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12 20:00
[한국사] 미국토목학회는 ‘역사적인 토목 구조물 상’의 수상 대상으로 수원 화성을 선정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1,464  

수원 팔달문.jpg

미국토목학회는 ‘역사적인 토목 구조물 상’의 수상 대상으로 수원 화성을 선정했다. 이 상은 완성된 지 50년이 넘고, 토목공학 역사상 특별한 독창성과 의미를 갖고 있는 구조물에만 수상한다. 미국토목학회는 수원 화성의 선정 이유에 대해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설계로 쌓은 성곽임을 인정했다”고 밝혔다.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수원 화성은 당시 건축물 중 가장 혁신적인 사례로도 널리 인정받고 있다. 우선 화성은 그 이전 시대에 조성된 우리나라 성곽과 구별되는 새로운 양식의 성곽으로서, 동서양 건축의 융합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전통적으로 한국의 성곽은 평상시에 거주하는 읍성과 전시에 피난처로 삼는 산성을 기능상 분리했다. 그런데 화성은 피난처로서의 산성을 따로 두지 않고 평상시 거주하는 읍성에다 방어력을 강화시킨 개념이다.

이에 따라 규칙적이거나 대칭의 형태를 취하기보다는 땅의 지형에 따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조선의 정통 양식을 보여주지만, 축조에 사용된 건설 장비나 방어시설 등은 서양의 것을 응용하고 있다. 이는 그 당시에 발달한 실학사상이 화성의 축조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군사지휘소 역할을 하는 서장대를 비롯해 외부와의 통신 시설인 봉수대, 깃발을 흔들거나 쇠뇌를 쏘는 노대 등 화성에는 다양한 군사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속이 비었다는 뜻의 공심돈은 비상시 성곽 주위의 적의 동향을 살피기 위한 망루로서 화성에서 처음 나타났다. 이처럼 다양한 군사 및 방어시설을 갖춘 성곽은 우리나라에서 화성이 유일하다.

수원 화성은 다른 성에 비해 성벽의 높이가 4m 정도 낮은데, 여기에도 과학적인 요소가 숨어 있다. 임진왜란 등 이전의 전쟁에서는 주로 병사들이 성을 타고 넘어 점령하는 방식이었지만, 18세기에는 화포로 성벽을 쏴서 무너뜨리는 형태였기 때문이다. 즉, 화포의 발달로 성벽이 높으면 오히려 대포의 표적이 되어 무너지기 쉽다는 점을 고려한 설계였다. 성벽의 높이가 낮으면 대포를 맞더라도 타격이 그리 크지 않아 성을 사수하는 데 유리하다.
화성은 성벽 재료도 기존의 성곽과 차이가 있다. 기존 성의 경우 자연석이나 다듬은 화강암을 사용한 데 비해 화성에는 화강암과 더불어 주로 벽돌이 많이 사용되었다. 화강암은 강도는 강하지만 돌과 돌의 이음새가 딱 들어맞지 않아 화포 공격시 쉽게 허물어지지만, 벽돌과 석회로 벽을 쌓고 흙을 채우면 화포의 강한 공격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기 때문이다.
정약용이 정조의 명령에 따라 화성을 처음 설계할 당시 완공까지 약 1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화성은 착공된 지 34개월 만인 1796년 10월에 낙성연을 치렀다. 중간에 더위로 공사를 중단한 6개월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28개월 만에 완공된 셈이다.

화홍문 2.jpg



이처럼 예상 공사 기간의 1/5로 단축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실학자 정약용이 고안한 혁신적인 발명품 덕분이다. 대표적인 것이 현대의 기중기 같은 용도로 사용한 거중기다. 거중기는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해 무거운 돌을 드는 데 사용한 기계인데, 고정도르래뿐만 아니라 움직도르래를 도입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고정도르래의 경우 물건의 중량에 해당하는 힘을 주어야만 들어 올릴 수 있지만, 움직도르래는 1개씩 늘어날 때마다 필요한 힘이 절반씩 줄어든다. 따라서 40근 정도의 무게가 나가는 거중기 한 대가 2만5000근의 무게를 움직일 수 있었다.
또 지금의 크레인처럼 무거운 돌을 원하는 위치로 옮길 수 있는 녹로를 비롯해 바퀴 앞과 뒤로 올리고 내릴 수 있는 수레로서, 캐고 다듬은 돌을 실고 수렛길을 통해 성을 쌓는 곳으로 옮기는 유형거도 정약용이 설계한 발명품이다. 화성 축조에는 거중기 11량, 녹로 2좌, 유형거 11량이 투입됐다.
조선시대 때만 해도 화성 같은 나라의 큰 공역을 할 때 백성들을 모아서 강제로 일을 시켰다. 하지만 화성을 축조할 때에는 부역 노동 대신 기술자와 백성들에게 일한 만큼 돈을 주는 노임제를 실시했으며, 공사에 사용되는 돌도 크기에 따라 차이를 둬 돈을 지불했다. 이 같은 노임제는 장인들의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혁신적인 역할을 했다.

