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10-18 12:03
[한국사] 위운기의 거란정벌과 유성의 고구려국제시장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2,367  


03. 서기 605년, 수나라의 거란 정벌과 유성의 고구려 국제교역 시장


앞서서

한중 학계 통설에서는 북위 이래 당나라 시대까지, 5세기부터 9세기까지 북위 시절 잠시 현 하북성 보정시 수성현으로 영주가 남영주라는 이름으로 교치된 것을 제하고 줄곧 현 요녕성 조양시에 있던 유성현에 영주 치소가 위치했다고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통설기본01.jpg


또한

수나라의 영주가 위치한 요서군은 속현이 1개로 영주의 치소가 위치한 유성현이며 그 인구가 751 호로 4천여 명 내외에 불과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수나라 요서군의 속현과 인구 실태는 한중 학계 통설에서 공인하는 사실입니다.

수요서군01.jpg


이번 03차 추적에서는 605년, 거란이 영주를 약탈하자 수나라의 통역관 위운기가 절도사가 돼 동돌권의 계민가한으로부터 2만 기의 병력을 빌려 상인으로 위장하여 고구려의 국제교역시장이 있던 유성으로 가는 것으로, 당시 고구려 국경에 위치하며 복속돼 있던 거란을 속여서 국경에 들어온 후 야음을 틈타 거란 진영을 기습 공격하여 4만 명을 포로로 삼은 사건을 소개하겠습니다


이 사건은 학계 통설에서도 수나라와 고구려 사이의 긴장관계와 그 전쟁사를 설명하며 빠짐없이 거론되는 것으로 동시에 고구려가 운영하던 국제교역시장의 규모를 가늠하는 척도로 역시 사용되는 사실입니다. 즉 학계 통설의 입장에 선 사람이든 그에 반하는 입장에 선 사람이든 공히 인정하는 사실이라는 말입니다


저는 이 부정하지 못할 사실을 토대로 수나라 영주의 위치, 그리고 학계 통설에서 의무려산을 서한계로 삼는 고구려 최대강역 비정에 의문을 표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제가 직접 해석한, 수서 위운기 열전의 해당 대목입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거란이 영주를 약탈하자 위운기는 돌궐병(계민가한의 2만 기 병력)을 이끌고 그들(거란)을 토벌할 것을 (황제에게) 아뢰어 절도사에 제수되었다.


위운기는 (2만 기의 병력을) 20개의 진(둔)으로 나누어 떨어뜨렸고 진끼리 연락하도록 하여 4열로 움직이게 하며 명령하길


“북을 치면 나아가고, 뿔을 불면 멈춰라. 모두 함께 움직이는 것이 아니면 움직이지 마라.”
하고


그 훈련을 여러번 반복하여 깨우치게(숙달되게) 하였다.


단 한 사람이라도 령을 어기면 즉시 목을 베어 복종케 하니 이에 돌궐 추장들이 알자(위운기)를 섬기며 모두 무릎을 꿇고 나아가며(조아리며) 감히 (위운기의) 얼굴을 올려다보지 못 했다.


會契丹寇營州,詔雲起護突厥兵討之,啟民可汗以二萬騎受節度。雲起使離為二十屯,屯相聯絡,四道並引,令曰:「鼓而行,角而止,非公使,毋走馬。」三喻五復之。

既而紇斤一人犯令,即斬以徇。於是突厥酋長入謁者,皆膝而進,莫敢仰視。


처음에 거란이 돌궐을 섬기며 서로 가까웠으므로 운기가 (돌궐 기병을 이끌고 거란 지역에) 다달음을 알지 못 했다.


이윽고 (거란) 경내에 들어가서 감히 수나라가 시키는 것을 발설할 시 목을 베겠다 하고 돌궐인으로 하여금 유성의 고려시장에 가는 것처럼 (거란인들에게) 속여서 말하게 하니 거란은 의심하지 않았다.


始,契丹事突厥無間,且不虞雲起至。
既入境,使突厥紿云詣柳城與高麗市易,敢言有隋使在者斬。契丹不疑。


이에 (무리를) 이끌고 남쪽으로 가다가 적(거란)의 근거지(營)에서 100리 떨어졌을 때 밤에 진(상인으로 위장한 돌궐기병)을 되돌려 야음을 엄폐로 삼아 거란을 공격하여서 거란남녀 4만명을 포획하였으니


거란 여자와 가축 및 재물의 절반은 돌궐에게 주고 거란 남자는 모두 살해한 뒤에 남은 무리는 돌려보냈다/남은 무리를 데리고 돌아왔다.


