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야구게시판
 
작성일 : 15-12-21 16:08
[잡담] 야구에 대한 비판좀할게요
 글쓴이 : 반가사유
조회 : 2,266  

류현진같은 mlb에서 뛸수있는 경쟁력있는 투수를 우리는 오랫동안 보지못할거라고봅니다
 
지금 솔직히 말해서 야구계에서 유소년풀에 신경안쓰는거는 모두 알고있는 사실이죠
 
하지만 축구같은경우에는 사활을 걸고 유소년에 목숨걸고 뛰어들고있습니다
 
fc서울같은경우 한해에 몇십억씩 fos사업이라는 우리가 옛날 아이들을 태권도도장에 보냈던거처럼 아이들을 축구교실에 데려오기위해 돈을 투자하고있죠
 
그리고 축구프로구단같은경우 각 프로구단 산하에 유소년팀을 만들어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관리하여 선수들을 육성하고있습니다
 
그결과 나온 선수들이 지금 국대에 이재성,권창훈,황의조같은 선수들이구요
 
이들은 몸값이 수십억이 나가는경우라서 해외진출시 많은 이익을보고 팔수있습니다
 
그리고 구단들은 그돈으로 유소년을 다시 육성해 또다시 해외에 팔고 다시 키우고 이런 선순환구조로 리그를 운영해 나가고있습니다
 
하지만 야구같은경우 프로야구에 돈을 투자하는건 많지만 유소년,그리고 아마야구에 대한 관심이 적은건 사실입니다
 
유소년에 투자를 하지않으니 야구부 숫자도 많이 늘지않았지요
 
프로야구가 프로축구보다 인기가 훨씬많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거기서 멈추고 안주하기 시작한다면 결코 성장은 없을거같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오란C 15-12-21 16:23
   
그나마 몇년전 지역연고제가 부활해서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반가사유 15-12-21 16:31
   
저는 지역연고제만 믿고 프로구단을 운영하다가는 3류프로야구가 될거라 생각합니다

계속 축구로 비교해서 죄송한데 실력은 없는데 지역연고를 기반으로한 나라들이 저기 동남아에 있습니다

실력은 떨어지면서 인기는 국내에 더럽게 많죠

실력이 떨어지니까 선수들은 해외로 진출하지못하게되고 국내에만 머물게되면서 팬들은 우물안 개구리처럼 자기 선수들이 뛰어난줄알고 트위터나 페이스북에 자랑질하면서 우리나라 무시하다가 6:0으로 개떡발리는 경우를 볼수있습니다

그러니 지역연고는 기본으로하고 자본이 딸리는 우리나라의 경우 유소년투자가 최고의 효율을 보인다고 생각하기에 유소년투자에 집중해야할겁니다
mago 15-12-21 16:45
   
기업에서 앞다투어 유소년 풀을 만들기보다는 현재 학원야구 시스템이나 점검해서 체계화 시켰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러기전에 먼저 사회인야구를 활성화시키고 아이들에게 야구가 재미있는 운동이라는걸 알려주고 돈이 없어도 얼마든지 즐길수 있도록 해주면 유소년이든 사회인이든 아마야구가 활성화되겠죠.
만두대장 15-12-21 16:50
   
축구와 비교하기는 어렵죠. 선수 수급 방식을 바꾸지 않는 이상 대대적인 투자는 어렵습니다.. 그리고 투자 비용도 축구와 비교되기 어렵죠. 기반 투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소모품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것 입니다.  그런 기본적인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유소년에 대한 안정적인 투자를 하지 않는다면 3류 되기는 순식간 이다 라는 이야기는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현실에서 볼 때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지 유소년 투자 하자 것은 가장 기본적인 주장일뿐 모든걸 해결 할수 있는 해결책이 되기는 어렵습니다.
     
