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특정 회원에 대한 반말,욕설 글(운영원칙 2,3항) 3회 위반시 접근 차단 조치 됩니다.(원인제공과 관계없이 조치)
하오니, 절대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거법 위반 및 정치관계법 위반행위 신고는 아래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http://www.nec.go.kr
HOME > 커뮤니티 > 정치 게시판
 
작성일 : 15-11-26 05:40
좌파들주장하는 경제정책은 김영삼이 가장 잘 실천함
 글쓴이 : 실험가
조회 : 885  

임기내내 지속된 원화가치고평가(원고)

http://m1.daumcdn.net/thumb/R750x0/?fname=http%3A%2F%2Fcfile21.uf.tistory.com%2Fimage%2F2543F042526686BF3061AC


포항제철 회장은 강경식 경제부총리와의 만남에서 "환율이 고평가되고 있어, 환율상승을 예상한 투기 조짐이 일어나고 있는 것 같다(51)"5 라는 우려를 전했다.

경상수지 적자가 누적될수록 외국 투자자들은 국가경제의 기초여건 fundamental6 에 의심을 품게 된다. 김인준·이영섭은 <외환·금융위기와 IMF 경제정책 평가>(1998)에서 '경상수지 적자 → 경제의 기본 건전성에 회의를 갖게된 외국 투자자 → 자본유출 → 통화가치 급락' 현상을 이야기한다.

게다가 1996년에 기록한 '-229억 달러 · GDP 대비 -4.75%' 에 달하는 막대한 경상수지 적자는 외환유동성 자체를 크게 악화시켰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소속 신인석은 <한국의 외환위기: 발생메커니즘에 관한 일고>를 통해 "환율절하 지연에 이은 96년에 기록된 대폭의 경상수지 적자가 잠재적인 외환유동성을 악화시켰다" 라고 지적한다. 이러한 외환유동성 악화는 1997년 12월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인출사태(banking panic)'을 촉발시켜 외환보유고를 고갈시켰다. 


1996년의 성장률은 내수증가가 기여했고 물가는 환율의 고평가와 수입증가가 기여한 것이었다. 1994년부터 3년간 경상수지는 물가와 성장률에 희생된 것이다. 대내균형을 위해 대외균형이 파괴된 것이다. 1996년은 물가를 희생해서라도 환율을 크게 올려 수출을 늘이고 수입을 억제했어야 했다.

10%가 넘는 임금상승에서 가격경쟁력 상실을 보전할 수 있는 수단도 사실상 환율 뿐이었다. 매년 5% 정도의 절하만 있었더라도 결과는 달랐을 것이다. 고임금으로 가격경쟁력이 상실되어가고 있는데 환율까지 평가절상 되었으니 불에 기름을 부은 격이었다. (...)




80년대후반~90년대말까지 지속된 임금폭등

http://m1.daumcdn.net/thumb/R750x0/?fname=http%3A%2F%2Fcfile25.uf.tistory.com%2Fimage%2F2426F344526C74E62BB4A9
(동시기 수출경쟁국 대만의 2~5배의 임금상승률ㄷㄷㄷ)

https://www.google.co.kr/url?sa=t&source=web&rct=j&url=https://www.kiet.re.kr/part/sDownload.jsp%3Fs_idx%3D28473&ved=0ahUKEwjmhPO_tqzJAhUBHZQKHT25DTkQFggjMAE&usg=AFQjCNHSBIvD34oaytLsz8XUtoz3h4zX-Q&sig2=3myt-0SYy3OkP1OL9aY73g

한국은 90년대초 이미 평균임금 1.035달러로 경쟁국인 대만의 임금수. 준을 추윌하기 시작하였다.