因引而南,過賊營百里,夜還陣,以遲明掩擊之,獲契丹男女四萬,以女子及畜產半賜突厥,男子悉殺之,以餘眾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5기습.jpg


상기 수서 위운기 열전에서 보이듯


거란이 영주를 약탈한 직후 수나라는 당시 수나라의 세계질서에 복속되어 가던, 수나라의 지지를 받던 동돌궐 계민가한에게서 2만 기의 병력을 빌려 상인으로 위장시킨 후 국경(돌궐과 고구려의 경계로 이 경계 근처에 거란이 고구려에 복속돼 살고 있었음)을 넘었고, 야음을 틈타 거란의 본거지를 파괴하는 기습공격을 감행하여 성공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깊은 의문이 듭니다

1) 수나라 영주와 유성이 동일 장소가 아니었다는 것

2) 수나라 영주가 있었다는 유성에 학계 통설과 달리 고구려 국제교역시장이 있었다는 것


고려시장.jpg


2만 명의, 상인으로 위장한 돌궐 기병이 유성의 고려시장으로 향하는데도 아무런 의심을 받지 않을 정도로 당시 유성의 고구려 국제교역시장의 규모가 어마어마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에

일단은 이렇게 정리하는 게 합당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1) 만약 유성이 학계 통설대로 현 요녕성 조양시라면 이곳까지 고구려 영토였다는 것

2) 따라서 학계 통설대로 의무려산 어귀까지 간신하게 고구려 영토의 서한선을 표시하는 것은 부당하고 부정확하며, 현 요녕성 조양시까지 고구려 영토로 표시해야 한다는 것


수나라의 605년 거란 정벌과 유성의 고려시장을 두고 학계 통설은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1) 598년 영양왕의 수나라 요서에 대한 선제 타격과 수나라의 1차 고구려 원정의 결과로 수나라는 영주가 있던 유성지역의 지배권을 잃었다

2) 그 결과로 유성에 고려시장, 즉 고구려 국제교역시장이 생길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3) 때문에 수나라는 2차 원정에서 현 북경시인 당시의 탁군을 원정군의 집결지이자 출발지로 삼았다


그러나

강단 주류 학계의 설명이 이러하더라도, 이러하다면

앞서 제가 정리한 대로 역시 늦어도 600년부터 수나라의 제 2차 고구려 원정이 개시된 612년까지는

(학계 통설대로 유성이 현 요녕성 조양시에 있었다고 한다면) 현 조양시까지 고구려 영토로 표시해야 합당할 것입니다


다음은 이 사건과 당시 수-고구려 관계에 대한 학계 통설의 입장을 충실히 반영한 김용만 박사의 글입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2919&cid=59016&categoryId=5902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2927&cid=59016&categoryId=59023


다음은 중국역사지도집에서 제시하는 수나라 당시의 동아시아 판도입니다

Screenshot_20181018-103301_Gallery.jpg
Screenshot_20181018-103254_Gallery.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10-18 12:16
   
수양제는 등극 후
장성 보수와 운하 공사를 재개합니다

만약 현 요녕성 조양시가 수나라 영주였다면
수나라는 영주를 장성 밖에 위치시켰다는 것이 됩니다

더구나 그 영주가 관할하는 요서군은
학계 통설에 따르면 연산산맥에서 동요하까지 광대한 영역임에도 속현은 1개에 가구수는 751호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감방친구 18-10-18 12:27
   
학계 통설을 구성하고 수구하는 강단주류에 속한 사학자든 이들을 추종하는 역사 탐문자 또는 역사 애호가든

605년 당시 수나라 영주와 유성의 별리라는 통설의 모순을 합리적으로 설명해야 할 것입니다
incombat 18-10-19 08:49
   
수양제가 보수했다는 장성은 어디에 있는지도 관건이겠네요.
     
