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유머 게시판[1] [2]
HOME > 커뮤니티 > 유머 게시판
 
작성일 : 23-03-29 12:49
[안습] 트윗+웃대] 공부 잘하는법 3가지 원칙.jpg
 글쓴이 : 드슈
조회 : 3,175  

41.jpg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카티아 23-03-29 12:54
   
스포츠, 예능, 예술, 공부중..

가장 유전자의 영향이 큰게 공부라고...

아무리 자리에 싸매고 앉아서 공부해도 머리좋은놈 못이김...
     
빛둥 23-03-29 13:31
   
제 주위를 보면, 스포츠>예술>공부 순서로 유전의 영향이 큽니다. 즉, 아버지와 어머니가 운동 잘 했으면, 자식도 운동 잘 한다는 말입니다.

공부 잘한 부모가 있어도, 자녀도 잘하는 경우는 (있기는 있지만) 별로 많지 않더군요.

DNA 유전의 생물학적 원리를 생각해 봐도, 유전자라는게, 근육의 발달같이 스포츠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두뇌 활용의 세부 분야인 공부에는 그리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왜 많은 사람들이 '공부'를 유전이라 생각하는가?

그건, 공부(결국 시험성적)의 급격한 향상이 특정 나이 이후에는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왜 급격한 향상이 쉽지 않을까요? 저는 공부(성적)이 향상되려면, 기초적인 것이 축적되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사칙연산을 잘 해야, 인수분해를 할 수 있고, 인수분해를 잘 해야 이차방정식을 풀 수 있고, 이차방정식을 풀 수 있어야 미적분 문제를 풀 수 있고... 이런 식으로 단계가 있다는 말입니다. 그러니 한꺼번에 향상할 수가 없는 거죠. 그래서 자꾸 사람들이 유전, 유전...이라고 하는 것 뿐입니다.
          
강냉이수염… 23-03-29 14:44
   
공부가 가장 유전 영향이 크다는 말은 학자들이 연구한 결과입니다.
아마 저기서 말하는 공부는 대학 입시 시험이나 그런 공부를 말하는게 아닐 공산이 크다고 생각해요.
저런 말 하는 사람들의 기준은 우리가 생각하는것 보다 높을 경우가 허다해서요.
셀트리온 회장만 해도 자신은 평범하다고 하는데 스펙보면 절대 평범하지 않습니다.
주위에 지인들이 다 서울대니 자기도 평범하게 설대 나왔다 같이 평범의 기준이 높은거죠.

아마존의 창립자인 베조스는 스스로 공부를 잘했다고 말했고, 실제로도 프리스턴 대학에서 이론물리학을 전공 했습니다.
성적도 좋았고 이론물리학자가 목표였죠.
그런데, 학교에서 진짜 천재를 보고 포기했습니다.
저기서 말하는 공부는 입시나 고등학교 수학 같은게 아닌
스포츠 처럼, 세계적인 프로 레벨에 올라가려면 운동보다 공부가 유전적 영향이 더 크다는 말 같아요.

기초 탄탄하게 가르친다고 해서 아인슈타인 같은 인재를 마음데로 뽑아낼수 있는건 아니잖아요.
               
빛둥 23-03-29 15:02
   
결국 '공부가 유전 영향이 크다'라는 명제에서,

'공부', '유전', '영향이 크다'라는 각각의 단어/문구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얘기가 달라지는 겁니다.

하지만, '공부'는 일반적인 '운동'의 유전과 다르다는 게 제 요점입니다.

아무튼, 교수급 공부를 한 사람을 기준으로 삼는다면, 교수의 자녀가 교수를 하는 경우도 꽤 있으므로, 유전이 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운동' 유전의 경우 (부모 모두 운동선수인 경우) 100프로에 가깝게 자녀가 운동을 잘하는 것에 비해, '공부' 유전은 '공부'를 못하는 자녀도 꽤 있기 때문에 기작이 다릅니다.

기초를 탄탄하게 가르친다고 해서 아인슈타인 같은 인재를 마음대로 뽑아낼 수 없다는 얘기는, 현재 아인슈타인 급의 지식을 갖춘 사람은 세계적으로 수백/수천명이나 된다는 것을 감안해서 생각해야 합니다. 그만큼 아인슈타인이 살던 시대와 비교해, 지금 시대에 교육이 보편화되면서, 아인슈타인급 학자가 되기 위한 지식을 이미 쌓은 사람이 많아진 겁니다. 다만, 새로운 지식을 지식의 탑에 더 높게 올리기 위해 들어가야 하는 노력이, 아인슈타인이 살던 시대에 비해 더 높아졌기 때문에, 아인슈타인급 지식을 갖운 사람이 수백/수천명이라고 해도, 그 이상의 새로운 지식이 쉽게 안 나올 뿐입니다.
                    
