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스포츠 해외반응
[2ch] 삼성화재배, 이세돌, 中 구리 꺾고 반집승으로 우승!
등록일 : 12-12-13 22:32  (조회 : 25,717)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이세돌 9단이 13일 중국 상하이 그랜드센트럴호텔 특별대국실에서 열린 2012년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 결승전 제3국에서 270수까지 가는 접전 끝에 중국의 구리 9단에게 반집승을 거뒀습니다. 대역전승으로 우승컵을 차지한 이세돌 9단은 춘란배, 올레배, GS칼텍스배에 이어 올해 들어 네 번째 우승컵입니다. 
반응이 그닥 많지는 않네요.



이세돌 반집승.jpg



<중국반응은 아래주소 클릭하세요>





<2ch 반응 바둑 스레드 반응>






ID:NmIbkAbM
앞으로의 일정

12/4 춘란배 준준결승
12/6 춘란배 준결승
12/11~13 삼성배 결승 
12/22,24 응창기배 결승



ID:Dg1aCdo7
과연 국책으로 만들어진 재능이 그 한계를 뛰어넘을 것인가?



ID:siqffK87
이세돌 금방이군



ID:4KXPRbjE
이세돌의 엄청난 공세가 시작됐다.



ID:MwL3nF+i
이세돌의 불계(패배를 인정하며 돌을 던지는 것)승이라니!
진짜 잘 둔다.



ID:Awkf+yCk
이세돌은 41수까지 그 답지않게 교과서에나 나올법한 포석으로 두더군. 아무래도 신중하게 승부를 내려한 것 같다.
결승에서도 이기는 바둑을 두었으면 한다.



ID:TpnlNAIe
공백기가 있었는데 연승이라니...



ID:OMi8ZH+v
결승은 정상대결이다!



ID:niOH9Bkl
구리도 잘 두네



ID:NrGtlqbY
아랫쪽은 흰돌이 거의 먹은 것 같은데



ID:y8TRpzJx
해설은 일본이 제일 낫네.
그래 해설이라도 잘해라.



ID:NrGtlqbY
반격이 엄청나네.



ID:QDMUJ3fX
이 두 사람의 결승전은 역시 명불허전이다.



ID:l4i3fee0
마지막에 이세돌이 역전승으로 이기다니
정말 엄청나네!



ID:kzNIz1ZG
이세돌 정말 잘 둔다.
구리가 이길 줄 알았는데,
역시 이세돌이 더 잘 두네.



ID:iAZYTMDZ
이세돌 매직이다!



ID:tA9Io1iL
이세돌이 역시 잘 두네!



ID:3BvnwykR
이세돌이 이 정도로 강한 건 이세돌 매직처럼 불가사의한 것이 아니다.
상대를 압도하는 강함과 절대로 지지 않는 강함을 같이 겸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ID:N569pZ8Y
이번 판은 이세돌이 졌네



ID:RfA4BRrY
마지막에 보여준 길고 치열했던 공방전도
프로에게는 단 한 순간에 모든 것이 보이는구나.
정말 대단하다.



ID:x0gZ+01I
두 번째 대국부터 갑자기 수준이 확 올라간 것 같다.



ID:yJuuW5F0
역시 나랑 같은 생각을 한 사람이 있구나.
나도 어제 대국은 이 두 사람이 두는 대국같지가 않았다.



ID:MJUI3vW1
이세돌 요즘 컨디션 안 좋은가?
첫 번째 대국도 구리한테 겨우 역전승으로 이기던데...



ID:hAMSoGet
결승까지 올라갔는데 뭐가 컨디션이 안 좋다는 얘기냐!



ID:EwTIlV6X
오히려 컨디션이 좋다는 증거다!
예전부터 이세돌은 역전승이 특기였다.
인터뷰에서도 기자가 역전승이 많네요 하고 물어보니까,
제가 초반에 수를 잘 못두는 편이라서요 라고 하더라.



ID:RfA4BRrY
바둑 공부를 하려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사들끼리 둔 대국을 보는 것 보다. 프로 VS 아마추어 대국을 보는 게 더 낫다.



ID:60K8DTyL
신문보니까 이세돌하고 구리의 대국은 크게 기사로 났는데
농심 신라면배 바둑 최강자전에서 1승 했던 후지타 얘기는 귀퉁이에 자그맣게 났더라. 아무리 일본 바둑이 지금 약세지만 그래도 이건 너무하네. 이런 취급이면 일본 기사들의 사기가 오르겠냐?