반가사유 15-12-21 16:56
   
프로축구구단들도 영입할비용을 줄이면서까지 유소년에 투자를 늘리고있습니다

fc서울같은경우 하대성,데얀,김주영등 팀내 간판스타들을 중국에 팔아버리면서 fos사업을 늘리고 유소년 투자에 엄청난 노력을 했습니다

그결과 스타들은 팔았지만 fos사업으로인한 관중증대로인해 오히려 관중은 더늘은 상황이지요

물론 축구와 야구를 비교할수는없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비현실적이니 할수없다느니 해야하는것에 거부반응을 일으킨다면 야구계에는 변화를 가져오지 못할것입니다
          
만두대장 15-12-21 17:14
   
차이를 인정 못하시는 부분을 갖고 계시는데 돈의 순환이 쉬운 축구와 비교를 하는게 저에게는 그 비교가 무리라고 여겨지는 것 입니다. fc 서울을 예를 드셔서 선수 이적에 대한 것 보죠 이청용 기성용 데얀 박주영 선수 어디로 나갔나요?그리고 그 외에 서울 선수들 이적 어디로 갔나요? fa로 나간 선수들도 있지만 이적료 받고 나간 선수들이 대다수 일 겁니다. 그렇다면 투자비용 대비 수익이 나오는 구조 입니다. 야구는요? 선수를 하나 키우는데 드는 비용이 축구 보다 야구가 더 든다는거는 누구나 아는 사실 입니다. 왜냐구요? 훈련 비용을 제외하고 말하죠 축구는 유니폼 축구공 축구화 신가드 양말 장갑 주장 완장 이게 축구 그라운드에서 뛰는 선수들이 착용 사용하는 용품 입니다. 그중에 몇개는 공용 혹은 특정 선수만 사용하는것도 있고요 . 야구는요? 공용이지만 착용 하는 전부가 소모품이고 개인용품이 적다 하여도 그 금액은 고가 장비 입니다. 더군다나 선수 수급에 있어서 다 키운 선수 해외로 유출 되는 경우도 비일비재 합니다. 축구도 있다고요? 예 맞습니다 축구도 있습니다. 하지만 팀 운영비용 이나 팀 수 차이가 나고 그 선수에 대한 보유권도 없는 상태인 야구와 비교할수 있나요? 분명 유소년 투자는 좋은 방안 중 하나 입니다. 하지만 현재 제도 그리고 선수 학부모 관계자들이 인식을 바꾸지 않는 이상 그리고 제도가 바꾸지 않는 이상  현재 구단이 투자 하는 그 이상의 투자는 어렵다고 보는 것이고 그 비교 대상이 축구로 하는건 곤란하다는 입장인것 입니다.
               
반가사유 15-12-21 17:22
   
그렇게 이적료만따지고 본다면 중계권료및 광고료는 압도적으로 프로야구쪽이 프로축구단보다 많습니다

그리고 프로축구에서 스타들의 이적이라는것은 관중수에 직접적인 연관이되는거고 야구의 중계권료 및 광고료는 그런게 없다는것에서 오히려 야구쪽이 더 유리한게 사실입니다

프로축구에서는 소액광고라도 경기장에 걸려고 발에땀띠나도록 구단프런트들이 지역에 돌아다니면서 스폰서구할려고노력중입니다

그런데 야구에서는 그런노력을 프런트에서 하나요?

그리고 소모품얘기하셨는데 축구는 없는거처럼 말씀하시는데 축구도 있습니다;

야구에 비해 축구는 대외행사를 하는경우가 많아서 잔디가 망가지는게 대부분입니다

그걸 가는데 수억원하는경우가 대부분이고 지금 광주fc같은경우는 광주유니버시아드 대회때문에 잔디가 진흙탕이 되었는데 갈지못하고있습니다
                    
만두대장 15-12-21 17:32
   
그만큼 돈이 많이 나가니깐 적자라고 하지요. 막말로 알아서 들어오는 광고권 중계권료가 많은데 니들은 왜 투자를 못하냐는 겉만 보는 방법입니다. 축구 일주일에 몇번 하나요? 한팀 기준으로요. 선수단 하우스 있으면 드는 돈은 있어도 야구만큼은 아닐 겁니다. 많이 하니깐 구단 입장권 수익이 많을것 아니냐 하시겠고 뭐뭐 따지시겠지만 그만큼 나가는 돈이 많다는 것 입니다. 예전에 인천이 프로구단 중 적자 아닌 구조로 돌아섰단 기사도 봤습니다. 야구는 모기업의 지원 없이는 운영이 안되는 구조 입니다. 현재론 말이죠 그리고 축구장 잔디 그거 각 지방 시설공단 소유라 거기서 해주는것 아닌가요? 야구장도 마찬가지 입니다만.. 야구단은 자기들이 투자해서 리모델링도 하고 구장도 짓습니다. 축구는 그런거 하는가요? 예전에 포항이 기부 형태로 구장 짓기는 했죠.. 아울러 한화는 지난 3년간 구장과 자구단 인프라 확충에 500억 썼습니다.돈이 돌고 도는 순환 구조가 가능한 축구와 현재 구조상으로 인한 이유로 축구처럼 대대적인 투자나 육성이 어렵다고 하는 것 입니다.
                         
