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뉴스
HOME > 뉴스 게시판 > 해외뉴스
 
작성일 : 13-08-10 16:06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음주 문제: 다국적 음료 회사 때문에 알코올 중독 심각해지다.
 글쓴이 : 대전감자
조회 : 6,252  
   http://world.time.com/2013/08/09/africas-drinking-problem-alcoholism-o… [330]

Africa’s Drinking Problem: Alcoholism on the Rise as Beverage Multinationals Circle


아프리카의 음주 문제: 다국적 음료 회사 때문에 알코올 중독 심각해지다.


In Kenya, depending on whom you ask, John Mututho is either a hero or a villain, but in a country


 consuming ever more alcohol, he is certainly a household name. In 2010, Mututho won a battle with the


 beverage industry to implement Kenya’s first alcohol control act. It is known as “the Mututho law,” and


 honors his brother, who died as a result of alcoholism. After his brother’s death in 2007, Mututho


 dedicated himself to the issue with a focus and vigor rare in Kenyan politicians pursuing social goals.


 But instead of being celebrated, Mututho was punished. In the following elections this year, he didn’t


 even win his party ticket. A Nairobi social worker who focuses now on mopping up the damage of


 alcoholism, he chuckles fondly as he tells me this story, as if it encapsulates his country today. “Do we


 drink because we’re Kenyan or are we Kenyan because we drink?” he ponders. “That is the question.”


케냐에서 존 무투토 씨는 당신이 누구냐에 따라 영웅 혹은 나쁜 사람이지만 술을 더욱 마시는 이 나라에서 그는


 잘 알려진 인물이다. 2010년 무투토 씨는 케냐의 첫 번째 음주 조절 법안을 시행시키기 위한 음료회사와의 다


툼에서 이겼다. ‘무투토 법’으로 알려진 이 법안은 알코올 중독으로 죽은 형을 기념하기도 한다. 2007년 사망 이


후 무투토 씨는 이 이슈가 부각되도록 헌신했고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케냐 정치인들 중 몇 안 되는 열정적


 인물이다. 하지만 축하받는 대신 무투토 씨는 처벌을 받았다. 금년 있던 선거에서 당 후보로 나서지도 못했다.


 알코올 중독의 안 좋은 점을 개선하려는 나이로비의 한 사회 운동가는 이 이야기를 얘기할 때 알코올 중독이


 현재의 케냐를 설명하는 것처럼 얘기했다. “우리가 케냐인이기에 술을 마시는가 혹은 우리가 술을 마시기에 케


냐인인가?”하는 것이 문제점이라고 했다.


His concerns are not limited to Kenya. Africa has a drinking problem. It is the new darling of multinational


 beverage companies looking to drive profits in an increasingly booze-saturated world. The continent


 has the perfect emerging market condition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commercial alcohol is being


 consumed; there is a rising middle class with disposable income; a huge market of young people is


 about to come of age; and there is an informal “moonshine” sector, up to 4 times the size of the


 commercial market, that governments would like to control.


그의 걱정은 케냐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아프리카가 음주 문제를 안고 있다. 점점 술에 취해가는 아프리카는


 수익을 올리길 원하는 다국적 음료 회사들에 인기가 있다. 아프리카는 완벽한 이머징 마켓의 환경(비교적 적은


 술이 소비되고, 여유 소득이 있는 중산층이 상승하고, 성인이 되어가는 인구가 많다.)이 있다. 또한 밀주 부분


의 규모는 정부가 통제하길 원하는 소비자 시장의 규모보다 4배 크다.But Africa is in no shape to cope with


 an influx of alcohol. Primary healthcare providers aren’t equipped to deal with the health effects. There


 is little or no recourse for irresponsible acts like driving while intoxicated. Chronic corruption means


 every new control measure is an opportunity for police to solicit bribes. While average per capita


 consumption figures (excluding South Africa) are very low, Africa has the highest proportion of binge


 drinkers in the world: 25% of those who drink, drink too much,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Beverage companies dismiss that figure as poorly-sourced, and certainly the problem 


is under-researched.


하지만 아프리카는 밀려드는 술을 통제할 수 없다. 주요 건강보험 납부자들은 건강을 잘 돌


보지 못한다. 음주운전 같은 무책임한 행위를 개선하려는 의지가 없다. 만성적 부패는 새로운 규제 법안이


 경찰관들이 뇌물을 얻고자 하는 기회임을 뜻한다. WHO에 의하면 남아공을 제외하고 1인당 평균 소비가 적


지만 아프리카는 세계에서 폭음하는 사람의 비율이 25%로 가장 높다. 음료 회사들은 출처가 빈약하다며 이


 수치를 무시하고 이 문제는 잘 조사되지 못한다.


Then there are the problems of demographics. The “youth bulge”—where a large share of the


 population is made up of children and young adults–helps ensure that many young drinkers are


 going to be unemployed. And the alcohol industry’s goal to get moonshine consumers drinking


 commercial brews is, according to critics, just a different version of the same problem.그렇다면 인구


 통계에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인구가 유소년과 청년들로 이뤄진 아프리카에서는 술을 많이 마시는 젊은이


들은 고용되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밀주를 마시는 소비자들을 유인하려는 주류회사의 계획은 이 문제의 다


른 해석이라고 평론가들은 이야기한다.