ID:CkBhKZot
7년 연속으로 최하위였는데 2년 만에 겨우 1승한 것 가지고 신문에 크게 나오기를 바라는 게 더 이상한거지!



ID:AGJnB3yI
일본은 아마추어 수준인데 왜 저기 나가는 건지?



ID:LTY+6ObV
일본에는 프로 기사들이 활동할 무대가 거의 없잖아!



ID:6bXiYvv2
내 머리로는 구리의 한수 한수가 무슨 의미로 둔 포석인지 잘 이해되지 않는다.



ID:vNCJw5L5
이번에는 이세돌이 더 단단하게 두네. 



ID:pF+jIFa9
구리 반집 차이로 진 건가?



ID:b5Dblw54
일본은 전부 패자전이군.



ID:X3zhSwdt
이세돌이 이창호의 우승기록을 깰 것 같다.



ID:a8SzgywN
삼성화재배는 이세돌이 벌써 깼다.
이창호가 3번 우승했고,
이세돌이 4번 우승했다.



ID:RRMbPUKI
이세돌의 악착같은 승부욕,
정말 대단하다!






번역기자: 드래곤피쉬
해외 네티즌 반응 전문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모든 번역물 이동시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드래곤피쉬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쇼유기 12-12-13 22:35
   
구리는 이세돌한테 유난히 약한듯?
     
와일뜨 12-12-13 22:47
   
역대전적은 구리가 이세돌에 미세하게 앞설겁니다 아마.
          
천리마 12-12-15 20:17
   
국제대회 성적은 10승 1무 14패, 중국리그 포함한 비공식 대국을 포함하면 16승 1무 17패 입니다. 전에 엘지배 에서 자포자기한 심정으로 포기해 버린 대국 포함해서 입니다.
     
도제조 12-12-13 23:09
   
그 반대아닌가요??
     
IceMan 12-12-14 00:24
   
비공식전 포함 구리가 한판 더 이긴걸로 압니다.

30여회를 싸워서 1승 차이면, 빡빡한 5:5 승부라고 봐야죠.
          
다람이 12-12-14 01:38
   
중요한 결승에서 이세돌과 구리는 두차례 만나서 이세돌이 다 이겼다는.

큰승부에서는 이세돌이 강합니다
               
쪽빛하늘0 12-12-14 12:52
   
잘못 아시는 부분이 있는것 같아서 덧붙입니다.
처음 구리와 쎈돌이 만난건 LG배 결승이었는데 이 당시 쎈돌에게 엄청난 정신적 고통이 따르던 시기였는데, 2:0으로 우승컵을 구리에게 내줍니다.
그리고 바로 한국 바둑사에 처음 있는 휴직을 선언하고 1년정도를 휴직합니다.

그리고 두번째 만남이 BC카드배 결승이었는데 휴직에서 복귀한지 얼마 안되었던 시점.
결승에서 손을 땀을 쥐게 하는 혈전끝에 쎈돌이 3:2로 구리를 물리치고 휴직에 따른
기력저하의 의문을 떨쳐냅니다.

그리고 이번이 세번째인데 반집승 두번으로 우승을 차지하게 된거죠.
구리와 쎈돌의 전적은 쎈돌이 1승정도 뒤집니다.

구리는 세계대회 결승에서 7연속 우승을 하다 복병 원성진을 만나 우승컵을 내준뒤
쎈돌에게 2연패하여 7연속 우승이후 3연속 준우승중이고요.
바라는것은 부디 구리가 이창호의 10연속 준우승 기록을 갈아치워 주길 간절히
바라는 중입니다.^^
                    
사랑투 12-12-14 22:45
   
한국바둑리그 관련한 기원과 마찰로 휴직 했었지요.
안타까웠었는데..
 
바둑은 나이30이 넘어가면 하향세로 돌아서는것 같아요.
집중력도 떨지고 시간제한 때문에 실수가 많아서져 말이죠.
     
조으다 12-12-14 14:23
   
구리가 이세돌 상대로는 꽤 잘해요
     
군자의도리 12-12-14 17:57
   
토탈 16승 1무 17패로 구리가 아직 1승 앞선다는..
          
IceMan 12-12-17 16:20
   
제가 이 얘기를 쓸까말까 하다가 쓰러 왔더니

먼저 쓰셨네요~

^&^
도제조 12-12-13 22:36
   
축구도 국책 야구도 국책 가수도 국책 드라마도 국책 영화도 국책
싸이도 국책 kpop도 국책 스마트폰도 국책 자동차도 국책 tv도 국책
올림픽도 국책 피겨도 국책 양궁도 국책 바둑도 국책 유투브도 국책 아이튠즈도 국책
그외 등등......

