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미스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08-08 15:15
[전설] 감생설화
 글쓴이 : 통통통
조회 : 2,161  

감생설화(感生說話)


남녀의 결합이 아닌 특이한 계기나 성스러운 물체의 정기를 받아 잉태하게 되었다는 설화. 비범한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는 신화나 인물전설에 주로 나타난다.
 
잉태의 계기가 되는 행위나 상황을 신령스러운 존재의 계시 때문에 일어났다고 보아, 이러한 비정상적인 잉태 과정은 태어나는 인물에게 신성성을 부여하는 상징적 기능을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유사≫·≪삼국사기≫·≪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과 여러 가지 구전설화를 통해 전해지고 있는데, 다른 나라에도 널리 분포되어 있다.

감생설화는 그 행위나 상황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하위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햇빛을 받고 잉태했다는 모티프(motif)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나타난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 제1 고구려조에 금와왕(金蛙王)에 의해 방에 갇힌 유화(柳花)가 햇빛을 받고 임신했다는 주몽신화가 대표적이다.

가야산 여신인 정견모주(正見母主)의 목욕 장면을 훔쳐본, 하늘의 남신 이비가지(夷毗訶之)가 정견모주의 몸에 햇빛을 비추어 그녀로 하여금 뇌질주일(惱窒朱日: 대가야의 시조)과 뇌질청예(惱窒靑裔; 금관 가야의 시조, 곧 수로왕)를 낳게 하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중국에서는 햇빛 외에도 달빛·별빛·무지갯빛 등을 받아 잉태하였다는 경우도 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페르세우스(Perseus)는 어머니 다나에(Dana○)가 방 안에서 햇빛을 받고 잉태했다 하여 주몽신화와 비슷하다.

물을 마시고 잉태했다는 모티프도 범세계적이다. ≪임영지 臨瀛誌≫에는 어느 양갓집 처녀가 물을 길으러 갔다가 우물에 비친 해를 보고 그 물을 마신 뒤에 범일(梵日)을 잉태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이 경우에 물은 생생력(生生力)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는데, 해가 있었다는 것은 건국신화에서와 같은 고귀한 혈통을 나타내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범일이 죽어서 대관령 성황신(大關嶺城隍神)이 되었다는 점도 이와 관련된다. 

즉, 범일은 나라신보다는 격이 낮은 마을신이므로 바로 햇빛을 받지 않고 물에 비친 해에 의하여 잉태되었다고 한 것 같다. 다른 나라의 경우에는 보통의 물이 아닌 마법이 걸린 물이거나, 신령스러운 물이 보통이다. 또한, 오줌을 마시고 잉태하였다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오줌의 생생력을 상징화한 것이다.

 과일 따위를 먹고 잉태했다는 모티프도 세계 곳곳에서 발견된다. ≪세종실록≫지리지 영암조(靈巖條)에는 최 씨의 딸이 일 척이 넘는 오이를 먹고 도선(道詵)을 잉태했다고 하고, ≪조선읍지≫ 화순조(和順條)에는 향리 배 씨의 딸이 우물에 있는 오이를 건져 먹고 진각국사(眞覺國師)를 잉태했다고 한다.
 
 구전설화에서는 무학(無學)도 그 어머니가 오이를 먹고 잉태했다고 하며, 오이 대신 복숭아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과일은 씨앗을 가지고 있어서 남성의 정액을 상징한다고 볼 수도 있다.

알도 과일과 비슷한 상징적 조건을 갖추어서 흔히 등장하는데, 사마천(司馬遷)의 ≪사기 史記≫ 열전에 실린 은나라 설(楔)의 어머니가 목욕하다 현조(玄鳥)의 알을 먹고 설을 잉태했다는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외국의 경우에는 먹는 것 외에 꽃·돌·고기·손가락뼈·피 및 여자의 심장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것들도 역시 생명의 원천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석이 투영되어 설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꿈을 꾸고 잉태했다는 모티프는 주로 중국과 우리 나라에서 발견된다. ≪삼국사기≫나 ≪동국여지승람≫에는 해(金怡의 경우)·별(김유신의 경우)·무지개(金方慶의 경우)·용(고려 혜종의 경우) 등의 꿈을 꾸고 잉태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중국에서도 여러 제왕의 출생설화에 비슷한 양상으로 등장한다. 

 기원을 하여서 잉태했다는 모티프는 우리 나라에서만 나타나는데, 특히 무속신화에 주로 나타나고 있어서 그 고유한 성격이 거듭 확인된다. 〈바리공주〉의 오구대왕 부부, 〈세경본풀이〉의 세경할미, 〈칠성본풀이〉의 칠성님 등은 모두 백일기도를 드리고서야 비로소 자식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이 경우에는 신령스러운 존재를 자신의 노력으로 감동시켜야 복을 얻을 수 있다는 서민층의 민속신앙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점은 구소설에서 치성을 드리고 나이가 들어 늦게 자식을 얻는다는 설정과도 관련된다.