One of the most vocal of those critics is Bill Sinkele. A former alcoholic originally from the U.S., he


 has worked for 18-years with some of Kenya’s most marginalized groups, from prostitutes on the


 coast to alcoholic kids in the capital’s slums. He has just concluded research in Kenya fo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at shows underage drinkers know what brand they’ll drink well before they hit


 the legal drinking age of 18. “The alcohol industry is prepping these kids!” he says. Billboards in the


 capital Nairobi present the “Snapp Sisters,” three shimmering women who look like a young


 Destiny’s Child drinking Snapp, a sugary apple-flavored alcopop. The advertisements are aimed at


 women, a group in which, according to Sinkele, alcoholism is rising alarmingly.이러한 비판의 목소리


를 높이는 인물 중 한 명은 빌 싱켈레 씨다. 예전에 알코올 중독자였던 그는 18년 간 바닷가에 살던 매춘부부


터 나이로비의 슬럼가에 사는 알코올중독 아이들에 이르기까지 소외된 이들을 위해 일해 왔다. 음주 연령인


 18세가 되기도 전에 자기가 잘 마실 술의 브랜드까지도 아는 나이어린 음주인들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졌다.


 “알코올 산업이 이 아이들을 끌어 모은다.”고 한다. 수도 나이로비에 있는 광고판은 사과향 알코팝(알코올


 성분을 포함한 음료수-역자)인 ‘스냅 시스터즈’를 아이들의 필수 음료수처럼 꾸며놓았다. 이는 또한 놀랄 만


치 여성 알코올 중독자를 목표로 하고 있다.


Governments are starting to address the issue, not least because it could damage their growing


 economies. Twelve percent of those aged between 15 and 24 are hooked on alcohol, Kenya’s


 President Uhuru Kenyatta announced at the country’s second alcohol and drug abuse conference in


 June. He says the country faces a critical challenge. But there is a disconnect between policy and


 implementation. Members of the audience at the conference took turns to stand up and berate a


 senior police officer following a panel discussion. According to industry delegates, alcoholism,


 protection rackets, and the fallout from 24-hour drinking “canteens” are all problems that exist within


 the Kenyan police force. If that’s the case, they argue, what hope is there for implementing laws?


 The debonair officer was unruffled: “If our officers are doing that and you’re not letting their bosses


 know, then you’re not assisting,” he said.



성장하는 경제에 손상을 입힐 수 있기에 정부는 이 이슈에 대해 고심하기 시작했다. 케냐 대통령 우후루 케


냐타는 6월 두 번째 국립 음주 마약 중독 컨퍼런스에서 15-24세 인구의 12%가 알코올에 중독됐다며 중요한


 모험을 맞닥뜨렸다고 연설했으나 정책과 시행 간에 괴리가 있다. 컨퍼런스 참가자들은 고위 경찰관을 비판


했다. 산업계 대표에 따르면 알코올 중독, 갈취 행위, 24시간 술집의 악영향이 케냐 경찰 내부에 존재하는 모


든 문제라고 한다.



One of the things Sinkele finds most astonishing is that multinational companies are getting tax-


breaks for selling beer to people on the breadline. While governments in the West are considering


 minimum pricing standards for alcohol, in nearly a dozen countries across Africa, amidst soaring


 food prices, governments are applying tax-breaks to booze, which,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kills more people than AIDS or tuberculosis. ”It’s better assisted suicide,” Sinkele says.


싱켈레 씨가 찾아낸 가장 놀라운 사항들 중 하나는 다국적 회사들이 최저 소득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주류


 판매를 위해 세제 혜택을 얻고 있다는 점이다. 서유럽 국가들의 정부가 주류에 대한 최저 가격 기준을 고려


하는 반면 아프리카의 수십 개 국에서는 에이즈나 폐결핵보다 더 사람들을 죽게 하는 세제 혜택을 주고 있는


데 이는 xx을 돕는 것이라고 싱켈레 씨는 밝혔다.


In Kenya, multi-national beverage company Diageo’s second-best selling beer, Senator Keg, is


 served in 300 ml servings for 25 shillings (around 30 cents). The company, which reportedly controls


 a staggering 97% of the beer market, until June enjoyed a 100% tax exemption on Senator to keep it


 cheap. “This gave consumers a safer alternative to unregulated and bad quality brews which often


 lead to fatalities,” Diageo’s Group Corporate Relations Director Brenda Mbathi says. Sinkele says the


 new Government realized the tax break was nonsensical, which is why they rescinded it.케냐에서,


 다국적 음료 회사 ‘디아제오‘의 제품 중 두 번째로 가장 많이 팔리는 맥주 ‘시네이터 케그’ 300ml는 25실링


(약 30센트)이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맥주 시장의 97%를 장악하는 이 회사는 술값을 싸게 하는 100% 세금


 면제 혜택을 누리고 있다. “이는 사망자를 더 늘리는, 규제 밖의 나쁜 맥주에 대한 안전한 대용품을 공급한


다.”고 디아제오의 브렌다 음바티 씨는 전한다. 싱켈레 씨는 새 정부가 세제 혜택이 무의미함을 알게 됐고,


 이런 이유로 폐지됐다고 밝혔다.