고용창출폭발을 야기시킨 기업금융

http://m1.daumcdn.net/thumb/R750x0/?fname=http%3A%2F%2Fcfile6.uf.tistory.com%2Fimage%2F22195A43526C8C721E9DED

대통령의 경제정책이 얼마나 탁월했으면 기업들이 저렇게 엄청난 부채를 지면서 고용을 늘렸을까?
ㄷㄷㄷ


그결과 엄청난 내수경제호황이 이어짐

================================


IMF 이전의 취업 풍경

필명숨김

조회 수 1821 추천 수 98 비추천 수 -1 댓글 15

저는 95년도에 학부를 졸업했습니다.


밑에 있는 취업난 관련 글을 보고 있다보니 까마득한 옛날 일이 생각납니다.


보통 2학기 시작할때쯤 되면 학과사무실에 기업들이 배포하는 원서들이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저 원서를 일단 구해야 어떤 기업이든 일단 지원을 할 수 있다보니 많은 학교에서는 저 원서 구경하기도 쉽지 않았습니다만 서울대야 뭐..


일단 들어온 원서들은 학과 사무실에 있는 탁자에 그냥 주르륵 놓아두었습니다. 특정 기업에 꼭 가야겠다고 일치감치 생각하던 사람들은 오전오후 부지런히 들락날락하면서 체크해서 가져가거나 아니면 조교에게 미리 음료수 한캔과 더불어 부탁을 해 놓으면 원서 구하는것 까지는 별 문제 없었습니다.


원서를 구해서 대충 작성한 다음 성적증명서, 졸업예정증명서 등등 필요서류를 챙겨 시간이 되면 놀러가는 마음으로 직접 가서 접수하던지, 아니면 우편으로 접수하면 끝..원서 접수후 몇일 후면 면접 오라고 연락이 오는데 서류에서 탈락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자취생들의 경우 집에 전화가 없어서 학과사무실 번호를 적어놔서 그 번호로 회사에서 연락이 오곤 했습니다. 그러면 게시판에 붙여놓거나, 동기들을 찾아 알려주곤 했죠) 면접 다녀오면 거의 90%의 확률로 합격을 해서 몇군데 원서 내면 어디를 가야하나를 놓고 동기나 선배들과 상의하는 모습이 일상적이었습니다.


취업난? 그런것 없었습니다 한국은행같은 곳에 꼭 가야겠다고 결심하지 않는 이상 대충 적당히 다들 갔죠. 80년대 후반 학번 국경과 선배가 시중은행에 가겠다고 하니 주변에서 다들 '너 미쳤구나..'라며 말리던 기억도 납니다. 수자원공사에 가려던 선배에게 다들 '아니 시험까지 봐 가면서 왜 대전에 있는 그런 곳에 가요?'라고 궁금해하곤 했죠.


가끔은 술먹고 돌아다니다, 아니면 차였다고 징징거리다가 뒤늦게 취직하겠다고 과사무실에 와서 '남는 원서 없어요?'라고 물어보는 경우도 있었죠. 그러면 조교가 책상서랍을 뒤적거리다가 '옛다..아무도 안가져가려해서 버릴까 하다 남겨놨다'면서 던져주곤 했죠. 4년 평점 1.2를 찍던 선배는 그렇게 해서 금호에 가서 지금 잘 지내고 있고, 1.5를 찍던 여자 동기도 쌍용에 입사해서 기획실에서 근무했던 기억도 납니다. 당시 막 삼성에서 분리된 신세계백화점의 원서의 경우 누구의 선택도 못받고 굴러다니다가 옆과 누나가 '나 백화점 좋아하니 한번 가볼까?'하면서 집어가더니 입사했는데 몇년전 글로벌 바이어 큰손이라면서 신문에 나기도 하더군요..)


그렇게 들어간 사람들이 지금의 후배님들보다 능력이 좋을리는 만무할텐데 그래도 대부분의 회사들은 잘 굴러갔고, 들어간 사람들도 대부분 별 탈없이 아직까지는 잘 지내고 있습니다.


