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뉴스
HOME > 뉴스 게시판 > 해외뉴스
 
작성일 : 15-01-12 11:42
[영국] 종교는 언젠가 사라질 것인가? (1) - 종교문제에 관심있으신 분들 찬찬히 읽어보세요
 글쓴이 : 블루로드
조회 : 5,962  
   http://www.bbc.com/future/story/20141219-will-religion-ever-disappear [361]

학생이나 영어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영어 원문도 찬찬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0.JPG



Will religion ever disappear?

종교는 언젠가 사라질 것인가?


p02fldy3.jpg


The lighting of a cross during the Christian Los Escobazos Festival in Spain, celebrating the conception of the Virgin Mary (Getty Images)

성모마리아의 임신을 축하하는 스페인의 기독교 Los Escobazos 축제 동안 십자가에 불을 붙임



Atheism is on the rise around the world, so does that mean spirituality will soon be a thing of the past? Rachel Nuwer discovers that the answer is far from simple.


무신론이 전세계적으로 많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것은 영적인 것이 곧 과거의 것이 될 것이라는 의미일까? Rachel Nuwer는 대답이 간단하지 않음을 밝혀냈다.


A growing number of people, millions worldwide, say they believe that life definitively ends at death – that there is no God, no afterlife and no divine plan. And it’s an outlook that could be gaining momentum – despite its lack of cheer. In some countries, openly acknowledged atheism has never been more popular.


인간의 삶은 사망시 완전히 끝난다고 믿는 사람들이 전세계적으로 점점 늘어나 수백만명에 이른다 - 이것은 신, 사후 세계, 그리고 신의 계획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무신론이 탄력을 받을 것 같다는 전망이다 - 격려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몇몇 나라에서는 공개적으로 인정되는 무신론이 대중적으로 널리 보급된 적이 없었다.


“There’s absolutely more atheists around today than ever before, both in sheer numbers and as a percentage of humanity,” says Phil Zuckerman, a professor of sociology and secular studies at Pitzer College in Claremont, California, and author of Living the Secular Life. According to a Gallup International survey of more than 50,000 people in 57 countr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claiming to be religious fell from 77% to 68% between 2005 and 2011, while those who self-identified as atheist rose by 3% – bringing the world’s estimated proportion of adamant non-believers to 13%.


“사람 숫자로 보나 백분율로 보나, 무신론자들이 예전 보다는 오늘날 절대적으로 더 많습니다,”라고 미 캘리포니아 클레어몬트에 있는 피처대학의 사회학과 세속의 연구의 교수이자 ‘세속의 삶을 살다’의 저자인 Phil Zuckerman이 말했다. 갤럽이 국제적으로 57개 국가에서 50,000명이 넘는 사람들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종교를 믿는다고 자칭하는 사람들의 수가 2005년에서 2001년 사이 77%에서 68%로 떨어졌는데, 반면 무신자라고 스스로 확인해 준 사람은 3%가 늘었다 - 이로써 전세계의 확고한 비신자의 추정 비율은 13%가 된다.


While atheists certainly are not the majority, could it be that these figures are a harbinger of things to come? Assuming global trends continue might religion someday disappear entirely?


현재 무신론자가 확실한 주류는 아니지만, 이러한 수치는 앞으로 올 것의 징조일 수 있을까? 이러한 추세가 세계적으로 계속된다고 가정한다면, 종교가 언젠가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을까?


It’s impossible to predict the future, but examining what we know about religion – including why it evolved in the first place, and why some people chose to believe in it and others abandon it – can hint at how our relationship with the divine might play out in decades or centuries to come.


미래를 예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종교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들여다보면 -  제일 먼저, 왜 종교가 진화(evolved, 만들어 지고 계속 발달해 왔음) 했는지, 그리고 왜 일부 사람들은 종교를 믿고 그리고 또 다른 사람들은 종교를 버리는지 - 앞으로 다가올 수십년 또는 수백년 안에 우리와 신과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에 대해 힌트를 얻을 수 있다.


p02flfyd.jpg

A priest in Ukraine holds a cross in the ruins of Kiev's Trade Union building earlier this year (Getty Images)

올해 초 우크라이나에서 한 목사가 키에프 트레이드 유니온 빌딩의 폐허 위에서 십자가를 들고 있다 


Scholars are still trying to tease out the complex factors that drive an individual or a nation toward atheism, but there are a few commonalities. Part of religion’s appeal is that it offers security in an uncertain world. So not surprisingly, nations that report the highest rates of atheism tend to be those that provide their citizens with relatively high economic, political and existential stability. “Security in society seems to diminish religious belief,” Zuckerman says. Capitalism, access to technology and education also seems to correlate with a corrosion of religiosity in some populations, he adds.