반가사유 15-12-21 17:37
   
야구에서 적자났다고 없애자는 구단있습니까?

축구는 있습니다 경남이라고 구단주가 정치인이라 그런가 아주 난리도 아니죠

근데 야구는 전부 기업구단아닙니까? 기업구단이 자선단체라서 그 적자 전체를 냅두고있는겁니까? 광고효과때문아닙니까? 축구는 시민구단이 많아서 파산안시킨다 치지만 야구는 전부 기업구단인데 파산안시키는겁니까?결국 이득이 있으니 하는겁니다

축구도 모기업없이는 운영안됩니다; 서로 피차 마찬가지인걸로 비교는 하지마시고 야구단이 투자해서 리모델링하고 구장도 짓는게 다 이득이있기때문에 하는거죠;
아콰아아 15-12-21 16:51
   
유소년 투자가 적은 이유가 드레프트제도 때문인거 같습니다.
힘들여 키워봐야 유망주인 선수가 신인 드레프트때 신생팀이나
순위가 낮은 팀에서 먼저 픽 해가기 때문에... 키워봐야 소용이 없음.
개인적으로 드레프트제 서서히 축소 해갔으면 합니다.
     
반가사유 15-12-21 16:58
   
축구도 드래프트제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축구팬들의 반발로인해 사라지고 자유계약으로 바뀌었죠
열혈쥐빠 15-12-21 17:15
   
지금 고교야구 48개에서 70개 가까이 늘었는데요.

축구보다 팜이 적어서 그렇지 나름 고군분투 하고 있어요.

사실 축구의 팜 시스템도 하루아침에 이루어진게 아니죠.

지난 십수년간 꾸준히 노력한게 결실을 보고 있는겁니다
     
반가사유 15-12-21 17:26
   
예전보다 늘은게 사실이긴 합니다만 야구계의 노력이 더 있었다면 더나은 결과가 나왔을거라는걸 말하는겁니다

프로야구인기가 상승함에따라 고교야구부가 늘어나는게 정상이죠

저는 거기에 야구계에서 더욱더 지원과 노력을했다면 2배이상늘었을거라 생각하는겁니다
열혈쥐빠 15-12-21 17:24
   
개인적으로 k리그의 유스 시스템을 본받아서 그걸 좀 응용했으면 좋겠네요. 예를 들어 포철공고가 포항의 유스이고 현대고가 울산의 유스이듯이 북일고는 한화 유스, 일고는 기아 유스 이런 식으로요.

물론 여기엔 많은 문제점이 있죠. 각 지역 팜마다 편차도 심하고 현 드래프트 제도와 상극인 점 등 극복해야 할 것들이 많죠.의견이 하나로 모일지도 의문이고요.

하지만 우리 k리그 유스 시스템이 유럽의 그것과는 달리 우리만의 실정에 맞게 운용되듯이 이런 것들을 참고해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반가사유 15-12-21 17:29
   
각 지역팜의 문제는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전 지역어디에서도 나타나는 문제죠

바르셀로나의 유스 라마시아가 유명해짐에따라 다른 구단의 유스들이 라마시아로 몰려드는건 당연한것처럼 유명한 구단의 유스에 인재들이 모이는건 당연한겁니다

구단들은 뺏기지않기위해 더욱더 유스시스템을 발전시키고 선수들을 양성하면서 그 격차를 줄여나가고 있는게 스페인 라리가의 유스체계죠

그런것처럼 우리나라 축구유스도 그렇게 변하고있습니다

하지만 야구만 그렇지 못하죠; 폐쇠성이 남다르다고나 할까요...
          