 이 밖에도 별·천둥·바람·냄새와 같은 여러 가지 정기를 받아서 잉태했다는 모티프나, 다른 존재의 눈길을 받거나 발자국을 밟는 것과 같은 비정상적인 교섭을 통해서 잉태했다는 모티프는 우리 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으나, 다른 나라에서는 많이 나타나는 것들이다. 

다양한 모티프로 구현되는 감생설화는 공통적으로 생명의 근원에 대한 원초적인 사고방식을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티프가 모든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경우는 드물고, 위대한 업적이나 신이한 행적을 남긴 사람에게 적용되었다는 점은 한 집단이 공동으로 칭송하고, 기억할 만한 인물에게 그 집단이 소유한 문화적 체계를 바탕으로 신성함을 부여하는 데서 감생설화가 창출되었으리라 짐작된다. 

 결국, 감생설화는 단순히 원시적이고 비합리적인 사고의 산물이 아닌, 나름대로의 깊은 역사성과 합리성을 갖추고 있는 사고의 산물로 보아야 한다.

우리 나라의 경우 감생설화는 처음에 나라신·건국시조·왕 등에 적용되었으나, 후대로 갈수록 마을신·가문시조·이인·고승 등에도 적용되었고, 그에 따라 햇빛에서 해가 비친 물· 과일· 꿈 등으로 신성성의 정도가 약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건국신화로부터 이어져 오는 감생설화의 전통은 조선 후기에 성행한 영웅소설의 창작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世宗實錄地理志, 東國輿地勝覽, 臨瀛誌, 朝鮮邑誌, 史記, 韓國人의 神話(韓相壽, 文音社, 1980),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8), 古代小說과 說話에 나타난 主人公의 Supernatural Birth에 關한 硏究(金錫夏, 民俗文學硏究, 국어국문학회편, 정음사, 1981), 江陵地方部落神話의 民俗學的硏究(金起卨, 江原民俗學 2, 1984), Motif Index of Folk Literature(Thompson,S., Indiana University Press, 1955), The Legend of Perseus(Hartland,E.S., London, 1894∼1896).(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우주인간 15-08-16 18:59
   
갑자기 설화를 많이 올리시네요 잘읽고 갑니다
 
 
Total 13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4 [전설] 감생설화 (1) 통통통 08-08 2162
83 [전설] 강감찬 설화 통통통 08-08 3739
82 [전설] 유명한 전설 아더 왕과 3가지 보물 통통통 07-23 5407
81 [전설] 삼국지 조자룡의 괴물 퇴치 (2) 통통통 07-22 6818
80 [전설] 스파르타인의 삶 통통통 07-22 4163
79 [전설] 이야기 주머니 설화 통통통 07-19 2972
78 [전설] 서당 선생 장가보낸 제자 통통통 07-19 2449
77 [전설] 서동 통통통 07-19 1502
76 [전설] 독장이구구 설화 통통통 07-19 1406
75 [전설] 수호자 전설 동자와 코트 사나이 통통통 07-16 3256
74 [전설] 산타클로스의 유래 (3) 통통통 07-01 6793
73 [전설] 스칸디나비아의 극형 (3) 통통통 06-16 9989
72 [전설] 몰랐던 백정의 진실 (2) 팜므파탈k 05-29 6931
71 [전설] 전쟁과 동물들 (2) 팜므파탈k 03-18 8864
70 [전설] 한국의 요수들 (1) 통통통 02-07 8330
69 [전설] 늑대인간을 부르는 고대 켈트족의 돌머리 인형 (3) 통통통 01-29 4955
68 [전설] 성웅 충무공 이순신,영웅의 죽음을 둘러싼 역사적 의… (10) 비비탄1 10-22 12441
67 [전설] 한 여인의 인류 역사상 가장 잔인했던 복수 (4) 팜므파탈k 06-27 9369
66 [전설] 뉴저지에 출몰하는 돼지 여인 (4) 팜므파탈k 06-27 7516
65 [전설] 거지청년의 죗값 팜므파탈k 06-15 4693
64 [전설] 스님을 사모한 처녀 (3) 팜므파탈k 06-15 8082
63 [전설] 200년간 뉴저지 사람들을 공포에 몰아넣은 괴물,져지데… (2) 팜므파탈k 06-15 6184
62 [전설] 한국 역사속 9대 미스테리 (10) 팜므파탈k 05-26 22374
61 [전설] 공룡이 만약 멸종하지 않고 진화해서 지적 생명체가 … (7) 팜므파탈k 05-22 14611
60 [전설] 병사의 유언장.jpg(브금) (2) 팜므파탈k 05-19 7102
59 [전설] 공존하는 선과 악. 랑다와 발롱 (3) 팜므파탈k 05-13 6112
58 [전설] 지구탄생 후 100만년을 5분만에 보기 (1) 빅풋 03-30 5185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