학자들이 아직도 개인이나 국가를 무신론으로 만드는 복합적인 요소들을 힘들여 찾아내고 있지만, 거기에는 몇가지 공통점이 있다.  종교의 매력 중 하나는 불확실한 세상에 안정감을 준다는 것이다.  그래서 별로 놀랍지는 않지만, 무신론의 비율이 최고로 높다고 보고되는 국가들은 비교적 높은 경제적, 정치적 그리고 실존적 안정을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사회의 안정은 종교적인 믿음을 약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라고 Zuckerman은 말한다. 몇몇 지역의 사람들에게는 자본주의, 과학기술을 접한 경험, 그리고 교육이 독실한 믿음이 쇠퇴한 것과 또한 연관이 있는 것 같다고 그는 덧붙였다.



Crisis of faith

위기의 믿음


Note) Faith (믿음) : 증거보다는 신앙적 견해에 바탕을 두고 신의 존재나 어떤 종교의 교리를 강하게 믿는 것 (Strong belief in God or in the doctrines of a religion, based on spiritual apprehension rather than proof.).


Japan, the UK, Canada, South Korea, the Netherlands, the Czech Republic, Estonia, Germany, France and Uruguay (where the majority of citizens have European roots) are all places where religion was important just a century or so ago, but that now report some of the lowest belief rates in the world. These countries feature strong educational and social security systems, low inequality and are all relatively wealthy. “Basically, people are less scared about what might befall them,” says Quentin Atkinson, a psychologist at the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일본, 영국, 캐나다, 대한민국, 네덜란드, 체코, 에스토니아, 저머니, 프랑스, 우루과이는 모두 단 100여년 전 정도만 해도 종교가 중요한 나라들이었지만, 지금은 세계에서 가장 믿지 않는 사람의 비율이 높은 나라로 보고된다. 이들 나라는 강력한 교육적 그리고 사회적 안전망과 낮은 수준의 불평등이 특징이며, 모두 상대적으로 부유하다. “기본적으로 (안전하고 잘 사는 나라의) 사람들은 그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것에 대해 겁을 덜 먹습니다.”라고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의 심리학자 Quentin Atkinson은 말한다.


2.jpg

Yemeni girls show their hands decorated with traditional henna designs as they celebrate the end of Ramadan (Getty Images)

예맨의 여자아이들이 라마단이 끝나는 것을 축하하며 전통적인 헤너 디자인으로 꾸민 손을 보여주고 있다.


Yet decline in belief seems to be occurring across the board, including in places that are still strongly religious, such as Brazil, Jamaica and Ireland. “Very few societies are more religious today than they were 40 or 50 years ago,” Zuckerman says. “The only exception might be Iran, but that’s tricky because secular people might be hiding their beliefs.”


그렇지만 브라질, 자메이카 그리고 아일랜드 같이 여전히 신앙이 독실한 지역을 포함해서 믿음의 쇠퇴가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 처럼 보인다. “오늘날 지극히 작은 숫자의 사회만이 40, 50년 전보다 신앙심이 더 깊어졌습니다.”고 Zuckerman은 말한다. “단 하나의 예외는 이란일 수 있는데, 그렇나 그렇게 말하기가 까다롭습니다. 그 이유는 세속적인(비종교적인) 삶을 사는 사람들이 그들의 믿음을 감출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The US, too, is an outlier in that it is one of the wealthiest countries in the world, but also has high rates of religiosity. (Still, a recent Pew survey revealed that, between 2007 and 2012, the proportion of Americans who said they are atheist rose from 1.6% to 2.4%.)


미국도 또 특이한 나라인데, 미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 중 하나이지만, 또한 독실한 신앙심을 가진 사람의 비율이 높다. (그럼에도, 최근의 퓨 리서치 센터의 조사는 2007년에서 2012년 사이 자신을 무신론자라고 말하는 미국인이 1.6%에서 2.4%로 늘었다고 밝혔다.)


Note) Pew 리서치 센터는 미국 워싱턴에 있는 객관적인 싱크탱크로, 미국과 세계에 크게 영향을 주는 사회적 이슈와 대중의 여론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추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Decline, however, does not mean disappearance, says Ara Norenzayan, a social psychologist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in Vancouver, Canada, and author of Big Gods. Existential security is more fallible than it seems. In a moment, everything can change: a drunk driver can kill a loved one; a tornado can destroy a town; a doctor can issue a terminal diagnosis. As climate change wreaks havoc on the world in coming years and natural resources potentially grow scarce, then suffering and hardship could fuel religiosity. “People want to escape suffering, but if they can’t get out of it, they want to find meaning,” Norenzayan says. “For some reason, religion seems to give meaning to suffering – much more so than any secular ideal or belief that we know of.”