열혈쥐빠 15-12-21 17:37
   
막줄 심히 공감합니다;; 단순히 이런 행정 뿐만 아니라 경기 운용 등에서도 이상하게 너무나도 보수적이에요. 재밌는건 이게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
하얀그림자 15-12-21 18:08
   
프로구단 운영도 비지니스입니다
시장성을 보면 되죠
야구가 왜 축구만큼 유스 육성등  인적 인프라에 투자되지 않는가?
먼저 축구는  선수를  가까운 중국과 일본에 팔 수 있습니다
정말 왠만한 수준만 되면 말이죠
거기다가 가까운 미래에 동남아도 새로운 시장이 될 수 있을 겁니다
리그 수준이  타 이시아리그를 상회하기도 하고  한국리그의 전체적인  재능이 다른 아시아 선수에 비해 낮지 않죠
더 뛰어나면 유럽 시장에 내놓을 수 있죠

야구는 KBO 씹어먹어도 타리그에 진출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메이져 30 일본 12정도죠
솔직히 도미니칸리그나 멕시칸리그는  자생적 독립리그라기보다는 메이져리그를 위한 팜 리그라고 할 수 있죠
시장성에 기반한다고나 할까요?
투자비용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축구에 비해 현저히 낮습니다

그리고 이런 축구  유스에 대한 인식은 차범근이나 히딩크 박지성등의 영향이 지대했습니다
비영리 시스템이죠
물론  이런 메커니즘은 유럽식 모델입니다
야구는 누가 나서서 이런 일들을 해오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축구에 비해 국제대회가 적습니다  비젼(거시적 차원)도 제한적이죠
구조적으로도 야구는 팜씨스템입니다
축구의 유스시쓰템을 도입하려면
시장성이 커야겠죠
야구가 축구의 육성시스템을 벤치마킹하지 못하는 이유가 이런데 있는 것은 아닐지요?
평면적으로 축구가 하는데 왜 야구는 그렇게 못하냐?
기업은 왜 야구에 투자하지 않고 축구에만 투자하냐?
이런 얘기는 옆집은 S500인데 왜 우리 집은 다마스냐? 이러는거와 마찬가지죠
mago 15-12-21 18:14
   
유스마케팅이고 나발이고 야구장부터 지어야죠.
케이투 15-12-21 18:20
   
야구는 프로 픽을 못받을 경우  다른 진로가 없는것도 큰 이유죠 .
즉 학부모의 재정적 부담보다 내 아이의 취업문제가 더  유소년팜 발전을 방해하는 이유 아닐까요 ?
이건 프로구단에서 장비지원을 할수 있지만 진로문제는  현재의 크보시장가치에선
해결 못하는것이죠 .

이건 비인기종목의 현실이죠 . 크보에 올인한 야구인들의 숙제죠 뭐 .

돔구장 짓는다고 ,?사회인 야구구장 많이 짓는다고? 인재풀이 해결될 일은 아니죠
한국 자체적으로 아마야구 선수들을 흡수할 구단을 열나게 많이 창단하는 방법뿐입니다 .
실업팀 부활하든지 독립리그 활성화 시키든지 프로구단 20개 있든지
사회인야구팀 회원들이 한달 10만원씩 회비내서 선출 코치로 임명하던지 그래야죠 .
아무로레이 15-12-21 21:12
   
축구는 성공한 선수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요 (차붐의 축구교실 등)
야구는 뭐 있었나?... 음...  그냥 류현진 같은 돌연변이가 다시 나오길 기다려야 할겁니다.
만약 나온다 하더라도 고교야구, 대학리그에서 어깨 망가져서 피자굽고, 치킨 튀기게 되겠죠...
     
mago 15-12-22 01:27
   
개소리는 좀 ... 성공한 야구선수들도 다 야구교실 운영합니다
          
하얀그림자 15-12-22 10:53
   
이런거 가지고 개소리라니 좀............
다?????
님이야말로 말도 안되는 얘기 자제 좀,,,,,
있겠지만 축구교실만큼 영향력이나 임펙트가 있을까요?
이벤트성 말고 차범근 박지성 유상철처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유명한 야구교실 있나요?
하얀그림자 15-12-22 11:01
   