강냉이수염… 23-03-29 15:52
   
제가 말하고자 하는것과 논점 자체가 다르네요.
일단, 저는 공부와 운동중 어느쪽이 유전자 영향이 큰가에 대해서 말한게 아닙니다.
공부가 유전적 영향이 더 절대적이라는 논문이 나왔었다 이건 말했지만, 그게 옳다 그르다 말한게 아닙니다.

님이 공부의 수준을 고등수학이나 수능에 빗대어 재능보다 기초가 탄탄해야 한다고 한 말에 대해서 말한 거였습니다.

우리가 덧셈 뺄샘을 두고 재능빨이다. 노력이 중요하다 말하지 않듯이
저 정도 되는 학자들이 말하는 공부는 고등수학을 넘어선 공부를 말하는게 아닐지 그런 종류의 이야기 였습니다.

님 말데로 교육이 보편화되고 기초 탄탄하게 해서 가르치면 노력으로 고등수학을 대부분 할 수 있는데, 기초탄탄하게 해서 누구나 올라설 수 있는 고등학교 공부를 논문으로 운동보다 공부가 유전적 영향을 더 받는다 라고 할 것 같진 않아서요.
                         
빛둥 23-03-29 16:22
   
얘기를 하다보면, 서로 다른 논점과 정의(Definition)으로 얘기하고 있다는 것을 찾곤 합니다. 그건 잘못이 아니고, 서로 다른 얘기라는 것만 확인하면 됩니다.

저는 특히 생물학을 전공한 사람이라서, (논문작성 수준이든, 수능 수준이든) 공부가 DNA외의 방법으로 유전된다는 것에 거부감을 나타낼 수 밖에 없습니다.

사칙연산(덧셈, 뺄셈 포함)-인수분해-이차방정식-미적분, 이런 순서로, 앞부분을 잘 이해해야 뒷 부분을 이해할 수 있다고 말씀드린 적 있습니다. 하지만, 앞부분이라고 해서 완벽히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노력이 들어가야죠. 연습도 별로 안 하고, 다 이해했다고 하는 학생들을 기초가 튼튼한 사람이라고 얘기하는 것 아닙니다.

그리고 수능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이든, 아인슈타인이 풀던 더 차원 높은 수학이든, 근본 원리는 똑같습니다. 먼저 선행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들이 있고, 이것들을 이해해야 그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은 똑같다는 겁니다.

교육이 보편화되고, 기초를 탄탄하게 가르치면 노력으로 고등수학을 대부분 할 수 있다고, 제가 정확히 그렇게 주장한 적은 없습니다만... 현실적으로 고등수학으로 밥먹고 사는 사람이 적고, 중간에 때려치우는 사람이 많아서 그렇게 되지 못할 뿐이지,

아인슈타인이든, 흥미가 없고 맨날 놀아서 고등학교 졸업 후 수능시험 문제를 전혀 풀지 못하는 학생이든, 수학(다른 학문도 마찬가지)을 아래 단계부터 하나하나 이해해서 올라가면, 언젠가 아무리 어려운 것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에는 동감합니다.

사실 저의 이런 생각이 과학자 사이에서 보편적이기 때문에, 아인슈타인이 자기 뇌를 연구에 기증하고 사망했지만, 현재 뇌과학자 중에 특별히 아인슈타인의 뇌를 연구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아인슈타인의 뇌든, 일반 사람의 뇌든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니까요. 그냥 아인슈타인은 수학과 물리학 지식의 계단을 하나하나 올라가서, 상대성 이론의 계단에 먼저 도착한 사람일 뿐입니다.

아인슈타인은 자연의 4가지 힘을 통합하는 원리, 즉 '통일장 이론'을 연구하다가 달성하지 못하고, 사망했죠. '통일장 이론'은 아직도 아무도 완성하지 못했습니다. 대신 중력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힘(강력은 애매함)은 통합이 되었죠. 그 통합을 이룬 사람들은 노벨상을 탔습니다. 아인슈타인보다 훨씬 지식의 단계를 높이 올라간 사람이 수백, 수천명이라고 한 건, 이런 사람들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직까지 아인슈타인이 완성하지 못한 '통일장 이론'도 언젠가는 달성될 것이고, 천문학쪽에서 기존의 연구와 다른 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그 쪽을 연구하다보면, 인류는 또 새롭고 놀라운 지식을 발견할 것입니다. 다만, 그 단계에 필요한 지식의 단계(비유적으로는 계단)가 높아서 어려울 뿐인 겁니다.
                         