그렇지만, 쇠퇴라는 것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라고 캐나다 밴쿠버에 소재한 브리티쉬 콜럼비아 대학의 사회심리학자이자 ‘큰 신들’의 저자인 Ara Norenzayan 말한다. 실제하는 안전(Existential security)은 보기 보다 더 잘못되기 쉽다. 한 순간에, 모든 것이 변할 수 있다: 술 취한 운전자가 사랑하는 사람을 죽일 수 있다; 토네이도가 한 마을을 파괴할 수 있다; 의사가 말기진단을 떼어줄 수도 있다. 기후 변화가 향후 이 세계에 큰 피해를 주고 천연자원이 귀하게 될 가능성이 있음에 따라, 그때의 고통과 어려움은 신앙심에 기름을 부을 수도 있다. “사람들은 고통에서 탈출하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그 고통으로 부터 빠져 나오지 못한다면, 그들은 (왜 고통으로 부터 빠져나온지 못했는지) 그 의미를 알고 싶어합니다”라고 Norenzayan은 말한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종교는 고통에 의미 -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어떤 세속의 이상적인 것이나  믿음 보다도 더 많이 - 를 부여하는 것 같습니다.”


3.jpg


In the Philippines, survivors of Super Typhoon Haiyan march during a religious procession (Getty Images)

필리핀에서 초대형 태풍 하이옌으로 부터 살아난 사람들이 종교행렬의식 동안 행진하고 있다


This phenomenon constantly plays out in hospital rooms and disaster zones around the world. In 2011, for example, a massive earthquake struck Christchurch, New Zealand – a highly secular society. There was a sudden spike of religiosity in the people who experienced that event, but the rest of the country remained as secular as ever. While exceptions to this rule do exist – religion in Japan plummeted following World War II, for instance – for the most part, Zuckerman says, we adhere by the Christchurch model. “If experiencing something terrible caused all people to become atheists, then we’d all be atheists,” he says.  


이런 현상이 지속적으로 전세계의 병실과 재해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2011년에 엄청나게 큰 지진이 상당히 비종교적인 뉴질랜드, 그 뉴질랜드에 있는 크라이스트처치 (뉴질랜드 동부의 도시)를 덮쳤다. 그 사건을 겪은 사람들 사이에서 독실한 신자들이 갑자기 많아 졌다. 그러나 뉴질랜드의 나머지 지역은 이전과 같이 비종교적인 그대로 였다. 이러한 규칙에 대한 예외가 반드시 있기는 하지만 - 일본에서 종교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곤두박질 쳤다 -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크라이스트처지 모델을 고수한다고 Zuckerman은 말한다. “만약 어떤 끔찍한 경험이 모든 사람들을 무신론자로 만든다면, 그렇다면 우리는 모두 무신론자일 것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The mind of god

신의 마음


But even if the world’s troubles were miraculously solved and we all led peaceful lives in equity, religion would probably still be around. This is because a god-shaped hole seems to exist in our species’ neuropsychology, thanks to a quirk of our evolution.


그러나 이 세상의 어려움들이 기적적으로 해결되고 우리 모두가 평등한 가운데 평화로운 삶에 이르렀을 지라도, 아마도 종교는 계속 우리 주변에 있을 것이다. 이것은 ‘신 같이 생긴 모양의 구멍’이 우리 인간이라는 종의 신경심리학에 있는 것 같기 때문이다 - 우리의 기묘한 진화에 감사를.


4.jpg

A rabbi reads during Purim festivities (Getty Images)

푸림 축제행사 중에 경전을 읽고 있는 랍비


Understanding this requires a delve into “dual process theory”. This psychological staple states that we have two very basic forms of thought: System 1 and System 2. System 2 evolved relatively recently. It’s the voice in our head – the narrator who never seems to shut up – that enables us to plan and think logically.


이것을 이해하려면 “듀얼 프로세스 이론”을 파고드는게 필요하다. 이 정신적 주요 요소는 우리가 두개의 매우 기본적인 생각의 형식을 가지고 있다고 분명하게 말해준다: 시스템 1과 시스템 2. 시스템 2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진화했다. 이것은 우리 머리 속에 있는 목소리다 - 입을 전혀 다물지 않는 것 같이 보이는 내레이터(말하는 사람) - 이것이 우리를 논리적으로 계획하고 생각 할수 있게 해준다.


System 1, on the other hand, is intuitive, instinctual and automatic. These capabilities regularly develop in humans, regardless of where they are born. They are survival mechanisms. System 1 bestows us with an innate revulsion of rotting meat, allows us to speak our native language without thinking about it and gives babies the ability to recognise parents and distinguish between living and nonliving objects. It makes us prone to looking for patterns to better understand our world, and to seek meaning for seemingly random events like natural disasters or the death of loved ones.


반면 시스템 1은 직관적이고 본능적이며 자동적이다. 이러한 능력은 인간이 어디에서 태어나던지 간에 어김없이 인간 내부에서 발달한다. 이것은 생존 메카니즘이다. 시스템 1은 우리에게 썩은 고기에 대한 선천적인 혐오감을 부여하고, 우리가 우리의 모국어를 생각을 하지 않고 말하게 해주며, 아기에게 부모를 인식하는 능력과 살아있는 것과 죽은 것은 구별하는 능력을 준다. 이것은 우리가 세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패턴들을 찾는 것과, 자연재해 또는 사랑하는 이의 죽음과 같이 겉으로 보기에 무작위로 발생하는 사건들에 대한 의미를 찾기 쉽게 해준다.  