야구나 축구나 서로를 바라 보는 순간 불행해집니다
왜 TV 중계를 안해주냐
야구장 안짓냐
이런거 따지면 한도 끝도 없습니다
태생과 여건이 그런 걸  어쩌겠어요
야구만큼 TV중계해달라
축구만큼 인프라 투자해라
가 아니라
TV중계를 늘여달라
인프라 투자 좀하자라고 말해야죠
야구는 야구고 축구는 축굽니다
물론 양자의  좋은 점을 서로 수렴해가야 겠지만
(이건 양쪽 종목의 행정가들이 대중의 의견수렴을 반영해 알아서 해나가겠죠)
분명 종특상의 한계가 있습니다
서로 똑같이하자
저만큼 해달라 이런건 말이 안되는 얘기죠
쟁기는 소에게 끌도록해야죠
썰매는 개가 끌어야 하고요
 
 
Total 3,34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264 [잡담] 마에다 노예계약은 아닌듯한데?? (11) 휘파람 01-03 1640
3263 [잡담] 새해부터 훈훈한 이용규 미담 (8) 아라라랄랑 01-02 2564
3262 [잡담] 야구 역사상 최악의 주루플레이.gif (10) 아라라랄랑 01-02 3049
3261 [잡담] 그런데 돔구장 지어봤자 욕안할 자신있으세요? (19) 회원입니당 01-02 1091
3260 [잡담] 박원순시장이 어제 잠실 돔구장 최고로 짓겠다고 했… (23) 관성의법칙 01-01 3341
3259 [잡담] 170km 쿠바 초특급 채프먼..양키즈로 간다. (12) 돈주앙 12-29 2733
3258 [잡담] 왜 유스시스템을 야구에서는 못하나? (8) mago 12-29 2364
3257 [잡담] 야구는 유스 시스템 없나요? (5) 시차적관점 12-29 1093
3256 [잡담] 야구선수들 인성교육 필수 과목으로 해야할듯 사고… (12) 드라이브1 12-28 2943
3255 [잡담] 보크인가? .GIF (9) 오비슨 12-28 3326
3254 [잡담] 다음 mlb 진출 선수는... (15) 프로스포츠 12-27 3270
3253 [잡담] 롯데도 연봉 줄때 넥센처럼 했으면 하네요. VanBasten 12-25 1321
3252 [잡담] 삼성야구단이 삼성 본사에서 제일 기획으로 소속이 … (5) 라떼종결자 12-25 2455
3251 [잡담] 김현수 박병호 예상성적 (8) 휘파람 12-24 2174
3250 [잡담] 김성근 일화 (5) 아라라랄랑 12-24 2340
3249 [잡담] 허구연의 빌딩과 아파트 (5) 아라라랄랑 12-24 4195
3248 [잡담] 60억을 원하고 있는 두산 오재원 (11) 딸기가좋아 12-23 3541
3247 [잡담] 라이온즈파크 약간 공사가 늦어지나봄.. (1) 박뺑itback 12-23 2096
3246 [잡담] 야구에 대한 비판좀할게요 (23) 반가사유 12-21 2267
3245 [잡담] 돔구장 문제는 돈 아닌가요 (10) mago 12-21 1260
3244 [잡담] 돔구장은 시대를 역행하는 짓 (17) 순둥이 12-21 3604
3243 [잡담] 밑에 서울도 잠실돔구장 짓는다고 하는 말을 보고.. (6) 관성의법칙 12-20 1487
3242 [잡담] 금싸라기 서울팀을 살 기업이 없다구요? ㅋㅋ (9) 옵하거기헉 12-20 1730
3241 [잡담] 대만구장들을 보고 우리나라 야구발전을 새삼 느꼈… (8) 열혈쥐빠 12-20 3662
3240 [잡담] 만약 두산 베어스가 매물 나온다고해도 (18) 라떼종결자 12-20 2443
3239 [잡담] 설마 현수 신체검사에 문제생긴 건 아니겠죠? (3) 순둥이 12-20 3583
3238 [잡담] 두산 인프라코어 문제 심각하네요. (10) VanBasten 12-19 4523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