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10-27 11:50
[한국사] [역사툰] 중국의 콧대를 꺾은 조선의 천재들
 글쓴이 : 레스토랑스
조회 : 1,454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027/486263/789752372/818196026/4ace856bd69619912cb046de51ff5bc3.JPG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027/486263/789752372/818196026/fe28adbdae341b0aff40e9c2574b542b.JPG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027/486263/789752372/818196026/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JPG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027/486263/789752372/818196026/1f48ac9adcc67198daab4bd550b0aeae.JPG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027/486263/789752372/818196026/e84d8a296b4db3da3d6d2fcb9fc8e3d7.JPG

#국경을 초월해 우정을 나눈 조선-명나라 천재 문사들


아래는 실제로 예겸과 성삼문, 신숙주가 주고 받은 시문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027/486263/789752372/818196026/75371c37e150649ce3b01a22647e9795.JPG

오른쪽 예겸의 친필글씨, 왼쪽은 신숙주의 친필글씨 




예겸의 친필 시 해석(오른쪽)

보검을 받은 은혜를 입어서 작은 시 한편을 지어 감사하는 마음을 드리려하니 번개같이 봐주시기를 바랍니다.

옥갑(玉匣)에서 이름난 칼 꺼내니/ 

금고리에 채색끈 묶여 있구나/

구야(歐冶)의 손을 거쳐 만들어지고/ 

되강오리 기름 발랐으니 윤이 나겠지/

가을 개천에선 숫돌 갈며/ 

휘두를 때는 눈보라 쏟아낸다/

문방(文房)이 배(倍)나 더 무거워졌으니 /

호조(豪曺:구야가 만든 검)는 응당 셈에 넣지 않으리/

범옹(汎翁),근보(謹甫) 두 지원(知院) 현계(賢契)에게 예겸(倪謙)이 씁니다.





신숙주의 친필 시 해석(왼쪽)

삼가 높으신 운을 이어서, 조사(詔使) 내한(內翰) 선생 문궤(文几)에 받들어 올립니다.

굳센 글 빼어나 예리한 칼 뽑은 듯하여/

가을 매가 갓끈 풀고 훨훨 나는 것만 같구나/

대인의 고상한 말씀은 옥가루 날리듯하고/

대인의 온화한 기운은 난초처럼 촉촉하네/

유림(儒林)의 우뚝 솟은 기둥이시고/ 

학해(學海)의 넓고 깊은 큰 물결이라네/

대롱처럼 좁은 소생의 식견 그저 보잘 것 없어서/ 

곁에 모시는 우리들은 정말 부끄러울뿐/

고양후학(高陽後學) 신숙주가 머리를 쪼아리며 올립니다.




*역자 주: 범옹(汎翁): 신숙주의 자(字)/*근보(謹甫): 성삼문의 자(字)/*지원(知院): 추밀(樞密)을 담당한 관리/*현계(賢契) :동년배에 대한 존칭/*조사(詔使): 황제의 조서를 받든 사신/*내한(內翰): 한림원 학사의 별칭/*문궤(文几): 책상 또는 문인에 대한 존칭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027/486263/789752372/818196026/379dc50866b071d002963209e8661716.JPG


오른쪽 예겸의 친필글씨, 왼쪽은 성삼문의 친필글씨 



예겸의 친필 시 해석 (오른쪽)

운(韻)을 써서 근보(謹甫) 지원(知院) 영계(英契)에게 답하여 드립니다.

이별의 슬픔, 눈빛으로 나타내어 두마음 다 아니/

바삐 다니며 나를 송별한 지금을 영원토록 생각하리/

방안에 들어간 지란은 아름다운 덕의 향기 피워내고/

하늘을 향한 송백은 기이한 자태를 잃지 않네/

정은 마자의 물처럼 마르지 않고/

시는 조아의 글처럼 절묘하구나/

이별 뒤의 슬픔 견디며 누가 길동무를 해주리오/

산꽃만이 길 떠나며 풀들과 헤어지누나/

*역자주: 영계(英契): 동년배에 대한 존칭



성삼문의 친필 시 해석 (왼쪽)

높으신 운(韻)을 다시 이어 봉별하옵니다. 