5.jpg

An Indian Sikh lights candles during Bandi Chhor Divas, or Diwali (Getty Images)

해방의 날 (Bandi Chhor Divas) 또는 빛의 축제 (Diwali) 에서 시크 교도 인도인이 초에 불을 붙이고 있다


In addition to helping us navigate the dangers of the world and find a mate, some scholars think that System 1 also enabled religions to evolve and perpetuate. System 1, for example, makes us instinctually primed to see life forces – a phenomenon called hypersensitive agency detection – everywhere we go, regardless of whether they’re there or not. Millennia ago, that tendency probably helped us avoid concealed danger, such as lions crouched in the grass or venomous snakes concealed in the bush. But it also made us vulnerable to inferring the existence of invisible agents – whether they took the form of a benevolent god watching over us, an unappeased ancestor punishing us with a drought or a monster lurking in the shadows.


세상의 위험에 대처하고 배우자를 찾도록 우리를 돕는 것에 더해서, 일부 학자들은 시스템 1이 또한 종교가 진화하고 영속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우리가 어디를 가던지 간에, 시스템 1은 우리로 하여금 생명의 힘을 본능적으로 알아볼 수 있게 만든다 - 행위자 과잉 감지 장치(Hypersensitive Agency Detection, HAD)라 불리는 현상 - 그 생명의 힘이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상관없이 말이다. 수천년 전, 이러한 성향은 아마도 수풀 속에서 웅크리고 있는 사자나, 덤불 속에 숨어 있는 독이 있는 뱀 같이 보이지 않는 곳에 도사리고 있는 위험을 피하도록 도움을 줬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우리로 하여금 증거와 정보에 기반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행위자(agents)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결론 내리는 능력을 취약하게 만든다 - 그 행위자가 우리를 지켜주는 자애로운 신, 또는 우리를 가뭄으로 벌하는 화를 진정시키지 못하는 조상, 또는 어둠속에 숨어 있는 괴물의 모습으로 나타나던지 간에 말이다.


Similarly, System 1 encourages us to see things dualistically, meaning we have trouble thinking of the mind and body as a single unit. This tendency emerges quite early: young children, regardless of their cultural background, are inclined to believe that they have an immortal soul – that their essence or personhood existed somewhere prior to their birth, and will always continue to exist. This disposition easily assimilates into many existing religions, or – with a bit of creativity – lends itself to devising original constructs.


마찬가지로, 시스템 1은 우리가 사물을 이원적으로 보게 만드는데, 이는 우리가 정신과 신체를 하나의 합쳐진 완전한 개체로써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을 겪게 만든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성향은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있어) 상당히 일찍 생겨났다: 문화적인 배경에 상관없이 어린 아이들은 자신들이 불멸의 영혼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 불멸의 영혼이란 그들이 태어나기 전에 어디에선가 존재했었고 그리고 앞으로도 항상 계속해서 존재할 그들의 영적 존재 또는 인격체이다. 이러한 성향이 기존의 많은 종교로 쉽게 동화되게 만들거나, 또는 - 창의력을 조금 더해서 - 원래 있던 개념을 고쳐 만든 것에 쉽게 적응하도록 만든다.


6.jpg

An Indian Hindu devotee a day ahead of the Chhat festival (Getty Images)

차트 축제(Chhat festival)를 하루 앞둔 헌신적으로 힌두교를 추종하는 인도인


“A Scandinavian psychologist colleague of mine who is an atheist told me that his three-year-old daughter recently walked up to him and said, ‘God is everywhere all of the time.’ He and his wife couldn’t figure out where she’d gotten that idea from,” says Justin Barrett, director of the Thrive Center for Human Development at Fuller Theological Seminary in Pasadena, California, and author of Born Believers. “For his daughter, god was an elderly woman, so you know she didn’t get it from the Lutheran church.”


“내 동료인 스칸디나비아 심리학자는 무신론자인데, 최근에 그의 3살 된 딸이 그에게 다가와서는 ‘신은 어디에도 항상 존재한다’고 말했다고 그는 나에게 알려줬습니다. 그와 그의 아내는 딸이 어디에서 그런 생각을 얻게 되었는지 알수가 없었다고 합니다.”라고 저스틴 바렛이 말했다. 저스틴 바렛은 미국 캘리포니아 파사데나에 있는 풀러신학교의 인간개발을 위한 번영센터에서 이사로 있으며 ‘타고난 신자들’의 저자이기도 하다. “그의 딸에게 있어, 신은 나이가 많은 여성입니다. 따라서 그 딸은 그런 생각을 루터교 교회로 부터 얻은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For all of these reasons, many scholars believe that religion arose as “a byproduct of our cognitive disposition”, says Robert McCauley, director of the Center for Mind, Brain and Culture at Emory University in Atlanta, Georgia, and author of Why Religion Is Natural and Science Is Not. “Religions are cultural arrangements that evolved to engage and exploit these natural capacities in humans.”


