌치 09-01 393
4454 재림과 천년왕국 1~5 솔로몬느 09-18 393
4453 하나님녀석은 뭐하나? 이런 악마 잡아가지 않고 (2) 우주신비 01-03 393
4452 무리?? (6) 백전백패 08-24 394
4451 증거도 못대면서 모함하고 무섭습니다. 아날XX 님! (35) 하늘메신저 03-23 394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