입사를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해야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괜찮은 자리를 잡기가 어려워진 지금의 상황을 보고 있노라면 20년도 안되는 사이에 참 많은 일이 일어났구나 하는 생각이 새삼 듭니다. 인구구조상 2016년 이후 취업난에 상당부분 해소될 것이라는 희망섞인 전망도 있긴 하지만 막상 현실에서 맞딱뜨리는 분 입장에서는 실감이 안날듯 합니다.


마침 바쁘게 돌아가던 일 하나가 끝나 조금 한가한 오전 시간에 한번 끄적여봤습니다.

시간이 참 많이 지났구나..



추천 98 비추 1


=========================================



좌파들의 경제 워너비는 사실 김영삼이었다!  갓영삼을 찬양하라!ㅋㅋㅋㅋㅋㅋ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위대한영혼 15-11-26 08:53
   
입에 단 음식이 몸에 해롭듯이 국민만을 위한다는 인기영합정책은 그 결과가 쓰디 쓰다는거 아이엠 에프에서 배웠죠.  저 당시의 좋앗던 시기로 절대 못돌아 갑니다.
새연 15-11-26 10:48
   
몸에 좋을려면 골고루 먹어야져
쓴것도 먹고 단것도 먹고 쓴거만 먹어도 안되고 단거만 먹어도 안되져
 
 
Total 218,6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3) 가생이 08-20 257874
공지 정게 운영원칙 Ver.2018.03.27 (1) 객님 12-03 834099
64927 사람들의 흔한착각. (5) 책임 11-26 412
64926 좌파들주장하는 경제정책은 김영삼이 가장 잘 실천함 (2) 실험가 11-26 886
64925 박근혜 대통령, 뒤끝 또 작렬 (6) 블루로드 11-26 655
64924 무뇌충 무당은... (2) 드림케스트 11-26 382
64923 박 대통령 IS비유 발언, 유럽선 탄핵감 (20) 무장전선 11-25 1409
64922 "한국 대통령이 자국의 시위대를 IS에 비유했다" (2) 블루하와이 11-25 658
64921 경제개발 5개년계획 장면정부공이란건 (58) 무진장여관 11-25 911
64920 이따위 경제 기틀을 마련한 박정희 (15) 진실의고통 11-25 781
64919 그냥 얼척없음 (1) 미우 11-25 414
64918 그럼 경재 기틀.누가다짐??? (20) 하기기 11-25 424
64917 내년 총선때 국정교과서를 이슈로 함 들고나와라.. (3) 인간성황 11-25 415
64916 jtbc 뉴스룸에서 복면법에 대해서 나온다는데... (9) 하람 11-25 642
64915 박정희 평가? (5) 휴머노이드 11-25 524
64914 이토히로부미가 한국을 근대화 시켰지 호두룩 11-25 413
64913 전두환에 대한 고김재익 경제수석의 평가 실험가 11-25 619
64912 박정희 추종자들이 해외 평가를 가져왔네요 (2) 휴머노이드 11-25 512
64911 박정희가 한국을 근대화 시켰지 (2) 호두룩 11-25 306
64910 현대 정주영회장이 내렸던 박정희에 대한 평가 (3) 실험가 11-25 411
64909 노무현"외국에 돌아다녀보니 온통 박정희얘기뿐이더라" (9) 실험가 11-25 2188
64908 국민이나 국가를 사유 재산 쯤으로 알고 있으니 권력 내… 호두룩 11-25 303
64907 참.. 마스크쓰고 시위하면 IS라면서요.. (6) 할쉬 11-25 608
64906 “국민 여러분 내가 당선되면 이런 거 해주겠다. 여기에 … 호두룩 11-25 354
64905 박근혜氏 안갔군요.. (3) 할쉬 11-25 414
64904 도대체 7시간 (6) 어디도아닌 11-25 545
64903 박근혜...감기때문에 고 김영삼 전대통령 영결식 참석못… (1) coooolgu 11-25 490
 <  6141  6142  6143  6144  6145  6146  6147  6148  6149  6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