서로 만나던 그날, 마음 알아 기뻤는데/ 

이별하고 나면 얼마 후에 다시 만날까요/


학령에 구름이 차고 섣달 눈이 날리건만/

압록강 푸른 파도에 봄빛만은 완연하리라/ 


금낭엔 어린 종이 담을 시가 부족할 뿐/ 

말술은 원래 번쾌도 사양치 않았다오/ 


천리 길에 공을 보내는 이 마음 둘 데 없으니/ 

한 잔 술로 남포에서 차마 이별할 뿐입니다/


창녕(昌寧) 성삼문이 절하고 드립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촐라롱콘 17-10-27 12:17
   
내용의 맥락에는 전혀 영향이 없지만.....
단종복위사건이 일어난 세조 2년은 1454년이 아닌 1456년입니다.

원글 저자가 아마도 계유정란이 일어난 1453년을 세조1년으로 착각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세조는 1455년에 즉위했습니다.
 
 
Total 5,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91 [한국사] 갱단사기단이 "결사 은폐"중인 평양유적들의 진실 (12) 징기스 10-28 1978
1890 [한국사] 예맥을 동예로 창씨개명 시킨 사람이 누구죠 ? (12) 도배시러 10-28 1415
1889 [한국사] 고구려도 결국은 중국질서에 포함된 조공국이였다? (7) 로터리파크 10-28 1611
1888 [한국사] 이덕일은 환빠인가? (7) 감방친구 10-28 1873
1887 [한국사] 갈수록 가관이네 동아게를 환빠가 아예 점령했구만.. (18) 루리호 10-27 1356
1886 [한국사] 역대 존재했던 한민족 국가 중 (9) 화톳불 10-27 1254
1885 [한국사] 간도 임시정부와 하얼빈 협정 (5) 감방친구 10-27 1854
1884 [한국사] 산해경에 나오는 삼한(한안)의 위치 (2) 도배시러 10-27 1061
1883 [한국사] 간도와 조중변계조약 (24) 감방친구 10-27 2625
1882 [한국사] [역사툰] 중국의 콧대를 꺾은 조선의 천재들 (1) 레스토랑스 10-27 1455
1881 [한국사] 제가 요서경락설을 찾다가 흥미로운 주제를 찾았습… (4) 탈레스 10-26 1052
1880 [한국사] 요즘 갱단 물타기 수법이 바뀌었군요 (10) 징기스 10-26 840
1879 [한국사] 요서백제는 엄연한 史實입니다.개인적으로 요서백제… (39) 성물세라핌 10-26 1260
1878 [한국사] 중국의 돈벌이로 전락한 고구려 역사 (7) 징기스 10-26 1695
1877 [한국사] 한사군에 대한 궁금증 (11) 탈레스 10-26 908
1876 [한국사] 역사 팔아먹는 갱단에 해마다 1,000억 지원??? (9) 징기스 10-26 1285
1875 [한국사] 이덕일 소장, 내일 갱단의 낙랑교치설을 심판한다 (5) 징기스 10-26 804
1874 [한국사] 마한. 진한. 변한 (4) 공무도하 10-26 2206
1873 [한국사] 소름 끼치는 일 (18) 감방친구 10-26 1913
1872 [한국사] 한글에 띄어쓰기를 최초로 도입한 사람 (8) 레스토랑스 10-25 2036
1871 [한국사] 신미양요와 자랑스러운 조상님들 (9) 감방친구 10-25 2024
1870 [한국사] 외국인이 찍은 최초의 조선땅 사진은? (5) 레스토랑스 10-25 2681
1869 [한국사] 우리 역사의 계보 (9) 감방친구 10-25 1747
1868 [한국사] 고구려의 영향과 유산 (2) 감방친구 10-25 1263
1867 [한국사] 지금 학계에서 (5) 인류제국 10-25 972
1866 [한국사] 요·금·원·청은 중국사 아니다 " 2007년 국회~토론회 (6) 러키가이 10-25 1541
1865 [한국사] 근데 한국사에서 가장 아쉬운게 위만조선 멸망아닌… (11) 설설설설설 10-24 1840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