강냉이수염… 23-03-29 16:39
   
쓰다보니, 제가 쓴 고등수학의 공부를 기준으로  하지는 않았을 것 같다는 말은 제가 잘못 적은것 같다는 생각은 드네요.
재능에 따라 습득의 속도가 다를 테니까요.
                    
건달 23-03-29 16:00
   
학자들이 연구한 공부 라는 개념은
이를테면 직업이 공부인걸 말하는 겁니다. 박사급 이상에서 연구활동을 업으로 삼는 걸 말하는 거죠.
대중들이 말하는 공부는 대학 입학하는 정도 입니다.
대학이 워낙 많으니까 수도권이나 지방의 유명 대학 정도는 되겠죠.
본문 글 역시 아인슈타인을 목표로 하는 공부일리는 없겠죠
                    
강냉이수염… 23-03-29 16:01
   
그리고 카타야 님도 제가 언급한 논문 뉴스를 보고 말하신것 같은데
공부가 제일 유전자 영향이 크다는 말은
부모의 유전자가 자식에게 이어지는 그런 유전자 이야기 하는게 아닙니다.
이건 님이 오해하고 자구 부모가 운동선수일 경우 교수일 경우 이런식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조던이나 타이슨 처럼 세계적인 운동선수들에게 연습과 재능의 비율 수치화하고
학자들도 공부 시간과 재능을 수치화해서 공부와 운동등 어느쪽이 더 적은 노력으로 성취를 얻는가 발표한 논문으로 압니다.
공부나 운동등 어느방면이 재능으로 인해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분야인가 그런 논문으로 알아요.

부모 자식 유전자가 어떻게 되고 부모가 운동선수라 자식이 유전되서 자식도 재능이 있고 그런 이야기는 논문에 없는 걸로압니다.
체사레 23-03-29 12:56
   
머리 좋은 게 우선 아닌가.........
ㅇㄹㄴ 23-03-29 13:05
   
공부 머리가 따로있음
hell로 23-03-29 13:16
   
버퍼가 차고난뒤엔 둘중 하나..
들어가는듯 빠지든가 들어있는게 빠지든가..
빛둥 23-03-29 13:17
   
내가 생각하는 공부 잘하는 방법 3가지.
1. 좋아하고 관심있는 것부터 시작해라. 그래야 졸지 않고 효율이 나온다. 무협지를 읽어도 좋고 만화를 봐도 좋다.
2. 국어 실력이 생각 이상으로 중요하다. (좋아 하는 분야를 선택했으면) 읽어라. 읽어라. 또 읽어라.
3. 좋아하는 것에 대해 많이 읽다보면, 자연히 궁금한 것과 확실히 모르는 것이 생길 것이다. 이제 찾아라. 또 찾아라. 세상이 계속 좋아져서, 교과서로 부족하다 싶으면 특정한 궁금증을 설명하는 웹사이트도 많고, 사전이나 백과사전은 엄청 잘 되어있다.
빛둥 23-03-29 13:23
   
그런데 '공부'와 '시험'은 미묘하게 다릅니다.

마치 무협에서 말하는 '내공'과 '외공'처럼. 내적 실력이 쌓인 후에도, 외부로 나타나는 모습이 비례하지는 않는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공부'를 잘하는 방법 외에, '시험'을 잘치는 방법 3가지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1. 시험은 '기출'문제가 제일 중요합니다. 수능이든, 토익이든, 무슨 시험이든간에 '기출'에 살고 죽어야 합니다. '기출'문제를 모두 모으고, 가능한 한 다 풀어보세요. 그러면, 무엇을 중점적으로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감이 잡힙니다.
2. '기출'문제를 파악했으면, 실전과 최대한 같은 환경으로 모의 시험을 치세요. 대충 한번 쳐본다는 생각이 아니라, 시험때만큼 최대로 피치를 올려서 쳐 봐야 합니다. 스포츠경기의 '연습'과 같습니다. '연습'은 실전처럼 해야 효과가 있습니다.
3. 잠을 몇 시간 자야 한다든지, 순공부를 몇 시간 해야 한다든지, 이런 숫자에 집착하지 말고, 자기 실력을 객관화해서 판단하는 게 중요합니다. 2번을 충실히 했으면, 그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면 자기객관화가 잘 될 겁니다.
꼬우꼬우 23-03-29 14:06
   
그냥 공부잘하는건 성향인듯

암만 머리 좋다고 해도 다 공부 잘하는것도 아니고
진실게임 23-03-29 15:17
   
같은 머리라면 정서적 안정이 가장 중요하고 그건 자상한 부모와 편안한 가정이 만들어 주는 거.