이런 모든 이유로, 많은 학자들은 종교가 “우리가 가진 인지성향의 부산물”로써 생겨난 것으로 믿는다고 로버트 맥컬리는 말한다. 로버트 맥컬리는 조지아주 아트란타의 에모리대학에 있는 정신과 뇌 그리고 문화의 센터에서 이사로 있으며 ‘왜 종교는 자연적이며 과학은 자연적이지 않는가’의 저자이기도 하다. “종교는 인간이 이러한 자연적인 능력들을 끌어내어 활용할 수 있도록 발전한 문화적인 방식이다.”

 


Hard habits to break

고치기 힘든 습관


Atheists must fight against all of that cultural and evolutionary baggage. Human beings naturally want to believe that they are a part of something bigger, that life isn’t completely futile. Our minds crave purpose and explanation. “With education, exposure to science and critical thinking, people might stop trusting their intuitions,” Norenzayan says. “But the intuitions are there.”


무신론자들은 모든 문화적인 낡은 인습과 진화의 낡은 유전자들 (evolutionary baggage: 과거에는 유용했지만, 진화를 해오면서 현재의 자연선택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유전자 무리)에 반드시 맞서 싸워야만 한다. 인류는 자연적으로 자신들이 좀 더 큰 무엇인가의 일부라는 것과   삶이 완전히 헛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믿고 싶어한다. 우리의 정신은 (삶의) 목적과 (삶의 이유에 대한) 설명를 갈망한다. “교육과 함께 과학과 비판적 사고를 체험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시스템 1의 본능적인) 직관을 믿지 않게 될 수도 있다”고 Norenzayan은 말한다. “그러나 직관이라는 것은 계속 존재한다”


7.jpg

Azerbaijani Muslims pray at the end of Ramadan (Getty Images)

라마단이 끝날때 기도하는 아제르바이잔 무슬림들


On the other hand, science – the system of choice that many atheists and non-believers look to for understanding the natural world – is not an easy cognitive pill to swallow. Science is about correcting System 1 biases, McCauley says. We must accept that the Earth spins, even though we never experience that sensation for ourselves. We must embrace the idea that evolution is utterly indifferent and that there is no ultimate design or purpose to the Universe, even though our intuition tells us differently. We also find it difficult to admit that we are wrong, to resist our own biases and to accept that truth as we understand it is ever changing as new empirical data are gathered and tested – all staples of science. “Science is cognitively unnatural – it’s difficult,” McCauley says. “Religion, on the other hand, is mostly something we don’t even have to learn because we already know it.”


반면에, 과학 - 자연계를 이해하기 위해 수많은 무신론자들과 믿지 않는 사람들이 찾는 선택의 시스템 - 은 삼키기 쉬운 인지(cognition)라는 알약이 아니다. 과학은 시스템 1에 의해 왜곡된 것을 수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라고 맥컬리는 말한다. 우리는 지구가 자전 한다는 것을 받아 들여야만 하며, 우리가 그러한 느낌(지구가 돈다는 느낌)을 우리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못한다 할지라도 말이다. 우리의 (본능적인) 직관이 우리에게 다르게 알려 주더라도, 우리는 진화가 지극히 평범한 것이며, 우주에 대한 궁극적인 설계나 목적도 없다는 개념을 받아 들여야만 한다. 또한 우리는 우리 자신이 가지고 있는 편견에 대항하여 그리고 우리가 의미하는 과학이라는 진실이 실험에 바탕을 둔 새로운 데이타들이 취합되고 실험됨 - 모두 과학의 결과물들임 - 으로써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받아 들여, 우리가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기가 어렵다는 것도 안다. “과학은 인지적으로 부자연스럽습니다 - 어려운 것입니다. ”라고 맥컬리는 말한다 (직관적이고 본능적이며 자동적인 인지과정이 자연스러운 우리 두뇌의 사고 시스템 1에게 과학은 자연스럽지 않고 어렵다는 뜻). “반면, 종교는 대개 우리가 이미 알고 있기에 우리가 배울 필요조차 없는 것이다.”


Note) Cognition (인지) : 자극을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일련의 정신 과정. 지각, 기억, 상상, 개념, 판단, 추리를 포함하여 무엇을 안다는 것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용어


“There’s evidence that religious thought is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Barrett adds. “You’d have to fundamentally change something about our humanity to get rid of religion.” This biological sticking point probably explains the fact that, although 20% of Americans are not affiliated with a church, 68% of them say that they still believe in God and 37% describe themselves as spiritual. Even without organised religion, they believe that some greater being or life force guides the world.