감방친구 18-10-20 04:23
   
수나라가 장성을 보수한 것은 돌궐을 막기 위해서였습니다
이 시대와 이 시대 이전의 장성은 여러개가 있으나 갈석산 근처가 동한선이며 임유관이 그 종말점입니다

지금의 산해관과 그 장성은 명나라 때의 것입니다

난하 동쪽의 장성 유적은 실질상 없습니다

현 요심지역까지 뻗었다는
전국시대 연나라의 소위 연북장성이니 연남장성이니 하는 것은 토성의 흐릿한 흔적, 몇 개의 보 유적을 뭉뚱그려서 연장성이라고 억지를 부리고 있는 것입니다

수나라가 만약 학계통설의 요서군을 지키고자 현 난하 동쪽에 장성을 쌓거나 보수 개축했다면 흔적이 뚜렷해야 할 것이며

그게 아니라도 장성을 지키는 수비대가 상주해야 합니다

그런데 기록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위구르 18-10-24 02:24
   
박사님이 쓰는 책이 하루빨리 출판되기를 고대합니다.
적폐척결 19-01-01 00:51
   
저도기대해봅니다
 
 
Total 3,54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545 [한국사] 대박... 책 나오네요. (5) 꼬마러브 10-18 2657
3544 [한국사] '왜(倭)은 무슨뜻인가요? (5) 뉴딩턴 10-18 2252
3543 [한국사] 위운기의 거란정벌과 유성의 고구려국제시장 (6) 감방친구 10-18 2368
3542 [한국사] 역잘알님들 이순신관련 사실여부 판단해주세요. (35) Azd2onbk 10-17 2043
3541 [한국사] 태양 새 숭배하는 고대동이족 산라 고구려싸지 영향 … (2) 뉴딩턴 10-17 1404
3540 [한국사] 5호 16국 시대에 고구려나 부여가 강성했다면 중국에 … (2) 미먀미며 10-17 1369
3539 [한국사] 일본 해군 제독 도고가 이순신 장군을 존경했다? (4) 송구리 10-17 2551
3538 [한국사] 수나라 요서군의 실상 (6) 감방친구 10-17 1783
3537 [한국사] 조선의 방탄도령단 (10) 레스토랑스 10-16 2160
3536 [한국사] [펌] 세습 노비가 조선에만 있었다는 말의 출처는? (22) 송구리 10-16 2569
3535 [한국사] 학계통설의 영주(營州)와 고구려 서계(西界) (3) 감방친구 10-16 2358
3534 [한국사]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한 역사적 인물들의 평가 (14) 레스토랑스 10-15 2263
3533 [한국사] 신돈과 신숙주 누가 더 해악을 끼쳤는가? (4) 이콩이 10-15 1615
3532 [한국사] 호흡의 비밀... (9) 히든카드3 10-15 2055
3531 [한국사] 역대 조선왕들의 사망원인 (1) 레스토랑스 10-15 1971
3530 [한국사] [흔한 역사만화] 조선의 흔한 드레스코드 (3) 레스토랑스 10-14 2907
3529 [한국사] 퇴계 이황의 비정한 가족사, 인생 최악의 시련 BTSv 10-13 2381
3528 [한국사] [흔한 역사만화] 조선의 흔한 조공외교 (5) 레스토랑스 10-13 2448
3527 [한국사] 고구려 백제 신라 한반도 토척세력인가요? (11) 뉴딩턴 10-13 3275
3526 [한국사] 조선의 흔한 무기.jpg (10) 레스토랑스 10-13 5575
3525 [한국사] 10월03일자 차이나는 클라스에 신라와 유목민족 내용… (1) 패닉호랭이 10-11 3320
3524 [한국사] 동이와 장옥정 둘 중 뭐가 진실에 가깝죠? (4) BTSv 10-09 1739
3523 [한국사] 양만춘이 여자라는 가설도 있었군요 (17) 꼬꼬동아리 10-08 3631
3522 [한국사] 도배시러님께 (37) 감방친구 10-08 2438
3521 [한국사] 썩어도 준치라고 몽골족들의 전투력은 병자호란에서… (22) 촐라롱콘 10-05 5872
3520 [한국사] EBS 질문 있는 특강쇼 - 빅뱅(단군은 역사다(우실하) vs… (9) 신수무량 10-05 2534
3519 [한국사] 수/당 고구려 침략기 영주 추적의 서광 (25) 감방친구 10-04 4417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