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2-02-25 08:55
[전기/전자] 노벨상을 받아야 할 분들
 글쓴이 : 이름없는자
조회 : 3,076  

여러분에겐 낫설겠지만 80년대 대학에서 반도체회로 설계 과목을 
들었으면 한번쯤 봤을 만한 책이 있다. 미드 & 콘웨이의 책

https://images-na.ssl-images-amazon.com/images/I/616Iy5Yd1mL._SX402_BO1,204,203,200_.jpg

이책에서 소위 말하는 반도체 디자인 룰이라는 걸 만들어서 
물리적 공정기술과 전자회로 설계를 분리할 수 있게 되었다.

저 설계방법론이 나오기 전에는 반도체 설계자는 직접 플로어 플래닝이나 물리적 레이아웃을 
다루어야 해서 전자회로 설계와 반도체 공정기술에 관한 지식 둘다 필요했지만 
물리적 특성을 요즘 말하는 몇 나노니 하는 최소 피처 사이즈라는 디자인룰로 바꾸어서 
반도체 공정기술과 큰 상관없는 셀 형상으로 설계를 할 수 있게 해준 발명이다.
그당시 최신 공정이 선폭이 2 마이크론 정도 였다. 

이로서 수천 개 이상의 게이트를 가진 회로가 설계가능해졌고 
회로 설계와 공정을 분리해 이를 자동화 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오늘날 1000억 개의 트랜지스트를 가진 반도체 혁명의 초석을 만든 기술이다.
참고로 인간의 뇌세포는 4조개라고 한다.

미드 와 콘웨이는 공적에 비해서는 크게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은데
80년대 반도체 업계사람들은 거의 다 저 책을 보고 배워 반도체 설계를 했었다.
두 분다 지금은 연세가 80대 후반이라 아마 지체하면 수상기회가 없을 것이다.
고든 무어와 로버트 노이스 도 노벨상을 받았으니 이들도 노벨상을 받을 만 하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승후니 22-02-25 11:21
   
솔직히 인정합니다.
반도체 역사에서 게임 체인저라 할 만한 커다란 전환점이었지요.
VeriLog 같은 툴이 처음 나오게 된 게 바로 이 책을 쓴 분의 업적이었죠.
의자늘보 22-02-27 11:24
   
뇌세포는 4조개지만, 신경세포는 1000억개 정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세포 하나당 시넵시스(신경세포간 연결)은 1000개 정도라서 트랜지스터가 1000억개라고 한들 2진법만 하는 트랜지스터에 비해 상대도 안 되게 많은 정보를 전달 할 수 있습니다.
굳이 해석하자면 2의 1000승(10억)진법을 쓰는 메모리 수가 1000억개 정도라고 할까요?
한마디로, 뇌의 능력(대부분의 사람들은 평생 절반도 못쓴다고 하죠.) 따라갈려면 아직도 까마득하다는 말이죠.
 
 
Total 2,58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55 [전기/전자] '소부장' 일본 의존 탈피..길은 멀지만 가능성 보… (5) 꼬마와팻맨 03-03 4026
2354 [전기/전자] 삼전 총체적으로 망한듯? (25) 가세요 03-03 7025
2353 [전기/전자] 노벨상을 받아야 할 분들 (2) 이름없는자 02-25 3077
2352 [전기/전자] 전기 배선 컨넥터 WAGO (4) 이름없는자 02-21 2956
2351 [전기/전자] 풍원정밀, 일본 전량 수입 OLED용 FMM 국산화 (3) EIOEI 02-08 6813
2350 [전기/전자] 일본이 수출 막은 그 원료…국산화 해냈다 (9) 케이비 02-08 7255
2349 [전기/전자] 삼성 엑시노스 2200 성능 좋은 전망 (14) 이름없는자 01-24 3652
2348 [전기/전자] 삼성전자의 미래가 상당히 어두운 이유 (17) 사이다맛쥐 01-24 4922
2347 [전기/전자] 1-2년 후에 그래픽 카드 가격이 정상화 될까? (13) 이름없는자 01-23 2734
2346 [전기/전자] 반도체 파운드리 웨이퍼 가격 자료 (2) 이름없는자 01-21 2966
2345 [전기/전자] 소니 플스와 MS 액박 그리고 콜옵과 FPS 게임. (3) 이름없는자 01-21 2066
2344 [전기/전자] 인텔이 tsmc에 웃돈주고 맡긴게 승리자가 됐군요 (18) 가세요 01-13 4915
2343 [전기/전자] 갤럭시 S22 퀄컴 스냅드래곤 8 G1 사용할 듯 (1) 이름없는자 01-13 1853
2342 [전기/전자] 실망스런 엑시노스 2200 (17) 이름없는자 01-13 4161
2341 [전기/전자] 삼성전자 vs TSMC vs 도요타 재정 현황 (14) 강남토박이 01-13 5036
2340 [전기/전자] '반도체특별법' 법사위 통과..정부, 백신·2차전지… 검찰개혁 01-10 4136
2339 [전기/전자] 일본의 반도체 징징징 (6) 이름없는자 01-10 5118
2338 [전기/전자] 토종 OTT, 글로벌 시장 '출격의 해' 될 듯 (6) 카카로니 01-09 2811
2337 [전기/전자] 중국 반도체기업 Espressif (24) 이름없는자 01-07 7456
2336 [전기/전자]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국내 기업이 25% (2) 검찰개혁 01-04 6555
2335 [전기/전자] AMD 삼성 3나노 공정으로 ARM기반 AP 설계 완료 단계 (4) 강남토박이 01-01 3734
2334 [전기/전자] 스고이 닛뽕!!!! (20) 냐웅이앞발 12-30 8632
2333 [전기/전자] 중국의 반도체 굴기는 끝났을까? (13) 므흣합니다 12-23 6360
2332 [전기/전자] 동진쎄미켐, EUV 포토레지스트 국산화 (3) 축신 12-20 3698
2331 [전기/전자] 오포 폴더블폰으로 삼성에 도발했다길레... (11) 글로벌셀러 12-18 5673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