“종교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저항이 가장 작은 길이라는 증거가 있습니다.”라고 Barrett이 덧붙였다. “종교가 없는 인간다움(humanity)에 위해서는 사람들이 무엇인가를 근본적으로 바꾸어야만 할것 같습니다.” 이 생물학적 걸림돌(시스템 1)은 미국인의 20%가 교회에 소속되지 않았더라도, 그 중 68 %는 그들이 아직도 하나님을 믿으며 그리고 37%는 자신이 영적 존재라고 말한다는 사실이 이를 대체로 설명해준다. 심지어 조직화 된 종교가 없이도, 사람들은 몇몇 위대한 존재나 생명의 힘이 인도한다고 믿는다.


8.jpg

Buddhist monks file towards a ceremony at Sampov Treileak pagoda in Cambodia (Getty Images)

불교 승려들이 캄보디아에 있는 Sampov Treileak pagoda에서 종교의식 행사장 쪽으로 줄지어 가고 있다.


Similarly, many around the world who explicitly say they don’t believe in a god still harbour superstitious tendencies, like belief in ghosts, astrology, karma, telepathy or reincarnation. “In Scandinavia, most people say they don’t believe in God, but paranormal and superstitious beliefs tend to be higher than you’d think,” Norenzayan says. Additionally, non-believers often lean on what could be interpreted as religious proxies – sports teams, yoga, professional institutions, Mother Nature and more – to guide their values in life. As a testament to this, witchcraft is gaining popularity in the US, and paganism seems to be the fastest growing religion in the UK.


이와 유사하게, 자신은 신을 믿지 않는다고 분명하게 말하는 전세계의 수많은 사람들 조차도  유령, 점성술, 칼마(업), 텔레파시 또는 환생에 대한 믿음 같은 미신을 믿는 성향을 마음 속에 가지고 있다. “스칸디나비아에 사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들은 신을 믿지 않는다고 말하지만, 초자연적인 그 어떤 것과 미신을 믿는 믿음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 보다 더 높은 경향이 있다.”고 Norenzayan은 말한다. 이에 더하여, 비신자들은 삶에 있어 그들 자신의 가치를 이끌내기 위해 종교의 대체물로 해석될 수 있는 것 - 스포츠 팀, 요가, 전문가 단체, 어머니와 같은 대자연 그리고 그 밖에도 많음 - 에 흔히 의지한다. 이에 대한 증거로써, 미국에서 마술은 인기를 얻고 있고, 그리고 UK에서는 세계의 주요 종교가 아닌 다른 종교나 무신론에 대한 믿음이나 활동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종교로 보인다.


Religious experiences for non-believers can also manifest in other, more bizarre ways. Anthropologist Ryan Hornbeck, also at the Thrive Center for Human Development, found evidence that the World of Warcraft is assuming spiritual importance for some players in China, for example. “WoW seems to be offering opportunities to develop certain moral traits that regular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doesn’t afford,” Barrett says. “People seem to have this conceptual space for religious thought, which – if it’s not filled by religion – bubbles up in surprising ways.”


비신자들의 종교적인 체험이 더 기괴한 형태로 다른데서 또한 드러난다. 예를 들자면, 인간개발을 위한 번영센터에서 일하는 인류학자 Ryan Hornbeck은 월드 오브 워크레프트가 중국의 일부 게이머들에게 영적인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WoW (World of Warcraft 게임)은 동시대 사회에서 규칙적인 삶으로는 지켜낼 수 없는 어떤 도덕성을 발전시키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라고 Barrett은 말한다. “사람은 종교적 사고를 위한 개념적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것 처럼 보이며, 이 공간은 - 종교에 의해 채워지지 않으면 - 깜짝 놀랄 만한 형태로 거품같이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The in-group

내그룹 (이익이나 정체성을 공유하는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의 배타적인 집단)


What’s more, religion promotes group cohesion and cooperation. The threat of an all-powerful God (or gods) watching for anyone who steps out of line likely helped to keep order in ancient societies. “This is the supernatural punishment hypothesis,” Atkinson says. “If everyone believes that the punishment is real, then that can be functional to groups.”


게다가, 종교는 집단 응집력과 협력을 촉진한다. 어긋난 행동을 하는 모든 사람을 지켜보고 있다는 전능한 하나님(또는 신들)의 협박이 고대 사회에 있어 질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 같다. “이것이 초자연적 징벌 가설이다.”이라고 Atkinson은 말한다. “만약 모두가 그 징벌이 진짜라고 믿는다면, 그러면 초자연적 징벌 가설은 집단에 실용적일 수 있다”


9.jpg

A devotee at Thailand's Vegetarian Festival (Getty Image)

태국 채식주의자 축제의 신자


And again, insecurity and suffering in a population may play a role here, by helping to encourage religions with stricter moral codes. In a recent analysis of religious belief systems of nearly 600 traditional societies from around the world, Joseph Bulbulia at the University of Wellington, New Zealand and his colleagues found that those places with harsher weather or that are more prone to natural disasters were more likely to develop moralising gods. Why? Helpful neighbours could mean the difference between life and death. In this context, religion evolved as a valuable public utility.


