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미안한데” 먹먹한 가장들…국민 2명중 1명은 벌써 ‘결단’ 내렸다

입력
수정2023.12.13. 오전 9:31
기사원문
이윤재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경협, 새해 소비지출 계획 조사
국민 52.3% “내년 소비 더 줄여”
소비 감소 주된 원인은 ‘고물가’


서울 시내에서 은행 ATM 기기를 이용하는 시민들. [매경DB]
국민 10명 가운데 5명 이상은 내년에 소비지출을 줄일 계획인 것으로 나타나 내년에도 가계소비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7∼30일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국민 소비지출 계획 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2.3%는 내년 소비지출을 올해보다 축소할 계획이다.

다만 소비지출을 줄이겠다는 응답은 지난해 같은 조사의 집계치(56.2%)보다는 3.9%포인트 감소했다.

한경협은 민간 소비가 올해 큰 폭으로 둔화한 가운데 내년에도 이같은 추세가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소비 부진의 강도는 올해보다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 내년에 소비지출을 늘릴 계획이라는 응답 비율을 소득수준별로 보면 소득수준이 가장 낮은 1분위에서 가장 낮게(35.5%) 나타났다. 이어 2분위 42.6%, 4분위 47.9%, 3분위 52.1%, 5분위 60.9% 순이었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소비 지출 확대 여력이 더욱 없는 것으로 풀이된다.

소비지출을 축소하고자 하는 주된 이유로는 고물가(43.5%)가 꼽혔다. 실직 우려 증가 또는 소득 감소 예상(13.1%),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증가(10.1%), 자산 소득 및 기타소득 감소(9%)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 감소 대상으로는 여행·외식·숙박(20.6%)이 가장 높았다. 이어 여가·문화생활(14.9%), 의류·신발(13.7%) 등 순이었다.

부족한 소비 여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부업 및 아르바이트(42.2%), 예·적금 등 해지(22.2%), 주식 등 금융자산 매도(15.4%) 등을 선택했다.

소비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과제로는 물가·환율 안정(43.6%), 금리 인하(16.1%), 세금 및 공과금 부담 완화(15.4%) 등이 제시됐다.

추광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과도한 부채 부담과 고금리·고물가로 가계의 소비 기초체력이 취약한 상황으로, 내년에도 소비지출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라며 “금융 부담 완화 노력과 함께 기업투자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 확대로 가계의 소비 여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