방화수류정 2.jpg





화성 축조에는 석공 642명, 목수 335명 등 1800명의 장인이 동원되었다. 공사비용은 80여만 냥, 쌀 1500석, 석재 20만1400덩이, 일반목재 2만6200주, 기와 53만장, 벽돌 69만5000장이 소요됐다. 당시의 물가 및 인구 등을 고려해 추정할 경우 화성 축조에 소요된 총 비용은 현재 기준으로 약 25조원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처럼 공사에 관한 내용을 상세히 알 수 있는 것은 화성을 지은 후 1801년에 간행된 ‘화성성역의궤’ 덕분이다. 10권 8책으로 간행된 이 책에는 공사 일정 및 사용 자재 수량 등을 비롯해 감독관 및 기술자의 인적 사항과 작업 내역, 공사 수행 중에 오간 공문서, 전체 공사비용의 수입 및 지출내역 등이 상세히 적혀 있다. 즉, 수원 화성은 건축실명제가 실시된 세계 최초의 건물이기도 하다.

수원 화성은 축조 이후 일제강점기를 지나 6․25전쟁을 겪으면서 성곽의 일부가 파손되어 없어졌으나 1975년~1979년까지 대부분 축성 당시 모습대로 복원되었다. 이 역시 화성성역의궤의 상세한 기록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국산아몬드 18-05-12 20:14
   
세계최초의 계획도시이자 축조과정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고 과학적인 구조를 가진점은 수원화성의 장점입니다

그런데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세계사적 진보는 아닌 것 같습니다
거중기와 비슷한 기구는 서양, 중동에서 기원전부터 사용되지 않았나요? 공심돈은 중국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거고. 수원성 축조에 새로운 도구나 기술은 없었던 걸로 아는데
     
화난늑대 18-05-12 21:45
   
거중기등의 기구를 사용했다 해서
기술적 진보라고 말하는게 아니네요
히스토리2 18-05-12 20:24
   
미국 토목학회 수상에 대한 이유를 적은 기사입니다. ^^
운드르 18-05-12 23:09
   
거중기는 단 1량 사용되었다고 알고 있었는데...
6시내고환 18-05-13 18:52
   
정말 자랑스럽네요 제가 가장사랑하는 문화재입니다 좋은 소식 가르쳐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Total 19,98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5953
19981 [한국사] 2. 고조선 제국과 고대 요동 끝판 정리 (8) 아비바스 04-25 208
19980 [한국사] 낙랑국이 제3의 지역에 있었다는설이 생겼네요 (1) 대한국 04-25 221
19979 [한국사] 막강했던 고대 한민족 예맥족의 활동 범위는 만주를 … (17) 아비바스 04-23 408
19978 [한국사] 서한초 요동의 위치 하이시윤 04-22 278
19977 [세계사] 고구려가 초기, 전쟁 원문 기사가 더 있을까요?. (4) 아비바스 04-22 301
19976 [한국사] 안시성의 위치에 대한 의문 (2) 위구르 04-21 360
19975 [세계사] 역사 유튜버들이 사용하는 초대형 위성 지도 4 ( 16K ) … (18) 아비바스 04-20 444
19974 [세계사] 역사 유튜버들이 사용하는 초대형 위성 지도 3 ( 16K ) … (1) 아비바스 04-20 245
19973 [세계사] 대륙별 실제크기 하이시윤 04-20 334
19972 [세계사] 역사유튜버들이 사용하는 세계 위성 지도 3 ( 8K ) (1) 아비바스 04-19 340
19971 [세계사] 역사유튜버들이 사용하는 세계 지도 2 ( 2.5K ) 아비바스 04-19 280
19970 [세계사] 역사유튜버들이 사용하는 세계 위성 지도 ( 2.5K ) (8) 아비바스 04-19 316
19969 [기타] 역사란...사관이란... (6) 윈도우폰 04-17 339
19968 [한국사] 역사학자의 위치비정 2 (4) 하이시윤 04-17 343
19967 [한국사] 역사학자의 위치비정 논문 일부 (5) 하이시윤 04-17 291
19966 [한국사] [역사지리 #4] Quiz의 답안 - 내가 생각하는 열국의 위… (12) 윈도우폰 04-08 561
19965 [한국사] [역사지리 #3] 부여의 위치 추정 (4) 윈도우폰 04-07 715
19964 [한국사] [역사지리 #2] 고조선 시대의 열국의 위치 추정 (2) 윈도우폰 04-07 511
19963 [한국사] [역사지리 #1] 한반도와 만주의 지형 (소국 들의 위치 … 윈도우폰 04-07 553
19962 [기타] 민족의 친연성에 대해 (1) 관심병자 04-07 394
19961 [한국사] 가설을 세우는데는 출처가 필요없죠 (16) 하이시윤 04-07 458
19960 [기타] 출처를 다는 건, 남녀노소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것입… (11) 아비바스 04-05 410
19959 [한국사] 소위 말하는 시민사학자들이 가생이 동아게에 계시… (7) 하이시윤 04-02 707
19958 [기타] 무식한 사람은 역사나 학문을 말하기 전에 기본을 갖… (2) 윈도우폰 04-02 431
19957 [한국사] 역사를 학문으로 받아드린다면 이렇게 해야 한다. (9) 아비바스 04-02 546
19956 [한국사] "정보" 를 다루는 사람들은 "출처" 를 달아야 맞습니… (11) 아비바스 04-01 496
19955 [한국사] 역사에 있어 사료나 증거라는게 그렇게 중요한가??? (3) 윈도우폰 04-01 546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