대한민국은 돈이 썩어가는 나라인둣
이제 새로운 드립좀쳐라 창조성이없어 쪽발이들
     
아몬드초코 12-12-13 23:20
   
일본 대만은 열도 섬숭이라 그런가 못하는 종목도 비슷비슷하게 못하는게 신기 ㅋㅋ

한국기사하고 바둑두면 스스로 겁먹고 기세에 밀려서 자폭하더군 ..제네는 이미 글렀음
평범남 12-12-13 22:38
   
쯧쯧...맨날 히카루만 빨고 있어라 그래....바둑은 진화하는 스포츠다....뭐 사이?? 인간의 뇌는 끝없이 진화중인데 과연 예전사람이 바둑을 잘둘까 지금 사람이 바둑을 잘둘까.....너네는 그냥 장기나 해...
     
프리메이슨 12-12-13 23:04
   
괜히 그 만화 욕하지는 마시길... 맨 마지막에 주인공이 한국인한테 져서 작가가 우익놈들한테 항의 엄청많이 받았답니다
          
평범남 12-12-13 23:38
   
만화는 저도 좋아합니다...일본 2초를 욕하는거지,,
          
IceMan 12-12-14 00:25
   
아, 그 만화가 그런 내용이에요?

작가가 바둑을 아네요..
          
stabber 12-12-14 03:10
   
단지 그 만화에 나온 기보 한국기사들 것 무단 사용으로 말이 좀 있었고
북두배의 결말에 대해서도 편집부와 오바타는 이기게 해달라고했는데 원
작자인 홋타 유미가 그대로 밀고 가서 콤비가 깨졌다는 말이 있음...
노호홍 12-12-13 22:38
   
역시 바둑 팬은 순수하네요.
     
평범남 12-12-13 22:43
   
순수한게 아닌 해탈인거죠......박지성 싸이 처럼..
니코니코 12-12-13 22:44
   
다행스러운 일이네요
얄밉지 12-12-13 22:50
   
일본은 경제도 시민의식도 바둑도 20년동안 한결같구나. 아무쪼록 앞으로도 한결같은 모습 부탁한다.
천리마 12-12-13 22:50
   
ID:3BvnwykR
이세돌이 이 정도로 강한 건 이세돌 매직처럼 불가사의한 것이 아니다.
상대를 압도하는 강함과 절대로 지지 않는 강함을 같이 겸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
이세돌의 매직 이라는 것은 예전 국수전 에서 윤준상국수 에게 역전승을 했던, 마술같던 그바둑을 말하는 것인가.
배신자 12-12-13 22:51
   
이세돌도 잘하긴 하지만

그래도 아직까진 이창호의 기록은 넘사벽.

이창호 세계대회 23회 우승, 국내대회 40회 우승, 구기전 77회 우승  (통산 140회 우승)

이세돌 세계대회 16회 우승, 국내대회 18회 우승, 구기전 6회 우승 (통산 40회 우승)
     
와일뜨 12-12-13 22:57
   
그래도 기사들 수준이 상향 평준화 된 요즘 춘추전국시대에 16회도 대단한 성적이네요
          
배신자 12-12-13 22:59
   
당연하죠 -0-; 이창호 다음으로 2위의 기록입니다 ㅋㅋㅋㅋ

조훈현 사범 시대에는 세계대회가 많지 않아서 조훈현의 세계대회 우승은 11회 기록이예요 ㅎㅎ;
     
아몬드초코 12-12-13 23:34
   
요즘 기사들은 실력이 평준화되서 예전 이창호같은 그런기록을 가지기란 거의 불가능임..

그래서 이세돌이 대단한거죠
          
쪽빛하늘0 12-12-14 13:11
   
전성기 시절의 실력을 간직한 이창호라면 지금도 세계대회 우승23회는 가능하다고 저는
봅니다.
지금도 정상급 기사들을 상대로 판을 잘짜놓고도 전성기 시절에 나올 수 없는 허망한
수를 둬서 스스로 무너지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지 지금도 그의 기량은 최고 수준입니다.
전성기의 이창호와 쎈돌, 그리고 이창호와 구리가 붙는다해도 이창호가 이기는데 겁니다.
               