그래서 잘사는 집 아이들이 상위권 성적을 거두는 게 본래 당연한 거.
하관 23-03-29 19:06
   
중요한것만 외우라고해서.. 중요한것만 외우려고 했는데...
세상에서는... 뭐가 중요하고.. 뭐가 중요하지 않는지 명확하지 않더라...
Durden 23-03-29 20:31
   
글쎄. 그럼 서울대 신입생 대부분이 강남에서 나오는건 그 쪽에만 공부 잘 하는 기운이 흐르기 때문인가? 그럴리가 없지. 공부는 습관이고 시험은 테크닉이고 수험은 환경임.
삼족오m 23-03-29 20:32
   
그냥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3까지
무조건 원리를 이해하는 법과
원인을 찾아가는 과정만 죽어라 가르치고 반복하면 좋겠음
그 교육법이 현재의 교육법 보다 인생을 더 행복하게 하고
국가의 과학 수준을 훨씬 높게 만들거라 확신함
     
토막 23-03-30 07:49
   
그게 맞긴 맞는데요.
더럽게 어려워요. 고등학교때 수학선생중에 그렇게 가르친 선생 있었는데.
수업 내용부터 시험까지 진짜 어려워요.

공식외우고 문제 패턴 외워서 푸는게 가장 쉽게 점수 올릴 수 있는 방법이라 하는거죠.
Euronymous 23-03-29 21:28
   
의사 집안에 의사 계속 나오고 학자 집안에도 비슷한 사람들 계속 배출되는거 보면 공부는 유전자 영향이 큰것 같음.
     
토막 23-03-30 07:46
   
그건 집안 환경탓이 더 크다고 봅니다.
집안이 죄다 의사면 아이때 부터 의사정도 되는건 당연하게 생각하면서 자라게 되죠
당연히 공부도 그만큼 많이 하게 되고.
멍게 23-03-29 22:13
   
유전영향이 크죠 옛날에는 머리가 좋건 나쁘건 신분에 의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농사 짓기 뿐이니 몰랐을 뿐이고 지금같은 현대사회 시스템에 몇대에 걸쳐서 결과가 나온 지금은 뒤집기 어렵죠
 
 
Total 2,15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58 [안습] 짬뽕 훔쳐먹고 죽은 강아지 장례비요구.jpg (31) 드슈 03-30 4424
2157 [안습]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대수난.jpg (11) 드슈 03-30 4036
2156 [안습] 한국에선 상상불가인 북한의 남존여비 문화.jpg (10) 드슈 03-30 3489
2155 [안습] 투잡을 뛴다는 안정환 매니저.jpg (5) 드슈 03-30 2531
2154 [안습] 옆집 음식냄새 때문에 죽을맛입니다.jpg (7) 드슈 03-30 2087
2153 [안습] 트윗+웃대] 공부 잘하는법 3가지 원칙.jpg (23) 드슈 03-29 3176
2152 [안습] 미적 감각이 없는 한국식 조경.jpg (17) 드슈 03-29 5191
2151 [안습] 이대앞 상권이 망한 이유.jpg (8) 드슈 03-29 3951
2150 [안습] 18억 명품녀의 비밀.jpg (10) 드슈 03-29 5316
2149 [안습] 당근] 판매자 멘탈이 터지기 일보직전.jpg (5) 드슈 03-29 3033
2148 [안습] 여자가 경험한 남초 회사.jpg (14) 드슈 03-29 3750
2147 [안습] 편식주의자가 생각하는 육개장의 아주 큰 단점.jpg (7) 드슈 03-29 2947
2146 [안습] 취미 잘못 적어 낸 군인.jpg (11) 드슈 03-29 3549
2145 [안습] 한국식 아침식사를 먹어 본 외국 어린이들 찐반응.jpg (19) 드슈 03-29 5931
2144 [안습] 현금인출기에 물을 부은 사람.jpg (7) 드슈 03-29 4843
2143 [안습] 스즈메의 문단속 김계란 콜라보.jpg (3) 드슈 03-29 3072
2142 [안습] 10년째 보관중인 5천만원.jpg (7) 드슈 03-29 3414
2141 [안습] 불황에도 조용한 한국인.jpg (11) 드슈 03-29 3272
2140 [안습] 길 걸어가다가 총 맞은 대학생.jpg (5) 드슈 03-29 2581
2139 [안습] 김희선이 분석한 미우새 3인방이 여친이 없는 이유.jpg (4) 드슈 03-29 2690
2138 [안습] 족발 대짜가 4만원이 됐을 때 나는 침묵했다.jpg (5) 드슈 03-29 2485
2137 [안습] 판] 식 올리고 헤어졌으면 파혼이다 vs 이혼이다.jpg (7) 드슈 03-29 1932
2136 [안습] 인공지능 따위가 넘을 수 없는 직업.jpg (9) 드슈 03-28 2534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