Deflecting allegations of exploitation, companies are operating a host of social enterprises, which


 also secure large tax-breaks. SABMiller, one of the world’s largest brewers, has pioneered “Impala,”


 the first beer made from cassava, a tough, drought-resistant root grown across Africa that boosts


 local economies. SABMiller says the product was designed to compete with illicit alcohol, not


 necessarily to provide a social service. SABMiller is also selling a brand of “chibuku” in ten markets,


 a popular fermented brew with a gruel-like texture. “If governments are looking to encourage a low


 alcohol society, then actually beer ought to play a substantial role in that,” SABMiller’s Nigel


 Fairbrass says. Beverage manufacturers don’t want alcoholics, after all–they want loyal customers


 for life.의심을 피하고자 회사들은 여러 사회적 사업들을 벌이는데 이는 또한 엄청난 세제 혜택을 확보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양조 회사 SABMiller는 아프리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거칠고, 뿌리가 가뭄에 잘 견


디는 카사바로 만든 첫 맥주 ‘임팔라’를 선보였다. 회사는 이 제품이 불법 술과 경쟁하기 위해 고안됐다고 했


다. “정부가 술을 적게 마시는 사회를 촉진하고 싶다면 맥주는 그에 맞춰 현실적 임무를 맡아야 한다.”고


 SABMiller의 니겔 페어브래스 씨는 전한다.


Alcohol consumption is likely to increase, as seen in South Africa, one of the world’s heaviest


 drinking nations. The wealthier demographic, “rising” Africans, will have the means to cope with it,


 but the rest, those Oxford economist Paul Collier calls the “Bottom Billion,” might not. In Mathare,


 one of the Nairobi’s notorious slums, people are forced to pick over rubbish alongside pigs. The


 Mathare river running the length of the slum is not a water source but a toxic waste-laden vein. On


 the river’s southern bank, the largest of four illegal moonshine distilleries runs 24-hours-a-day,


 seven-days-a-week. “It’s the cash crop of Mathare,” says James Anunda, taking time out from


 manning the scalding barrels of distillate. He is only 18-years-old, but his swollen fingers attest to


 five years in the business.


술 소비는 세계에서 가장 술을 많이 마시는 아프리카에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부유한 이들은 술을


 통제할 수단을 갖게 될 것이지만 나머지는 그렇지 못할 것이다. 나이로비의 악명높은 슬럼가 중 하나인 마


타레에서 사람들은 쓰레기를 주우며 살아야 한다. 슬럼가를 지나는 마타레 강은 물이 아니라 독성분이 흐른


다. 그 강의 남부 둑에서는 불법 양조장이 24시간, 일주일 내내 가동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둥가지 13-08-10 21:55
   
아프리카 국가들이 선진국이 될려면 100년은 넘게 걸릴듯
     
밝은달 13-08-11 03:27
   
100년이면 엄청 빠른건데...
          
개소리는쌈 13-08-11 18:45
   
아프리카가 선진국이 되는 100년동안... 다른나라는 우주여행하고있을거임....
100년이 빠름? 다른나라들을 손가락빨고있는것도 아니고..;;
아마 100년이 지나면 국가간에도 양극화가 더 심화될꺼에임..
원래 기술력이란.. 돈과같아서 돈많은 놈은 재산불리기가 쉬운것처럼..
기술력도 제곱으로 올라가지않을까..추측해봄..
               
Or가레스 13-09-12 10:39
   
개소리는쌈//이분은 선진국 뜻을 잘 모르시나... 다른나라가 우주여행하고
있으면 아프리카가 현재 우리 수준이되도 선진국이 아니죠 여전히 후진국이
지 나른나라 보다 비교우위를 점하고 앞서나가야 선진국인데
다른나라 못따라잡으면 아무리 발전해도 후진국임 그러니 100년걸려
선진국이 되면 빠른거죠 답답 ㅋㅋㅋ
ckseoul777 13-11-06 01:36
   
아무렴 100년 이상은걸릴듯하다
 
 
Total 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 [아프리카] 114세의 초고령자인 블롬의 스토리 히스토리2 05-30 4385
4 [아프리카] 기린이 다큐촬영 감독에게 머리를 휘둘르다. 히스토리2 05-07 2169
3 [아프리카] 이집트 룩소르서 3600년 전 미라 발굴 빅풋 02-16 4258
2 [아프리카] 유엔안보리, 남수단 파병 증가 승인 (6) 대전감자 12-25 5809
1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음주 문제: 다국적 음료 회사 때문에 알코올 중독 … (5) 대전감자 08-10 6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