천리마 12-12-15 20:25
   
이창호의 전성기가 지나서 이세돌이 태어난 것이 아니라 이세돌의 출현이 이창호를 막은 것이죠. 이세돌은 이창호 바둑을 연구하고 등장 했는데 이길수 밖에 없지요. 조이사제도 마찬가지 입니다. 조훈현의 전성기가 지나서 이창호 에게 진것이 아니라 이창호가 스승이 조훈현의 위를 끌어 내린 것입니다. 이것은 우열의 관계가 아니라 순서의 관계 입니다.
     
아무나아무… 12-12-13 23:38
   
바둑이 세계에 보급이 되서 진정한 의미의 최강자를 가려내는 그런 대회가 언제 열릴지 꿈 같은 일이지만 그때가 기대되네요.
     
IceMan 12-12-14 00:26
   
이창호의 진짜 위대한 점은

실력을 능가하는 인품이지요.

일화가 너무 많지요.
오마이갓 12-12-13 22:53
   
넘 아슬아슬 했어요.
와일뜨 12-12-13 22:54
   
정말 한국인 특유의 힘이 바둑에서도 잘 드러나는것 같아요. 당시 세계를 주름잡던 일본바둑이 한국은 조훈현 말고는 인물이 없다고 무시했다는데, 지금은 오히려 역전돼버렸죠.. 일본은 최정상급 기사라도 중국이나 우리나라 신예에게 쩔쩔매는 정도이니,
     
천리마 12-12-15 20:38
   
우리나라 신예 에게는 이세돌도 자주 지는데 일본은 말할것도 없지요. 프로뿐 아니라, 하성본 아마와 김성진 아마는 2011년에 일본 마이니치 신문이 주최 하는(오픈전.상금 1천만앤) 아함동산배에 나가 김성진은 조치훈을 꺽고 16강 까지 올라간바 있으며 하성봉아마는 일본 프로 8명을 꺽고 8강전 까지 올라가 일본 기계를 진동 한적이 있지요.
한놈만팬다 12-12-13 23:02
   
방숭이들에게 바둑이 웬말이냐??알까기나 열심히해라..ㅋ
반개피 12-12-13 23:05
   
한국은 조훈현 9단을 시작으로 이창호 9단때는 가히 독보라는 말이 어울릴만한 바둑 최강국이었죠.
지금은 춘추 전국 시대이지만 성적만 놓고 보면 솔직히 세계 제 1인자는 이세돌이라고 봄.
매년 빠지지 않고 세계대회를 우승해주니
낭만아찌 12-12-13 23:07
   
ㅋㅋㅋㅋ 잘보고갑니다!!!
Swing 12-12-13 23:12
   
잘보고갑니다 ㅎㅎ
팜므파탈 12-12-13 23:16
   
잘보고가요
fpdlskem 12-12-13 23:30
   
잘 보고 가유~
cybos2004 12-12-13 23:31
   
신의 한수랑께?
모나크 12-12-13 23:35
   
너희들은 그냥 니들 동네에서 고스트 바둑왕이나 찍어.....
IceMan 12-12-14 00:22
   
ㅉㅃ은 이제 바둑에 관심 끄지.

쇼기나 둬라.
바람의파이… 12-12-14 00:24
   
중반에 대형 바꿔치기 하는줄 알았는데 또 그것도 아니더니만 집바둑으로 바뀌더군요...누가 유리한지는 모르겠던데..여하튼 무지 초접전 이었네요..반집승부라니
불청객 12-12-14 00:42
   
잘봤습니다
Chaeja 12-12-14 00:43
   
바둑도 국책이니?
누가보면 우리나라 돈 졸라 많고 정치인들 정치 졸라 열심히 하는줄 알겄네...전부다 국책에 전부다 로비,매수 -_-
꾸리한넘 12-12-14 00:44
   
반집차이라는 게 참 대단함....어떻게 집계산을 그리 정밀하게 하는지....세네집 정도는 어떻게든 눈에 보이긴 하는데 반집은 정말....ㅎㄷㄷ
qnftkwh 12-12-14 00:50
   
이세돌 대단하네요 반집으로 이겨군요... 인천에서 열리는 아시안게임에 바둑 도 정식종목으로 합시다...
qnftkwh 12-12-14 00:52
   
그래도 영원한 바둑의신은 이창호임....
함롱 12-12-14 00:58
   
우리나라 국책은 한 500가지 정도 될거임 재네말로 하자면 ㅋㅋ

이세돌 선수 우측상단을 구리한테 안네준게 신의 한수였네요 ㅎㅎ
잘 봤습니다.
순둥이 12-12-14 01:11
   
두 선수 모두 몸무게 줄었겠네요.