그리고 또한, 주민들 사이의 불안감과 고통은 종교를 부추켜서 더 엄격한 도덕률을 가지게 도움을 주는 역활을 한다. 전세계의 거의 600여개나 되는 전통적인 사회의 종교적 믿음 체계에 대한 최근의 분석에서, 뉴질랜드 웰링턴 대학의 Joseph Bulbulia와 그의 동료는 기후가 매우 가혹한 지역이나 자연재해를 입기 쉬운 지역은 '알지 못하는 이치에 대해 훈계해 주는 신'(moralising gods)들을 더 많이 발달시켰을 것 같다는 것을 알게됐다. 왜? (엄격한 종교가 가혹한 자연환경 아래에서 사는 배타적인 작은 집단 내의 사람들을 단결하게 만들고, 어긋난 행동을 하지 못하게 만들어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이웃이 되게 만듦) 좋은 이웃은 (작은 집단 내의 사람들에게) 삶과 죽음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종교는 대중에게 가치가 있는 유용한 것으로 진화했다.


“When we see something so pervasive, something that emerges so quickly developmentally and remains persistent across cultures, then it makes sense that the leading explanation is that it served a cooperative function,” says Bulbulia.


“우리가 널리 퍼져있는 어떤 것을 보면, 그것이 굉장히 빨리 발전하면서 부상하고 문화 전반에 걸쳐 오래 남는다, 그렇다면 (이런 현상에 대한) 가장 유력한 설명은 그것이 (그 문화에) 도움을 주는 역활을 한다고 보는게 맞다”고 Bulbulia는 말한다.


Finally, there’s also some simple mathematics behind religion’s knack for prevailing. Across cultures, people who are more religious also tend to have more children than people who are not. “There’s very strong evidence for this,” Norenzayan says. “Even among religious people, the more fundamentalist ones usually have higher fertility rates than the more liberal ones.” Add to that the fact that children typically follow their parents’ lead when it comes to whether or not they become religious adults themselves, and a completely secularised world seems ever more unlikely.


마지막으로 종교가 널리 퍼지는 비결의 배후에는 꽤 간단한 셈법이 또한 있다는 것이다. 여러 문화 공동체 전반에 걸쳐, 신앙심이 깊은 사람들은 신앙심이 없는 사람들 보다 아이들을 더 많이 갖는 경향이 또한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아주 강력한 증거가 있다”고 Norenzayan은 말한다. “신앙심이 깊은 사람들 사이에서 조차, 신앙심이 더 깊은 근본주의 신자들은 진보적인 신자들 보다 출산율이 더 높다.” 이에 더해서, 그 아이들이 신앙심이 깊은 어른으로 성장하던지 않하던지 간에,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그들 부모가 이끄는데로 따른다는 것은 사실이며, 그래서  완벽하게 종교와 무관하게 되는 (세속화 되어진) 세상은 더더욱 오지 않을 것 처럼 보인다.



Enduring belief

오래 지속될 신앙


For all of these reasons – psychological, neurological, historical, cultural and logistical – experts guess that religion will probably never go away. Religion, whether it’s maintained through fear or love, is highly successful at perpetuating itself. If not, it would no longer be with us.


이러한 모든 이유로 - 심리학적, 신경학적,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물류적 - 전문가들은 종교는 아마도 절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종교, 이것이 두려움을 통해서 존속되던지 아니면 사랑을 통해서 존속되던지 간에, 는 그 자신을 영구히 지속시키는 있어 상당히 성공적이다. 그렇지 안았더라면, 종교는 더 이상 우리와 함께하고 있지 않을 것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진실게임 15-01-12 13:28
   
한국도 언급되어 있네요.
부유하고 평등하지만 신앙심은 없는 나라의 하나로.
장자 15-01-12 13:45
   
종교는 당연히 사라지게 되있습니다 종교도 인간의 창작이기 때문이죠 고대 그리스의 다신교도 켈틱 드루이드도  결국 사라졌죠
초기 그리스도교 시대때 다신교는 400년 정도 공존했다가 유일신(기독,이슬람)에 의해 사라졌어요. 이제 유일신교도 앞날이 불투명합니다 불교는 뭐 기독,이슬람과 다릅니다 불교는 종교라기 보다는 수행방법입니다 하지만 절과 승려의 앞날은 좋게 보진 않아요 절과 전문 수행자인 승려를 관리하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요 그래도  불교가 현재로선 생존확율이 높다고 봅니다. 나는 절에 다니진 않고 집에서 반야심경과 금강경을 읽는 수준입니다. 반야심경을 읽으면 신기하게도 분노가 가라앉는 느낌입니다.
플라시보 15-01-12 14:07
   
종교는 고치기 힘든 '습관'이란 것이죠..

그러니 이성적으로 보면 당연히 사라질 것 같으면서도

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플라시보 15-01-12 14:19
   
종교와 과학의 차이는 이거 같아요.

종교는 풀리지 않는 의문을 지고 살 수 없는 사람들의 인지패턴이에요. 믿음이죠.

반면 과학은 풀리지 않는 의문을 지고 살 용기가 있는 사람들의 인지패턴이에요.
베토맨 15-01-12 18:30
   
한국의 종교는 사업이죠.....

입만 가지고 할수 있는 이득이 가장 많이 남는...

세금 내고 사업했으면 좋겠습니다.
사오리 15-03-07 21:58
   
종교는 원시시대부터 미래나 현재 예측하거나 가늠하기 어려운 자연과 사회 환경의 위협이나 불안으로부터 생존하려는 자기보호 본능에서 나온 사고(생각과 탐색)가 강화되어 세대를 걸쳐 내려온 사회 문화적 유산으로 인간이 미래를 생각하고 생존이 불안할 때 심리적 안정을 가장 쉽게 찿는 방법이 종교이기에(  믿으면 편안해 지는 듯 하니.. 자기체면 효과 같은 것 일지라도..)  불합리해보여도 종교가 없어지지는 않을 겁니다.  과학이나 철학같은 지적인 방법으로 종교를 극복 할 수 있겠지만 너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죠.. 먹고 살기 바쁜데 어떤게 이단이고 무엇이 사이비 종교인지 옥석 가리기도 힘들고.. 누가 다수 서민을 위한 정치가인지도 구별 못하는 형편이라  천국을 이야기하며 순진한 사람의 호주머니 털어가는  영혼의 사기꾼들이 판을 치는 세상이 지옥일 수 밖에...
 
 
Total 8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1 [영국] 한국 스킨케어 성공의 핵심 성분 (9) Banff 01-29 9625
30 [영국]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 Top 50 (28) 전광석화 01-29 14592
29 [영국] 불행히도 삶의 현실은 잔인합니다. (1) 전광석화 01-16 3042
28 [영국] 하나님 보다 돈을 더 밝혀 (10) 블루로드 12-12 5089
27 [영국] 불량 아이들과 맞선 한 여성 - 평생 두려움에 떨며 살아야 (30) 전광석화 11-07 10964
26 [영국] 2차 세계대전당시 가미카제 특공대를 돌보았던 소녀들의 이야… (142) 전광석화 08-02 16492
25 [영국] 왜 메르스는 범유행이 아닌 병원에 한정된 걸까? (뉴사이언티… 다잇글힘 06-11 5930
24 [영국] 네이쳐, 한국에서의 메르스 확산. 연구부족 조명하다 (1) 다잇글힘 06-10 6480
23 [영국] 2015 유러비젼 송 콘테스트 결과 (8) 전광석화 05-24 4451
22 [영국] 죽음의 차(혼다,토요타,닛산)를 몰아 본 적이 있나요? (14) 전광석화 05-22 10213
21 [영국] 일본 방사능 오염된 식품이 원산지속여 영국으로 수출중? (Inde… (23) 설사방구 04-17 12035
20 [영국] 영국 이코노미스트 일본 황실의 조상에 한반도의 혈통 많다. (6) 플라토스 02-10 7940
19 [영국] 대한민국 2014년 4분기 경제성장율, 지난 6년만에 최저 기록 (3) 블루로드 01-28 10233
18 [영국] 종교는 언젠가 사라질 것인가? (2) - 이전 기사에 연결됨 (13) 블루로드 01-12 6038
17 [영국] 종교는 언젠가 사라질 것인가? (1) - 종교문제에 관심있으신 분… (6) 블루로드 01-12 5963
16 [영국] 왜 기름값이 내려가고 있는가 (3) 블루로드 12-23 7188
15 [영국] 피부암에 걸려 사망한 한 영국인 이야기 (6) 전광석화 12-13 7470
14 [영국] 세계 최대 크래인선 피터 쉘테 호(ship) (11) 전광석화 11-22 13691
13 [영국] 영국 이코노미스트 일본 황실의 조상에 한반도의 혈통 많다. (7) 오랜습성 11-13 9349
12 [영국] 타이타닉 호 침몰 시 연주된 바이올린 170만 불에 팔려 대전감자 10-20 4196
11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 60주년 (3) 대전감자 06-05 3691
10 [영국] 북한, 케네스 배에게 15년 노동교화형 선고 (4) 대전감자 05-02 3836
9 [영국] [리콜]토요타 등 일본 자동차 3사 340만대 리콜 (2) 그래나다 04-11 3567
8 [영국] [UK] 데일리메일 - 북한의 위협이 일본의 반한 감정을 유발시켰… (5) doysglmetp 04-11 3401
7 [영국] [펌]투애니원: 21세기의 멋진 여성들,[ 영국tylenoir 매거진 ] (11) doysglmetp 06-27 5273
 1  2  3  4