번역 수고하셨어요.
짱개가라 12-12-14 01:17
   
잘 보고 갑니다.
Heizen 12-12-14 01:20
   
ID:y8TRpzJx
해설은 일본이 제일 낫네.
그래 해설이라도 잘해라.

-----------------------------------------

자폭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레이나♡ 12-12-14 19:1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기자신 12-12-14 01:44
   
잘 봤음
마오쩌둥 12-12-14 01:52
   
잘보고갑니다
현금 12-12-14 02:17
   
ㅋㅋ...
stabber 12-12-14 03:08
   
10년전에 이야마 유타가 우리나이로 14세로 프로입단을 했을 때
일본애들이 막 빨아댔지만 현실은 현재 입신인 9단 등극에 일본
7대기전 중 5개 타이틀 보유자....지만 국제기전은 예선통과도 ^^
언제적 하네 나오키, 장쉬, 야마시타 게이고 그나물의 그밥이지요.
아기건달둘 12-12-14 03:39
   
잘보고가요...
천상은하 12-12-14 03:49
   
잘보고가요~!!
레몬과즙 12-12-14 07:07
   
우리나라선수가 이겨서 왠지 기분은 좋네요 ㅎ
잘보고 갑니다.
오캐럿 12-12-14 08:18
   
//드래곤피쉬/님.. 수고하셨습니다.. 삼성화재배, 바둑대회.. 번역 정독으로 잘 봤습니다....^^!
크라잉밥통 12-12-14 09:09
   
뜬금없는 한마디.....

이창호의 위대함 하면 뭐니뭐니해도 농심배의 사투죠.

넘사벽의 개인전적도 뛰어나지만, 국가대항전 마지막 주자로써 피말리는 접전을 승리로 이끌어낸 돌부처.
우리나라는 이창호에게 너무 큰 빚을 졌죠.
모라고라 12-12-14 09:10
   
잘보고 갑니다~ ㅎ
레떼 12-12-14 09:48
   
ID:Dg1aCdo7
과연 국책으로 만들어진 재능이 그 한계를 뛰어넘을 것인가?
---------
미친놈들.. 뭐만 잘하면 전부 국책이라네 -_ -;;;
바둑도 국책으로 되는거였냐?;;
쿠마왕 12-12-14 09:51
   
역시 한결같은 반응
번역잘보고 갑니다.
풍류공자 12-12-14 10:19
   
원숭이들도 바둑을 두나? ㅋㅋㅋㅋ
ibetrayou7 12-12-14 10:25
   
번역자님 고생하셨어요^^
조현영 12-12-14 10:50
   
일본 바둑은 완전 망했네요... 지금두 그닥 눈에띄는 유망주 조차(!)없음...
어렸을때 다케미야 바둑에 엄청 꽂혔었는디 ㅋㅋㅋ 90년대초 까진 일본기사두 볼만한 기사 많았는디...
     
천리마 12-12-15 20:47
   
맞습니다. 이번 중국 베이징 에서 열린 세계스포츠 어코드 마인드게임즈의 바둑 분야를 보면 이제는 대만 에게도 밀리는듯 합니다.
대빵이 12-12-14 13:53
   
잘 보았습니다
팜므파탈 12-12-14 16:15
   
잘보고갑니다 ㅎㅎ
우왕ㅋ굿ㅋ 12-12-14 16:22
   
잘보고 갑니다
♡레이나♡ 12-12-14 19:11
   
잘보고갑니다^^ ㅎ
가출한술래 12-12-14 20:20
   
잘보고 갑니다^^
듀란트 12-12-14 23:54
   
근데 이창호-이세돌 이 다음에 후계자 있냐? 다 븅신인것 같ㅇ던데
     
천리마 12-12-15 20:50
   
보통은 박정환 이라고 생각 했는데, 이번 북경에서 열린 스포츠어코드를 보면 아직 아닌듯 하고, 그외 나현 프로를 비릇한 신예들이 몇몇 있지요.
블루★ 12-12-15 06:48
   
세돌아~
넌 역시 믿을 수 있는 기사야~
축하한다...!!! ^^
천리마 12-12-15 20:58
   
2012 스포츠어코드 세계마인드게임즈가 중국 베이징 국제회의센터에서 지난 12월 11일 개막한바 있는데 남자기사 부문은 한국의 최철한 구단과 강동윤구단이 결승에 안착해 있기 때문에 금,은메달을 확보 하고 있습니다.
이것도 스레드가 있다면 번역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fpdlskem 12-12-16 10:29
   
* 비밀글 입니다.
호놀룰루 12-12-16 22:54
   
재방은 어디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